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공유리더십, 다양성 수용 정도, 지식공유 및 혁신행동의 관계 : The Relationship among Shared Leadership,Diversity Sensitivity Orientation, Knowledge Sharing and Innovative Behavior of Office Workers in Large Corporation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정애

Advisor
김진모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공유리더십다양성 수용 정도지식공유혁신행동대기업 사무직 근로자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산업교육과, 2022.2. 김진모.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among shared leadership, diversity sensitivity orientation, knowledge sharing, and innovative behavior of office workers in large corporations. The study objectives a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among shared leadership, diversity sensitivity orientation, knowledge sharing, and innovative behavior of office workers in large corporations is explored.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knowledge shar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hared leadership, diversity sensitivity orientation, and innovative behavior of office workers in large corporations is explored.
The target population for this study was the office workers of holding companies and affiliates declared by the Korea Fair Trade Commission (KFTC). The data was collected by an online survey system from October 5 to 15, 2021. A total 401 responses from 20 corporations were returned, of which 353 responses were analyzed after removing careless or incomplete responses.
F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difference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were utilized to evaluate the level of perceptions on each variable.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correlation among variables.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direct effect of the independent variable on the dependent variable, give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s covariance drawing upon the results from difference analysis. Hayes (2013) PROCESS macro model 4 was adopted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The alpha level of 5% was established prior to determining the significanc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hared leadership, diversity sensitivity orientation, and knowledge sharing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innovative behavior of office workers in large corporations. Therefore, to improve innovative behavior, more leadership should be given to the members. To improve an open mind, institutional support, cultural support, and systematic support are needed so that knowledge can be easily shared among members. Second, shared leadership and diversity sensitivity orienta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innovative behavior of office workers in large corporations. Therefore, to improve knowledge sharing, each employee should faithfully perform their leadership role, should take responsibility, and should have an attitude of accepting ideas and opinions of others. Third, knowledge sharing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hared leadership and innovative behavior. Knowledge sharing also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versity sensitivity orientation and innovative behavior of office workers in large corporation. Therefore, to improve innovative behavior, creating an organizational culture in which members cooperate and trust each other is necessary. In this way, members can communicate freely, and knowledge sharing can become activ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s between and within groups by measuring each variable at the team level should be compared. Second, a survey targeting organizations that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large corporations, or workers in different occupations from office workers should be conducted. Third, the objective level of the diversity of members should be explored. Fourth, direct intervention promoting innovative behavior should be explored.
The implications for this area of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 place for knowledge sharing opportunities should be systematically prepared. Second, a new paradigm education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Third, for a flexible organizational culture, different types of members should be established within the organiz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공유리더십, 다양성 수용 정도, 지식공유 및 혁신행동의 관계를 구명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첫째,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공유리더십과 다양성 수용 정도, 지식공유 및 혁신행동 간의 영향관계를 구명, 둘째,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공유리더십 및 다양성 수용 정도와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지식공유의 매개효과를 구명을 연구목표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목표모집단은 공정거래위원회에서 2021년에 공시한 공시대상기업집단 내 계열사 중 자산총액 5천억원 이상(중소기업법)의 기업에서 근무하고 있는 사무직 근로자로 설정하였다. 자료수집은 2021년 10월 5일부터 2021년 10월 15일까지 온라인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20개 기업을 대상으로 총 401부가 회수되었고, 불성실 응답자 및 본 연구에서 설정한 대기업 집단이 아닌 곳에서 회신된 설문지 등 결측치 설문 48부를 제외한 후 최종적으로 353부를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상관관계분석, 차이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구명하기 위해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등을 사용하였으며, 각 변인들 사이의 상관관계를 구명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활용하였고, 독립변인과 종속변인 간 직접적 영향관계를 구명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때 종속변인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통제하였다. 또한, Hayes(2013)가 개발한 PROCESS macro model 4를 사용해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모든 통계적 유의성은 .05를 기준으로 판단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공유리더십, 다양성 수용 정도 및 지식공유는 혁신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혁신행동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조직 내 구성원들에게 더 많은 리더십을 부여하는 것이 필요하고, 새로운 것을 받아들이는 개방적 태도를 향상시키는 방안이 필요하며, 구성원들 간의 지식을 편하게 공유할 수 있도록 제도적, 문화적, 시스템적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공유리더십, 다양성 수용 정도는 지식공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식공유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각자 분산된 리더의 역할을 수행하여 자신의 분야에 책임감을 가지도록 하며, 다른 사람의 아이디어와 의견을 수용하는 태도를 함양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공유리더십 및 다양성 수용 정도와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지식공유는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혁신행동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공유리더십과 다양성 수용 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조직문화, 즉, 구성원들이 개방적 태도를 갖추어 서로 협력하고 신뢰하는 문화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러한 조직 분위기에서는 구성원들이 자유롭게 의사소통하여 지식공유가 활발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식공유가 활발해지면 혁신행동의 단초를 제공하는 다양한 아이디어들이 생성되어 질 것이다.
이와 같은 결론을 바탕으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팀 탄위 수준, 즉, 팀의 구성원들이 바라보는 팀 전체의 모습에 응답하는 방식으로 각 변인들을 측정하여 집단 간, 집단 내 효과를 비교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대기업과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는 조직이나, 사무직 근로자와 다른 직군의 근로자를 대상으로 조사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조직구성원들의 객관적인 다양성 수준을 변인으로 설정하여 연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혁신행동을 촉진시킬 수 있는 직접적인 인터벤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결론을 바탕으로 연구 결과의 활용을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 내 지식공유가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조직 내 학습 분위기 및 지식공유 기회의 장을 체계적으로 마련해야 한다. 둘째, 공유리더십, 다양성 수용 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교육 프로그램 체계를 수립할 필요가 있다. 셋째, 유연하고 수용적인 조직문화를 구축하기 위하여 조직 내 다양한 유형의 조직원들을 구성해야 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3124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039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