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남강유역 무문토기시대 후기 취락 변동과정 연구 : The Settlement Pattern Changes of Nam-Gang River Area in the Late Mumun Perio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장석-
dc.contributor.author강승호-
dc.date.accessioned2022-06-22T08:38:01Z-
dc.date.available2022-06-22T08:38:01Z-
dc.date.issued2022-
dc.identifier.other000000170382-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83099-
dc.identifier.uri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0382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인문대학 고고미술사학과(고고학전공), 2022.2. 김장석.-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focuses on changing the settlement patterns of the Late Mumun Period around Nam-gang River in South Korea. To propose more defined explanation for the changing patterns, it will reconsider the previous studies based on typological methods because the change of settlement patterns cannot be explained by those methods.
In Mumun Period, Songguk-ri cultur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oint to classify the Early and Late Mumun periods because it includes the whole change of material cultures like houses and potteries. Before the Songguk-ri culture, rectangle-shaped pit houses with fire pit and patterned bowl-shaped potteries such as rim-perforated and double-rim with diagonal line potteries were dominated. But after the Songguk-ri culture, the house changed to the square-shaped or circle-shaped houses, and the potteries changed to jar-shaped with plain patterned potteries. This kind of change means not only the changes of material culture, but also the advance of the social complexity involving from starting rice cultivation and producing surplus and dividing the household or labor unit.
However, this kind of changes related to the social complexity has only been discussed in the south-western part of Korea. Otherwise, in the south-eastern part of Korea, researchers mainly focused on what kinds of house types appeared and how many kinds of house types can be divided after Songguk-ri culture is settled. Even though the many possibilities of changes and advances of social complexity in the south-western part can happen, they have not been discussed.
To solve this problem and start discussions of social complexities by settlement patterns, this study makes an alternative way to explain the changes of settlement patterns. This study especially focuses on the settlement pattern changes in Nam-gang River area which is the western area of the south-western part in Korea near to Songguk-ri culutures main cities,
For the reexamination of the previous studies, the Songguk-ri type houses in Nam-gang River area are categorized by shape types and internal types because they assume that the each house type can be related to a certain time period. But the result of the analyses, any shape type of houses cannot be specified with any internal type of houses.
Also, the associated potteries in each house types are analyzed that any associated pottery types cannot be specified with any house types. Moreover, it has to be explained the dramatic changes and population moves if we set the time periods based on the previous typological methods.
But if the region is divided into two parts, the main stream and the branches, the overlapped houses and C-14 dating data show that the circle-shaped house can occur after square-shaped houses in the branches. Based on the settlement pattern analysis, the circle-shaped houses are distributed outskirt of the gathered area of square-shaped houses, and circle-shaped houses are dominated in the settlement in the branches.
Therefore, in the first stage of the Late Period, square-shaped houses are mainly settled in the main stream area. Then, circle-shaped houses started to settle in the outskirt area of the settlement in the main stream area and to spread in the new settlements in the branches in the second stage. The GIS analysis also shows the pattern changes of two stages.
This result is differentiated from the previous studies which have to explain the dramatic changes of settlements and population. Instead, this study shows the development of the settlement and its system. In the second stage of the Late Period, as the settlement is spread to the branches, the settlement system and social complexity can be advanced simultaneously.
-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에서는 남강유역의 무문토기시대 후기 취락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대안적 편년안을 통해 밝혀 보고자 한다. 기존의 후기 주거지의 형식분류를 통한 변동과정을 재검토하고, 대안적 편년안을 제시함으로써 후기 취락의 변동과정을 주변지역과 주변취락 간 연계될 수 있도록 설명안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무문토기시대의 물질문화 변동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변화는 송국리문화의 등장으로 볼 수 있으며, 송국리문화의 등장을 중심으로 시기를 전기와 후기로 구분해볼 수 있다. 무문토기시대 전기의 물질문화가 평면 장방형에 노지가 설치된 주거지와 돌대문, 이중구연단사선문, 공렬문 등 유문양의 발형토기가 중심이 되었다면, 후기 송국리문화의 등장으로 평면 방형 혹은 원형에 중심수혈과 주공이 설치된 주거지와 외반구연 옹형토기가 중심이 되는 새로운 문화로 변화하게 된다. 하지만 송국리문화 등장은 단순히 새로운 물질문화가 등장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닌 수도작의 전환, 잉여발생, 가구분화 등 다양한 사회복합화 과정이 수반된다는 점에서 더 큰 의미를 가진다.
하지만 이러한 송국리문화의 등장과 이와 연계된 사회복합화 과정에 대한 논의는 호서와 호남지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왔다. 그에 비해 영남지역에서는 송국리문화의 사회적 변화에 대한 연구보다는 호서지역에서 발생한 송국리문화가 어떤 경로를 통해 유입되었으며, 송국리식 주거지의 어떤 형식이 등장하는지에 대해서만 논의가 진행되면서 영남지역에서 송국리문화의 등장으로 나타날 수 있는 다양한 사회복합화 과정에 대한 논의가 제한적으로 이루어질 수밖에 없었다.
또한 영남지역에서의 전개된 송국리취락의 양상이 주거지의 형식변화에 따라 단절적으로 해석됨으로써 취락변동 과정이 명확하게 제시되지 못하고 있으며, 호서지역 등 다른 지역과 연계될 수 있는 설명안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형식분류에 의한 단계적 편년안에서 벗어나 보다 연결적인 관점에서 취락의 변동양상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취락체계의 형성과정을 설명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영남지역에서 가장 이른 시기 송국리문화가 유입된 것으로 보고 있는 남강유역의 취락변동 양상에 주목해보고자 한다. 남강유역에서 확인되는 송국리식 방형과 원형 주거지의 세부형식별 시간적·공간적 관계가 어떻게 설정될 수 있는지 재검토하고, 후기 취락체계의 변화과정에 대한 설명안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남강유역의 후기 주거지를 형식분류하고, 공반되는 토기와 중복관계, 방사성탄소연대 자료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해보았다. 먼저 주거지의 평면형태와 내부구조에 따른 형식 분류 결과, 주거지의 평면형태의 변화에 따른 내부구조의 차이는 확인되지 않는다. 이는 기존 연구와 같이 내부구조의 퇴화 등에 따른 시간성을 방형→원형으로의 평면형태 변화와 연결시킬 수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공반토기의 양상 또한 주거지 형식별로 명확하게 나타나지 않는다. 전기부터 확인되는 공렬문토기의 비율은 주거지의 평면형태나 내부구조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어 공렬문토기의 비율이 주거지 형식의 시간성을 반영한다고 볼 수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형식별로 단계를 설정할 경우 급격한 취락의 해체와 이주 등의 취락변동을 설명해야한다는 점에서 기존 편년안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주거지 중복관계와 방사성탄소연대 자료를 통해서는 방형과 원형주거지의 선후관계가 확인되고 있어 등장 시점의 차이는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송국리식 주거지의 등장을 기준으로 후기를 I기와 II기로 구분한다면, 후기 I기 방형 주거지 단독기와 II기 방형+원형주거지 병행기 설정이 가능하다.
또한 남강 유역의 취락을 본류역과 지류역에 입지한 취락으로 나누어 본다면, 진주 대평리, 평거동, 초전동, 초장동, 산청 하촌리, 신연리 유적 등 본류역에 입지한 대형 취락유적에서는 방형 주거지의 비율이 높게 나타난다. 이에 비해 지류역에 입지한 취락에서 원형주거지의 비율이 높아지며, 본류역에 입지한 취락에서도 원형 주거지가 방형 주거지 중심구역에서 벗어난 외곽에 배치되는 양상을 보인다.
따라서 후기 I기 방형 주거지가 남강의 본류역을 중심으로 취락을 대규모로 형성되기 시작하였고, 후기 II기 원형 주거지의 유입으로 기존 방형 주거지 중심 취락은 보다 확장되고, 기존에 포화된 중심지역에서 벗어난 외곽지역으로 새로운 취락들이 확산되었을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양상을 보다 객관적인 수치로 비교하기 위해 GIS 분석법 중 KDE와 Morans I 분석을 통해 후기 I기와 II기의 중심지 형성 양상을 비교하였다. 후기 I기 대평리 등 남강본류역에 위치한 취락들에서 중심지가 형성되며, 후기 II기 남강 지류역으로 중심지가 확산되는 양상을 보인다. 후기 II기를 원형 주거지단독시기로만 볼 경우 기존 방형 주거지취락의 급격한 해체와 이주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에서 방형+원형 주거지가 함께 나타나는 양상으로 해석해야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보다 연결적인 관점에서 남강유역의 취락변동을 해석한다면, 후기 I기 전기부터 중심지를 형성하던 남강본류역에서 송국리문화의 등장에 따라 방형 주거지가 등장하면서 대규모 취락이 형성되기 시작하였다고 볼 수 있다. 가장 대규모 취락인 진주 대평리 유적을 중심으로 평거동, 초전동, 초장동, 산청 하촌리, 신연리 등 남강 본류역과 인접하여 취락이 형성된다.
후기 II기 들어서는 원형 주거지가 새롭게 등장함에 따라 후기 I기에 형성되었던 취락은 확장되고, 주변지역으로도 취락이 확산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그에 따라 남강 본류역에서 남강 지류역까지 취락이 확산되었으며, 이러한 확산과정 속에서 남강유역의 후기 취락 체계도 보다 확장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후기 I기→II기로 변화과정은 시기에 따른 단절적인 양상이 아닌 연결적인 과정에서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으며, 사회복합화 과정과 함께 취락체계의 확장이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 차
I. 서론 1
II. 남강유역 무문토기시대 취락연구 검토 3
1. 연구사 검토 3
1) 송국리유형 취락연구 3
2) 영남지역 송국리유형 취락 연구검토 6
3) 남강유역 취락연구 검토 8
2. 남강유역 후기취락 연구의 한계와 본고의 목적 10
3. 연구대상 및 방법 11
1) 주거지 및 토기 형식 13
2) 방사성탄소연대 활용 15
3) GIS 활용 16
III. 남강유역 후기 취락의 시간적 위치 18
1. 형식 분류 및 분석 기준 18
2. 취락별 주거지 형식 분포 21
1) 진주지역 취락 22
2) 산청, 의령지역 취락 27
3) 남강유역 주거지 분류 결과 29
3. 주거지 출토 공반토기 분석 31
1) 진주지역 32
2) 산청, 의령지역 34
3) 공반토기 분석결과 37
4. 중복 주거지 분석 42
1) 대평리 어은2, 옥방 3,5지구 42
2) 대평 옥방 1,2,7,9지구 42
3) 귀곡동 대촌, 상촌, 평거동 유적 43
4) 가호동 유적 44
5) 초전동, 초장동 유적 46
6) 산청 하촌리, 매촌리 유적 46
7) 중복주거지 검토 결과 46
5. 방사성탄소연대 측정 주거지 검토 47
1) 방사성탄소연대 분포 47
2) 주거지형식, 토기형식, 중복주거지, 탄소연대 분석 결과 49
IV. 남강유역 후기 취락의 공간적 분포 51
1. 남강유역 후기 취락별 분석 51
1) 대평리 유적 51
2) 평거동 유적 53
3) 초장·초전동 유적 54
4) 산청 하촌리·신연리 유적 56
5) 그 외 지류역 56
2. 남강유역 후기 취락의 형성과 확산 57
3. 남강유역 취락 GIS 분석 59
1) GIS 분석방법 59
2) 전기 주거지 GIS 분석 62
3) 후기 I기 취락 GIS 분석 63
4) 후기 II기 취락 GIS 비교분석 65
V. 남강유역 후기 취락의 형성 68
1. 기존 단계적 편년안에 따른 취락 변천안 69
2. 편년 재고를 통한 대안적 취락 변천안 71
1) 취락별 변동 양상 71
2) 시기별 변동 양상 74
VI. 결 론 76
77
Abstract 79
부록 81
-
dc.format.extent107-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청동기시대-
dc.subject남강-
dc.subject남강유역 취락-
dc.subject경남 무문토기시대-
dc.subject무문토기시대 취락-
dc.subject취락변동-
dc.subject송국리유형-
dc.subject후기 취락-
dc.subject.ddc709-
dc.title남강유역 무문토기시대 후기 취락 변동과정 연구-
dc.title.alternativeThe Settlement Pattern Changes of Nam-Gang River Area in the Late Mumun Period-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Seungho Kang-
dc.contributor.department인문대학 고고미술사학과(고고학전공)-
dc.description.degree석사-
dc.date.awarded2022-02-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70382-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7▲000000000054▲000000170382▲-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