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동아시아의 초국적 텍스트 <서유기>의 한국 내 변용에 대한 트랜스텍스트성 연구 : Exploring the Transtextuality of Journey to the West's Korean Transformations: For the Application and Expansion of Transmedia Research
트랜스미디어 이론의 적용과 확장을 위한 시론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서경화

Advisor
홍석경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트랜스미디어스토리텔링트랜스텍스트성변용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회과학대학 언론정보학과, 2022.2. 홍석경.
Abstract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noted that research on the recent concept of transmedia storytelling is biased toward certain times and spaces commonly referred to as modern west, and focused on a major East Asian text, Journey to the West, to overcome this. Journey to the West has been enjoyed for many generations. In particular, the researcher used the concept of transtextuality suggested by Gérard Genette, a French literary theorist, as a means to approach Journey to the West from the perspective of transmedia to expand the foundations of transmedia research. To be more specific, the researcher analyzed and discussed transformed texts of Journey to the West that appeared in South Korea from the 1910s to 2020 in synchronic and diachronic contexts using transtextuality.
For this purpose, first, 187 narrative elements were extracted from Journey to the West and were divided into five categories (characters, places, objects, motifs, and episodes). This was followed by the establishment of criteria for the transformation of each category. Second, this was used as the basis to utilize intertextuality, hypertextuality, and architextuality, which are types of transtextuality, to analyze the tendencies of diachronic change in the narrative between Journey to the West and the 21 transformed texts that were examined. Third, the concepts of paratextuality and metatextuality, which are also types of transtextuality, were utilized to examine the synchronic aspects between the transformed texts and external elements. Finally, the findings of these analyses served as the basis to examine the methodological possibilities of transtextuality in the studies of transmedia, ultimately discussing the implications and meanings of the expansion of the studies of transmedia to which the concept of transtextuality has been appli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relationship within the narrative of Journey to the West and its transformed texts loosened over time. Until the 1980s, the relationship in the context of intertextuality with Journey to the West was strong. However, a hypertextual relationship began to emerge at the beginning of the 1980s. This has become the mainstream tendency in transformed texts since the 2000s. That is, if the initial tendency of text transformation was to borrow the narrative elements of Journey to the West without transformations, the transformation of the narrative elements was increasingly used to cause a structural change in the entire text over time. Recently, this relationship reflected the perspective of the genre, loose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nsformed texts and Journey to the West.
In particular, this loosened narrative relationship is aligned with the diversification of media.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interpreted this as a means for traditional content to survive the current deluge of content. In todays cultural industry, the audience should be entertained while feeling that it shares the same story world even though the media has changed. Under these circumstances, it is necessary to make changes to existing narrative elements or add new elements to traditional content to provide the audience with familiar novelties. Despite this, the fact that transformed texts of Journey to the West continue to appear is evidence that Journey to the West is still valuable and appealing to audiences.
Meanwhile, the landscape―the external environment―of each transformed text was confirmed by applying the concept of transtextuality. In particular, it was possible to draw aspects of the reception of certain recently produced texts into the current discussion. As such, the external texts that surround individual transformed texts reflect South Korean society at that time. What is important here is that these texts are not isolated from one another but are a part of the larger story world that is Journey to the West. In South Korea, Journey to the West has been deconstructed for a long time, and the fragments from this process have mixed with the fragments of other texts as well as the contemporary situation in South Korean society, resulting in a new transformed text. Such novel texts underwent the process of disintegration and reassembly again, creating a complicated network of Journey to the West.
In this story world of Journey to the West, each transformed text is a node of this network and serves as an entrance to the story world. Here, the audience does not need to read the original version of the text to enjoy the transformed texts. In this process, the universe of Journey to the West expands further. That is, along with the flow of time, Journey to the West and its transformed texts establish a massive transmedia storytelling.
In conclusion, this study indicates that transmedia storytelling, which is emerging in the modern cultural industry, has long existed. This study also shows the relationships of a text with surrounding texts through the concept of transtextuality and how they reflect their time and aspects of their contemporary reception.
Originally, Journey to the West was a transnational text that has been shared mainly in East Asia for many generations. This shows the possibility of East Asian fantasy storytelling today when most of the genre content originates from the west. Therefore, further studies are mandated to examine how the transformed texts of Journey to the West in East Asian countries interacted and influenced one another as they developed. In particular, an exploration utilizing transtextuality appears likely to yield important clues for identifying the original East Asian storytelling formats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최근 부상하는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transmedia storytelling) 개념에 대한 기존 연구들이 현대 서구라는 특정 시공간에 상대적으로 경도되어 있음을 인식하고, 이를 극복하고자 오랜 시간 향유되고 있는 동양의 텍스트인 에 주목했다. 특히 를 트랜스미디어의 관점에서 다각도로 접근하기 위한 방법으로 프랑스의 문학 이론가인 제라르 쥬네트(Gérard Genette)의 트랜스텍스트성(transtextuality) 개념을 활용함으로써 트랜스미디어 연구의 저변 확대를 시도했다. 구체적으로는 1910년대부터 2020년까지 한국에서 등장한 의 변용 텍스트들에 트랜스텍스트성을 적용해 공시적, 통시적 맥락에서 분석하고 논의했다.
이를 위해 첫째, 를 구성하는 서사 요소들(187개)을 다섯 가지 범주(캐릭터, 장소, 사물, 모티프, 사건)하에 추출한 후 각 범주별로 변형 기준을 세웠다. 둘째, 이를 바탕으로 트랜스텍스트성 중 상호텍스트성(intertextuality), 하이퍼텍스트성(hypertextuality), 아키텍스트성(architextuality) 개념을 활용하여 와 21종의 변용 텍스트들 간 서사 관계의 통시적 변화 양상을 분석했다. 셋째, 트랜스텍스트성 중 파라텍스트성(paratextuality) 및 메타텍스트성(metatextuality) 개념을 활용하여 각 변용 텍스트가 외부 요소들과 가지는 공시적 측면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앞서 도출한 결과들을 토대로 트랜스미디어 연구에 있어 트랜스텍스트성이 어떠한 방법론적 가능성을 가지는지 진단했고, 궁극적으로 트랜스텍스트성이 적용된 트랜스미디어 연구의 확장이 가지는 의의와 시사점을 다루었다.
연구 결과, 시간이 지날수록 변용 텍스트와 간의 서사 내적 관계가 느슨해지고 있었다. 1980년대 이전까지는 와 강한 상호텍스트적 관계를 가진 반면, 1980년대 이후 점점 하이퍼텍스트적 관계가 등장하기 시작했고, 2000년대 이후의 변용 텍스트들에선 하이퍼텍스트적 관계가 주류적 양상으로 자리 잡았다. 즉 초기의 변용 양상이 의 서사 구성 요소들을 변형 없이 그대로 빌려 오는 것이었다면, 시대가 지날 수록 요소의 변형을 통해 텍스트 전체의 구조적 변화를 이끌어 내는 것이 주요한 변용 양상으로 자리 잡았고, 최근엔 이 관계가 장르적 차원에서 연결되면서 변용 텍스트와 사이의 관계가 점점 느슨해지고 있는 것이다.
특히 이 느슨해지는 서사 관계는 매체의 다기화와 궤를 같이하고 있었는데, 본 연구는 이를 콘텐츠의 범람 속에서 전통 콘텐츠가 살아남기 위한 방법으로 해석했다. 즉 수용자들이 매체가 바뀌어도 같은 이야기 세계를 공유하고 있음을 느끼도록 하면서 동시에 새로운 즐거움을 주어야 하는 현 문화 콘텐츠 산업에서, 전통 콘텐츠에겐 기존의 서사 요소를 변형하거나 새로운 요소들을 추가함으로써 수용자들에게 익숙한 새로움을 주는 것이 요구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 변용이 끊임없이 등장하고 있다는 점은 가 여전히 그럴 만한 가치가 있는, 수용자들에게 소구력을 가진 콘텐츠라는 점을 보여준다.
한편 트랜스텍스트성을 적용함으로써 각각의 변용 텍스트를 둘러싼 텍스트 외적 환경, 즉 전경(全景)을 확인했다. 특히 최근에 생산된 일부 텍스트의 경우 수용 양상까지 논의에 끌어들일 수 있었다. 이렇게 개별 변용 텍스트를 둘러싼 외부 텍스트들은 당시 한국 사회상을 적극적으로 드러내고 있었는데, 중요한 것은 각 텍스트들이 서로 동떨어져 있는 것이 아니라 모두 서유기라는 하나의 거대한 이야기 세계를 구성하는 텍스트들이라는 점이다. 한국 내에서 는 오랜 시간에 걸쳐 분해되고, 이 파편이 다른 텍스트들로부터 나온 파편을 비롯해 당시 한국의 다양한 사회 모습과 섞여 새롭게 조립된 변용 텍스트가 등장했다. 이렇게 등장한 텍스트들은 또 다시 분해와 재조립의 과정을 겪으며 하나의 복잡한 서유기 네트워크를 만든다.
서유기라는 하나의 네트워크이자 이야기 세계에서 각 변용 텍스트는 이 네트워크의 노드(node)이자 이야기 세계로 들어가는 입구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수용자는 흔히 원전이라 여겨지는 백회본(百回本) 를 읽지 않아도 각 변용 텍스트를 충분히 즐길 수 있으며, 그 과정에서 서유기 이야기 세계는 더욱 확장한다. 즉 시간의 흐름과 함께 와 그 변용 텍스트들은 하나의 거대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을 구축하고 있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현대 문화 산업에서 부각되고 있는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이 이미 오랜 기간에 걸쳐 존재하고 있었으며, 트랜스텍스트성을 통해 텍스트가 그 주변을 이루는 수많은 다른 텍스트들과 어떠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더 나아가 해당 시대의 어떤 사회상, 생산 및 수용 양상들을 담고 있는지 보다 체계적으로 확인했다.
본래 는 동아시아를 중심으로 오랜 시간 동안 공유되고 있는 동아시아의 초국적인 텍스트이다. 이는 판타지 장르 콘텐츠의 대부분이 서구에서 비롯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동아시아 판타지 스토리텔링의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동아시아 국가들의 변용 텍스트들이 서로 어떤 영향을 주고 받으며 성장했는지 살펴보는 작업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특히 트랜스텍스트성을 활용한 탐색은 향후 동아시아 고유의 이야기 형식을 밝히는 데 있어 중요한 단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3145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036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