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다문화가족에 대한 한국인 아버지의 정체성과 이중민족사회화 : Korean father's identity as multicultural family and bi-ethnic socializatio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장해진

Advisor
Grace Haejin Chung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다문화가족다문화가족 한국인 아버지이중민족사회화다문화가족에 대한 한국인 아버지의 정체성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생활과학대학 아동가족학과, 2022.2. Grace Haejin Chung.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contribute to the discussion of Korean bi-ethnic socialization by examining the experiences of Korean fathers in multicultural families.

As a result of two in-depth interviews with 14 Korean fathers married to women from Cambodia, the Philippines, Vietnam, Thailand, and Nepal, the identity of fathers in multicultural families was found to be an important core topic. Through topic analysis, it was discovered that fathers in multicultural families experienced different types of identities. These identity typ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Fathers who positively identify as a multicultural family; fathers who negatively identify as a multicultural family; and fathers who refuse to identify as a multicultural family. These groups showed differences in five areas: parenting participation, opinion on children's bi-ethnic identity, attitude towards children learning the wifes mother tongue, perception of social discrimination, and dealing with potential discrimination that their children may experience.

Firs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in parenting participation. Fathers who positively identify as a multicultural family respected the status of their wives as mothers and disciplined their children to do the same. In addition, they actively intervened in areas where they believed their wives were experiencing difficulties. Fathers who have a negative perception towards multicultural families demanded that their wives become like Korean mothers and strategically provided the necessary resources for their wives to adapt to Korea. Fathers who refuse to be identified as a multicultural family thought of themselves and their children as separate from their wives. Also, despite their lack of confidence in their wives parenting abilities and doubt towards their wives education received from their country of origin, the fathers still delegated parenting responsibilities to their wives, including childrens schoolwork.

Second,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terms of the opinion on children's bi-ethnic identity. Fathers who positively identify as a multicultural family gave their children the choice to choose their own ethnic identity and the opportunity to explore their mothers country of origin. Fathers who have a negative perception towards multicultural families preferred that their children define their ethnic identity as Korean but they also recognized that the mother's country of origin might be helpful for their children's career path, so they neither supported nor strongly prohibited their children from exploring their mothers country of origin. Fathers who refuse to be identified as a multicultural family believed that it would be natural for their children to identify themselves as Koreans and that they had only one choice in terms of ethnic identity.

Third, the groups differed in terms of attitude towards children learning the wifes mother tongue. Fathers who positively identify as a multicultural family actively encouraged their children to learn their mothers native language and focus on developing their language skills. As for fathers who have a negative perception towards multicultural families, their attitudes varied according to the frequency or usefulness of the wifes native language in Korea. Fathers who refuse to be identified as a multicultural family actively opposed or neglected their children in learning the wifes native language as they believed it negatively affected their children's educational adjustment and Korean accent.

Fourth,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social discrimination. Fathers who positively identify as a multicultural family were aware of social discrimination against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ought that discrimination was something they had to bear. Fathers who do not identify as a multicultural family(i.e. fathers who negatively identify and not identify as a multicultural family), believed that discrimination towards multicultural families occurred because of their wives, and they reacted sensitively to or turned away from the social discrimination they faced through international marriage.

Fifth, there were differences in dealing with their childrens potential discrimination. Fathers who positively identify as a multicultural family wanted their children to be aware of the discrimination they would face as a child of a multicultural family in advance. Fathers who do not identify as a multicultural family(i.e. fathers who negatively identify and not identify as a multicultural family), positively viewed hiding ones multicultural identity as a coping strategy. In addition, both groups strived to cope with social discrimination through academic achievement. However, what each group hoped to gain from such academic achievement differed. Fathers who do not identify as a multicultural family wanted to be viewed and perceived equally as other Koreans, while fathers who positively identify as a multicultural family ultimately wanted their children to be recognized as a member of a healthy multicultural famil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study drew a theoretical discussion on the role of fathers in the bi-ethnic socialization of Korean multicultural families. Second, by examining the fathers bi-ethnic socialization, it is suggest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behavior according to how the fathers identify themselves as a multicultural family. Third, this study aimed for a three-dimensional investigation of Korean fathers in multicultural families, who are typically regarded as a single homogeneous group. Lastly, this study contributed to the dissolution of existing stereotypes on Korean father of multicultural families.
본 연구는 다문화가족 한국인 아버지의 이중민족사회화 수행을 살펴봄으로써 한국적 이중민족사회화 개념에 대한 논의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캄보디아, 필리핀, 베트남, 태국, 네팔 국적 여성과 결혼한 한국인 아버지 14명을 2번씩 심층면담 한 결과, 면담에서 다문화가족에 대한 아버지의 정체성이 중요한 핵심적인 주제로 나타났고, 주제분석을 통해 정체성의 종류가 서로 다르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다문화가족으로서의 정체성을 가지는 아버지 집단, 다문화가족에 부정적인 아버지 집단, 다문화가족임을 거부하는 아버지 집단 총 3개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본 집단들은 양육참여, 자녀의 이중민족정체성에 대한 견해, 자녀가 아내의 모국어를 배우는 것에 대한 태도, 사회적 차별에 대한 인식, 자녀가 경험할 잠재적 차별에 관한 대처방식의 5개 영역에서 집단별로 차이가 나타났다.
첫째, 양육참여에서 집단별 차이가 나타났다. 다문화가족으로서의 정체성을 가지는 아버지들은 아내의 어머니 지위를 존중하고, 자녀가 어머니를 존중할 수 있도록 훈육하고 있었다. 또한, 아내가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고 생각하는 부분에 적극적으로 개입하고 있었다. 다문화가족에 부정적인 아버지들은 아내에게 한국인 어머니의 모습을 요구하고, 이를 위해 전략적으로 아내의 한국 적응에 필요한 자원을 제공했다. 다문화가족임을 거부하는 아버지들은 본인과 자녀를 아내와 분리해서 생각하고 있다. 아내의 양육 능력을 신뢰하지 않고 아내가 출신국에서 받은 교육에 대해 회의적이지만, 학업을 포함해 양육적 책임을 아내에게 전가했다.
둘째, 자녀의 이중민족정체성에 대한 견해에서 집단별 차이가 나타났다. 다문화가족으로서의 정체성을 가지는 아버지들은 자녀가 스스로의 민족정체성을 선택할 수 있도록 자녀에게 선택권을 주고, 아내의 출신국에 관해 탐색할 기회를 제공하고 있었다. 다문화가족에 부정적인 아버지들은 자녀가 한국인으로서의 민족정체성을 가지기를 소망하고 있지만, 아내의 출신국에 대해 자녀가 알고 있는 것이 자녀의 진로에 도움이 될 수도 있기에 아내의 출신국에 관해 탐구하는 것을 지지하지도, 강하게 제재하지도 않았다. 다문화가족임을 거부하는 아버지들은 자녀가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을 가지는 것을 당연시하며, 자녀가 하나의 선택지만을 가진다고 생각했다.
셋째, 자녀가 아내의 모국어를 배우는 것에 대한 태도에서 집단별 차이가 나타났다. 다문화가족으로서의 정체성을 가지는 아버지들은 자녀가 아내의 모국어를 배우는 것을 적극적으로 지지하며, 자녀가 교육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개입하고 있다. 다문화가족에 부정적인 아버지들은 한국에서 아내의 모국어 사용 빈도나 활용도에 따라 아내의 모국어 교육에 대한 태도가 달라졌다. 다문화가족임을 거부하는 아버지들은 아내의 모국어 사용이 자녀의 학교적응과 한국어 억양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아내의 모국어 교육을 적극적으로 반대하거나 아예 관심을 주지 않았다.
넷째, 사회적 차별에 대한 인식에서 집단별 차이가 나타났다. 다문화가족으로서의 정체성을 가지는 아버지들은 다문화가족 집단에 대한 사회적 차별에 대해 인식하고 있고, 차별을 자신이 감수해야 하는 것으로 생각했다. 다문화가족으로서의 정체성을 가지지 않는 아버지들(다문화가족에 부정적인 아버지, 다문화가족임을 거부하는 아버지)은 다문화가족에 관한 차별은 아내 때문에 발생한다고 생각했으며, 국제결혼으로 마주하게 된 사회적 차별에 민감하게 반응하거나, 외면하는 반응을 보였다.
다섯, 자녀가 경험할 잠재적 차별에 관한 대처방식에서 집단별 차이가 나타났다. 다문화가족으로서의 정체성을 가지는 아버지들은 다문화가족의 자녀이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직면해야 하는 차별들을 자녀들이 미리 알고 있기를 바랬다. 다문화가족으로서의 정체성을 가지지 않는 아버지들(다문화가족에 부정적인 아버지, 다문화가족임을 거부하는 아버지)은 다문화가족임을 숨기는 대처방식의 사용을 긍정적으로 생각했다. 또한, 두 집단 모두 학업적 성취로 사회의 차별적 시선에서 대처하기를 원했다. 하지만, 본 집단의 아버지들이 학업적 성취를 통해 얻고자 하는 것은 한국인과 동등한 사회적 인식과 시선이지만, 다문화가족으로서의 정체성을 가지는 아버지 집단은 궁극적으로 건강한 다문화가족의 자녀로서 인정받기를 원하고 있다는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는 한국 다문화가족의 이중민족사회화에서 아버지의 역할에 관해 이론적 논의를 끌어냈다. 둘째, 이중민족사회화를 살펴봄으로써 다문화가족 한국인 아버지의 현실적인 이중민족사회화의 수행을 탐구하고, 다문화가족에 대한 한국인 아버지의 정체성에 따라 수행에 차이가 나타난다는 것을 제시했다. 셋째, 연구는 동질적이고 단일한 집단으로 여겨져 왔던 다문화가족 한국인 아버지 집단을 입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넷째, 다문화가족 한국인 아버지에 대한 고정관념 해소에 기여하였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3111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090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