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도덕과 실천윤리 교육 체계화를 위한 상황인지 학습이론 활용 방안 연구 : A study on systematization method of practical ethics education based on situative cognition-learning theory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하민

Advisor
정창우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실천윤리 교육실천윤리 교육 방법상황인지 학습이론도덕 교과 교육구성주의 학습이론문제 해결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2022.2. 정창우.
Abstract
Applied ethics emerges as a subdiscipline of ethics that uses ethical theory to solve problems in real life. With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new ethical problems have arisen so that research on applied ethics has also increased. In addition, the need for ethics education was raised due to ethical deviations of professionals occurring throughout society. More than 10,000 courses of applied ethics has been installed in U.S., and some area has been specialized by implementing the certification system. Although the term applied ethics indicates the method of applying ethics theory, moral psychological methods were also us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by measuring the morality of students, or case based learning methods are used to predict and prevent the ethical issues might arise in the future.
However, contents and courses of ethics education are diversified and expanded, there are few researches on applied ethics education. Recently, International Journal of Ethics Education is established to shed light on applied ethics education by synthesizing the subarea of applied ethics such as bioethics, business ethics, etc. and suggesting teaching programs. Nevertheless, it is hard to find discussions on instruction methodology of applied ethics from a comprehensive perspective.
But in Korea, there is a subject called 'Life and Ethics' to teach applied ethics based on national-level curriculum. Life and Ethics covers various fields of applied ethics and it presents instruction method. Analyzing Life and Ethics education is effective in finding ways of applied ethics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ze the methods of Life and Ethics(L&E) so that applied ethics education can be effectively conducted.
In the L&E curriculum, the term practical ethics is used instead of applied ethics. Practical ethics is a pragmatic and interdisciplinary research field, focusing on how to solve ethical problem in real world. Since the term applied ethics represents the limitation that it does not cover the subject or method of research, it is replaced by practical ethics in academia. Nevertheless, L&E defines practical ethics as solving problems through Eastern and Western ethical theories. This definition is not appropriate because it excludes the methodology of practical ethics like casuistry and coherentism.
L&E suggests that inquiry and ethical reflection could be used to solve ethical problems. Inquiry is the process of identifying what ethical issues are and exploring data to derive alternatives. Ethical reflection is to reflect on oneself and decide on the direction of practice based on one's moral experience. Inquiry and ethical reflection could be essential to study ethics academically so it is used in moral education. But practical ethics education should be designed to cultivate practical skills to solve problems that arise in specific situations. Also, practical ethics deals with interdisciplinary problems which need professional knowledge beyond ethical area. Therefore, it is not appropriate to apply the same instruction method used in moral education to L&E education.
Constructivist learning theory based on situated cognition can be effectively used in practical ethics education. To be specific, the constructivist learning theory used to solve the problem of moral education is based on the universality of the cognitive structure. By emphasizing the common morality of human beings, the context of problem could be abstract. On the other hand, situative cognition-learning theory aims to develop pragmatic problem-solving skills by reflecting the complexity of the phenomenon and generating knowledge in context.
Situated cognition learning theory helps to perceive the differences between practical ethics education and moral education. Also, it is useful to design lessons of practical education. In this study, I suggest 3 different types of instruction method based on situative cognition learning theory. First, cognitive apprenticeship model can be used for teaching ethical theories considering the process of solving the problem. Second, anchored instruction model can be used in moral development-oriented practical ethics teaching. Third, the constructivist learning environment model is useful to develop case based analogy which helps to solve new type of problems.
Practical ethics education based on situative cognition learning theory can maintain a consistent perspective from the philosophical grounds to instruction methodology thoroughly. This study provides a guide that can be used for practical ethics education in other fields in the future by suggesting L&E education methods based on situative cognition learning theory.
도덕과에서는 실천윤리 교육을 위해 생활과 윤리라는 독립적인 과목을 만들어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교육과정에서 실천윤리 교육에 중점을 두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교과교육의 관점에서 왜 실천윤리 교육을 해야 하며, 어떻게 교육해야 하는지 종합적으로 연구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도덕과 실천윤리 교육의 주관 과목으로 생활과 윤리 교육을 체계화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실천윤리 교육에 대한 선행 연구를 고찰한 결과, 실천윤리 교육에 대한 연구 필요성이 제기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학술적 정의도 논의되지 않았음을 발견하였다. 이에 논의의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실천윤리 개념이 등장하게 된 배경을 탐색하여 실천윤리 교육을 실생활에서 윤리적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하는 과정을 통해 윤리적 삶을 살 수 있도록 안내하는 교육으로 정의하고 실천윤리의 연구 내용과 방법, 목적 등을 포괄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도덕과 실천윤리 교육의 현황을 분석한 결과 생활과 윤리 과목의 성격이 임의로 정의되어, 응용윤리학의 범위가 확장됨에 따라 실천윤리라는 용어로 대체되고 있는 배경을 충분히 반영하고 있지 못하다는 문제가 드러났다. 교육 내용은 실천윤리 문제의 특성이 반영되어 실용성을 추구하는 실천윤리의 탐구 방향에 부합하도록 방법적 지식을 보완하고 탐구 질문을 제시하는 방법을 수정 해야 할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문제 해결을 추구하여 교육 방법을 제시하지만 수업의 효과성과 이론적 근거에 기초해 설계가 되지 않기에 개선 과제로 포괄하였다.
실천윤리 교육의 실행을 위해서는 구체적인 교수‧학습 과정이 안내될 수 있어야 하는바, 문제 해결 학습으로서 실천윤리 교육의 성격을 파악하고 효과적 처방이 이뤄질 수 있도록 활용할 수 있는 학습이론을 탐색하였다. 구성주의 학습이론이 문제 해결 학습을 처방하기 위한 이론적 근거로 적합하지만 보다 엄밀한 의미 분석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구성주의가 포괄적으로 정의되면서 상대주의, 구조주의, 발달심리학의 관점에 따라 상반되는 관점이 혼재되어 있기 때문이다. 특히 도덕과에서 그동안 논의되어온 구성주의적 도덕교육론은 인간의 보편적 도덕성에 기초한 Kohlberg의 이론을 중심으로 하는데 이는 실용적 문제 해결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상황성을 고려해야 하는 실천윤리 교육의 특성과 상충되기 때문이다.
도덕과 실천윤리 교육의 체계화를 위해서는 교육공학에서 말하는 상황인지 관점에 기초한 구성주의 학습이론을 활용하는 것이 대안이 될 수 있다. 상황인지 학습이론이란 상황인지 관점에 기초한 구성주의 학습이론으로 인지가 고정된 실체로 존재한다는 도식에서 벗어나 맥락 속에서 지식이 형성된다는 관점을 나타낸다. 상황인지 학습이론은 학습이 지식을 머리에 저장하는 과정이 아니라 사회적 참여를 통해 의미를 구성하는 과정으로 설명함으로써 실천윤리 문제 해결 학습의 방향을 적확하게 드러낼 수 있다. 이론의 학습과 적용은 분리된 것이 아니라 문제 해결이라는 하나의 맥락에서 함께 다뤄진다.
또한 상황인지 학습이론에 기초하여 만들어진 교수‧학습 모형을 활용하면 문제를 제기하는 과정부터 문제 해결에 유용한 도구나 자원이 무엇이며 어떻게 활용해야 하는지까지 다룰 수 있기 때문에 실천윤리 수업을 효과적으로 설계할 수 있다. 특히 이론 교육과 문제 탐구가 따로 이뤄졌던 교육 방법의 한계를 인지적 도제 모델을 통해 보완할 수 있다. 그 밖에도 특정 상황에서 행위자의 도덕성을 기를 수 있도록 맥락이 풍부한 생성적 학습환경 설계나 사례 기반 추론 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 구성주의 학습 환경 설계 모델을 사용할 수 있다.
상황인지 학습이론은 문제의 내용을 직접적으로 규정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교육 내용을 특정하지는 못한다. 하지만 어떻게 내용을 제시하여야 문제 해결에 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지 방향을 드러낼 수 있다. 추상성이 높은 이론이라 할지라도 그 자체로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풍부한 맥락을 통해 학습해야 새로운 상황에서도 그 지식을 활용할 수 있는 인지 유연성이 생성된다. 따라서 실천윤리 교육 내용도 단편적으로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가 충분히 맥락을 활용해 지식을 구성할 수 있도록 풍부한 사례를 제시해야 한다. 그리고 문제 해결의 방법 역시 단일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윤리학의 응용 이외의 방법을 고려하여 다양한 문제 해결 과정을 경험하도록 기능을 확장시켜야 한다.
본 연구는 동양윤리의 주요 방법론을 연구 대상에 포함하지 못했으며, 초‧중학교 도덕에서 다루고 있는 실천윤리 주제에 대한 교육을 포괄하지 않았다는 한계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생활과 윤리가 실천윤리 교육을 담당하는 과목으로서 공통 교육과정의 도덕 교육과 구분되는 특성을 밝히고, 상황인지 학습이론을 활용해 실천윤리의 문제의식이 과목의 성격, 교수·학습 방향, 수업 설계의 수준까지 일관된 관점에서 체계화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3139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047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