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디지털 환경에서 디자이너의 패션 소재 햅틱 지각 연구 : A Study on Designers Haptic Perception of Fashion Fabrics in Digital Environment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장신영

Advisor
하지수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패션 소재촉감 정보햅틱 지각패션 디자이너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생활과학대학 의류학과, 2022.2. 하지수.
Abstract
최근 코로나 사태로 전 세계적으로 물리적인 거리 두기가 장기화 되면서 비대면·비접촉 방식을 통한 업무적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수요와 의존도는 더욱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패션 디자이너들이 소재를 선정할 때는 스와치를 통한 물리적인 체험이 필수적으로 선행되고 이후 적합한 소재를 최종 선정하는 일련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디지털 환경에서 직접 만져보지 못하고 패션 소재의 촉감을 인지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로 꼽힌다. 특히, 현재 원단 판매처에서 제공하고 있는 사진 및 영상 같은 시각자료와 몇 개의 단어로 제시되는 설명은 디자이너들이 화면을 통해 소재의 특성을 파악하기에는 매우 부족하다. 온라인 패션 제품 판매처들은 소비자의 불확실성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다양한 사진, 확대기능, 영상, 실시간 채팅 서비스 등 최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주고자 하였고, 기술적으로는 가상현실 또는 증강현실과의 상호작용을 높여주며 촉감을 전달해주는 햅틱 기기에 대한 연구 또한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일반 소비자와 패션 디자이너들이 소재를 인지하는 방식은 접근법부터 매우 다르기에 패션 디자이너들이 원하는 수준의 정보는 기존의 선행연구들을 통해서는 얻을 수 없다. 비대면 환경에서 디자이너들에게 화면을 통해 소재를 보여 줄 때 필수적인 정보의 종류와 방식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을 제공할 수 있는 학문적 연구 또한 부재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패션 디자이너를 위한 디지털 환경에서의 이상적인 패션 소재 제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소재 산업이 온라인에서 제시하고 있는 촉감 정보 현황을 파악하고 분석한다. 둘째, 패션 디자이너의 소재 인지 과정에서의 감각 지각 특성을 규명한다. 셋째, 비대면 환경에서 패션 소재의 촉감을 인지하고 효율적으로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제시한다.
연구 범위로는 3년차 이상의 여성복 패션 디자이너 20명을 대상으로 하며 사전 조사를 통해 비대면으로 화면을 통해 소재를 볼 때 파악이 가장 어려운 소재 종류 및 특성을 도출하여 코튼류, 폴리에스테르류, 실크류의 3가지 종류와 두께감, 신축성, 광택감, 드레이프성의 4가지 항목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각 종류별로 두께, 광택, 신축성, 드레이프성의 차이가 있는 3가지 소재를 선정하여 총 9가지 소재를 시료로 사용하였다.
연구 방법 및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외 패션 소재 판매 웹사이트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해 현재 제시되고 있는 시각자료 및 텍스트 정보의 형태를 유형화 하였다. 둘째, 패션 디자이너의 소재 촉감 인지 과정의 행동 및 전반적인 특성 파악을 위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셋째, 앞선 사례조사를 통해 유형화한 현재 제공되고 있는 시각자료 및 텍스트 정보 유형의 장단점에 대한 1:1 심층 면접을 진행하였다. 넷째, 위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일차적인 제시 방법을 도출하고, 전문가 집단 5인과의 심층 면접을 통해 이를 검증하고 보완하였다. 마지막으로, 패션 디자이너의 업무 특수성을 고려하여 화면을 통한 소재 인지의 정확성을 향상시켜줄 수 있는 새로운 패션 소재 햅틱 커뮤니케이션 프레임워크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패션 소재 판매 웹사이트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해 총 25가지의 시각자료 유형과 5가지의 텍스트 정보의 제시 유형을 발견하였고, 이에 대한 심층 면접을 통해 가장 효과적인 제시 방법을 선정하였다. 시각자료의 경우 소재 정면 사진, 텍스처 클로즈업 사진, 회오리형 주름 사진, 불규칙적 주름 사진, 드레스폼에 소재를 얹은 사진, 드레이핑이 된 사진, 움직이는 소재 영상, 신축성을 표현하는 영상의 6가지 사진자료와 2가지 영상자료로 구성된 8가지 시각 자료가 필수 자료로 선정되었으며, 텍스트 자료에서는 사실 나열형, 감각 척도형 제시 방법이 선정되었다. 시각자료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자료인 정면 사진은 자를 소재 위에 올려 둔 상태로 소재로부터 30cm 거리에서 촬영하여 제시하고, 클로즈업 사진은 소재로부터 10cm 거리 이내에서 45도로 각도를 틀어서 촬영하여 제시한다. 회오리형 주름 사진과 불규칙적 주름 사진은 소재에 따라 선호되는 형태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나, 일반적으로는 중간 밀도의 사진이 선호되었다. 비침이 있는 소재의 경우 불규칙한 주름 사진의 촬영 시 소재 아래에 배경색으로 피부색과 유사한 색상의 종이를 배치하여 촬영한다. 피부색에 따른 비침 정도와 색상을 확인하기 위해 3가지 명도의 피부 색상을 배경으로 촬영한다. 드레스폼에 소재를 얹은 사진의 경우 드레스폼이 드러나지 않게 소재로 위에서 드레스폼을 덮듯이 얹어 촬영하여 전신이 나타나도록 제시하고, 드레이핑 된 사진은 단순한 원피스 형태로 소재를 드레스폼에 두른 후 허리선을 뒤에서 핀으로 당겨 잡아 드레스폼의 정면에서 전신이 나타나도록 촬영하여 제시한다. 영상자료에서 움직이는 소재 영상은 디자이너들이 실제 소재를 탐색할 때 관찰된 행동에 기반하여 손 뿐만 아니라 손목, 팔의 앞 부분까지 화면에 담길 수 있도록 한다. 신축성을 표현하는 영상은 모눈종이를 배경으로 촬영하고 소재를 당기는 동작과 함께 악력에 대한 정보를 자막으로 제공하여 힘의 강도에 따라 소재가 늘어나는 정도를 보다 정확히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영상 자료의 길이는 약 10초 내외 길이로 20초를 넘기지 않도록 하여 별도의 재생 버튼을 누르지 않아도 되는 gif 형식으로 변환하여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시각적 정보를 제시할 때는 동일한 환경에서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통일감을 전달하여야 한다. 이러한 통일성은 웹사이트 내에서 일관된 경험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느끼는 정보의 전문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키며 사용자의 긍정적인 경험에 기여할 수 있다. 구체적인 정보의 양에 있어서는 간결성이 강조되며 최소 5개에서 최대 10가지 시각 자료의 제시가 권장된다. 많은 정보를 간결하게 제공하기 위해서는 동일한 양의 정보를 제시하더라도 스크롤링을 최소화하는 방식이 효과적일 것으로 파악되었다. 텍스트 정보는 기본적으로 사실나열형 정보와 감각척도형 정보를 제공한다. 사실나열형 정보에서는 객관적으로 전달 가능한 제품번호, 혼용률, 조직, 두께, 원산지, 가격, 폭, 무게, 색상, 팬톤 컬러 번호, 제조 특성, 가공 종류, 염색 종류, 재고/리오더 가능 여부, 추천 제작 복종, 프린트 사이즈를 제시한다. 감각척도형 정보에서는 사실나열형 정보로 제시가 어려운 신축성, 비침, 표면 촉감, 광택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5점 척도를 기반으로 제시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감각척도형 정보에서는 작성자의 전문성에 대한 정보를 반드시 표기하며 주관적인 정보임을 명시하여야 한다. 텍스트형 정보에서는 신뢰성이 가장 강조되므로 주관적인 표현을 삼가며, 주관적인 특성은 감각척도형으로 제시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사실나열형 텍스트 정보에는 양의 제한을 두지 않고 감각척도형 정보의 경우 5가지 이하의 항목으로 제한하는 것이 권장된다.
본 연구에서는 패션 디자이너들을 중심으로 이들이 패션 소재의 햅틱 정보를 어떻게 인지하며, 디지털 환경에서 소재의 햅틱을 더욱 정확히 인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방법으로 소재가 제시되어야 하는지를 고찰하였다. 디지털 환경에서 패션 소재의 햅틱 정보를 제시하는 방법과 디자이너를 중심으로 한 소재 햅틱인지에 관한 선행연구가 매우 부족하므로 본 연구 결과가 이에 대한 학문적 관점을 넓히는데 이바지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앞으로의 후속 연구를 위한 기초가 되는 학술적인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 학문적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실무적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패션 디자이너들이 화면을 통해 촉감을 예측하여 소재를 선택해야 하는 3D 의상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의 서비스 환경 개선을 위한 기반 자료로 사용되어 디자이너들의 업무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둘째, 온라인으로 패션 소재를 판매하는 웹 인터페이스의 발전을 통해 패션 소재 산업의 성장에 기여할 수 있다. 셋째, 직접 패션 소재를 판매하는 시장을 방문하여 스와치를 확보하거나, 패션 소재 업체와의 대면 미팅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으므로 디자이너의 업무 효율성 증대를 가져올 수 있다.
이밖에도,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환경적인 의의가 있다.
현재 패션 디자이너들이 시장조사를 통해 소재 스와치를 수집하는 경우 대부분 무분별하게 스와치를 담아오며 이로 인하여 많은 폐기물이 발생하고 있다. 오프라인 중심의 패션 소재 시장이 디지털화되어 온라인 중심으로 전환된다면 오프라인과 비교하여 구매 또는 스와치 요청에 신중하게 되므로 패션 소재에 대한 소비 습관의 개선을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궁극적으로는 매년 사용되지 않고 버려지는 소재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패션 디자이너를 중심으로 한 디지털 환경에서의 패션 소재의 햅틱에 대한 연구는 시작단계에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패션 소재 제시 방식을 파악하고 각각의 효과를 확인하여 이를 기반으로 기존의 제시 방법을 보완하고 구조적인 체계를 확립하였다. 하지만 결국 햅틱 인지는 인간의 주관적인 감각에 대한 것이며 사용자와, 대상이 되는 패션 소재의 물성에 따른 차이가 있을 것으로 확인되었으므로 업무적으로 활용되기에 충분한 객관성을 확보하기는 어렵다는 한계점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시각적, 언어적 정보와 함께, 물성에 대한 객관적인 수치적 정보 또한 함께 제공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를 위해서는 간소화된 객관적 측정 방법의 개발과 이로부터 얻어진 수치적 정보를 통합적으로 받아들이며 촉감을 느낄 수 있는 패션 디자이너의 역량이 중요하게 작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As physical distancing has been prolonged worldwide due to the recent covid-19 crisis, the demand and dependence on business communication through non-face-to-face and contactless methods is increasing sharply. In general, when fashion designers select a fabric, the physical experience through the swatch is essential. Therefore, it is very difficult to recognize the touch of a fabric in such a digital environment without directly touching it. In particular, the visual information such as photos and videos provided by online fabric suppliers and the explanation presented in a few words are insufficient for fashion designer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abric through the screen. Online fashion retailers tried to provide as much specific information as possible, such as various photos, magnification functions, videos, and real-time chat services to resolve consumer uncertainty.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on haptic devices that deliver a sense of touch. However, since the way in which general consumers and fashion designers perceive fabrics is very different, the level of information that fashion designers want cannot be obtained through the previous studies on general consumers. there is also a lack of academic research that can provide specific guidelines on the types and methods of essential information when showing fabrics to fashion designers through digital screen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iscover an effective way to present fashion fabrics in digital environment.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urrent status of haptic information presented in online fabric shops is analyzed. Second, the sensory perception of fashion designers in the fabric recognition process is investigated. Third, a communication framework to recognize fashion fabrics online effectively is suggested. As for the scope of the study, 20 womenswear designers with 3 or more years of experience were targeted. Based on the result from a preliminary survey, this study was conducted focusing on three types of fabrics (silk, cotton, polyester). For each type, three kinds of fabrics with different thickness, gloss, stretchiness, and drape properties were selected, and a total of nine fabrics were used as samples for experimentation.
The research methods and procedures are as below. First of all, through case studies on domestic and foreign fashion fabric online shops, the types of visual and text information were categorized. Second,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behavior and overall characteristics of the fashion designer's haptic recognition process on fashion fabrics. Third, a 1:1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n the various types of visual and text information. Fourth, a primary method to present fashion fabrics was derived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and it was verified and supplemented through additional in-depth interviews with 5 expert groups. Finally, a haptic communication framework that can improve the accuracy of fabric recognition through the screen was presented.
A total of 25 types of visual information and 5 types of text information were discovered through case analysis of domestic and foreign fashion fabric online shops, and the most effective presentation method was identified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s with fashion designers. In visual information, 6 types of photos were selected, including a frontal photo of the fabric, a close-up of a texture, a photo of a spiral crease, a photo of irregular folds, a photo of the fabric on the dress form, a photo of draping. In addition to the photos, two videos were selected, including a video of moving fabric, and a video showing the stretchiness of the fabric. As a result, eight visual materials were selected as essential information. For text information, fact-listing type and sensory scale type were selected as the most effective presentation methods. In specific, frontal photos, which are the most basic visual information, should be presented with a ruler placed on the top of the fabric and taken at a distance of 30cm from the fabric.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preferred shape depending on the fabric between the photo of spiral crease and the photo of irregular folds, but in general, photos of crease or folds in medium density were preferred. In the case of a fabric with see-through, when taking pictures of irregular folds, placing a piece of paper with a color similar to the skin color under the fabric as the background color is recommended. In the case of a photo with fabric on the dress form, the fabric should be placed on top of the dress form covering the dress form from above. In the photo of draping, a shape of a simple dress is generally recommended for all fabric types and the photo should be taken in the front showing the whole body from head to toes. Moreover, the video of moving fabric should show not only the hand but also the wrist and the front part of the arm to present how the fabric behaves when it is on move. Also, the video showing stretchiness should be filmed with a background of grid paper, and written information about the power of pulling action should be provided as subtitles to more accurately convey the stretchiness of fabric. It is recommended to convert the video to a Gif format that does not require pressing a play button. Also, the duration of the videos should not exceed 20 seconds.
When presenting visual information, unity should be conveyed by allowing the shooting to take place in the same environment every time. This unity provides a consistent experience to users within the website and it improves the professionalism and reliability of the website and contributes to a positive user experience. In terms of the amount of information, conciseness is emphasized, and a minimum of 5 to a maximum of 10 visual information is recommended. In order to provide a lot of information concisely, minimizing scrolling would be effective. In text information, objectively deliverable information should be presenting in fact-listing type including product number, composition, texture, thickness, country of origin, price, width, weight, color, Pantone color number, manufacturing characteristics, processing type, dyeing type, stock/reorder availability, recommended project, and a print size. In the type of sensory scale information, it was found that information on stretchiness, sheerness, surface texture, and shininess which are difficult to present with fact-listed information, should be presented in a 5-point scale. In the sensory scale, information about the writer must be provided and it should be stated that it is subjective information. Since reliability is the most emphasized in textual information, subjective expression should be avoided and subjective characteristics should be presented in the form of a sensory scale. It is recommended to limit the amount of the sensory scale information no more than 5 characteristics but the amount of fact-listing type of information is not limited.
This study examines how fashion designers perceive haptic information of fashion fabrics and how fabrics should be presented in order to be accurately recognized in a digital environment. As there are only very few prior studies on the method of presenting haptic information of fashion fabrics in the digital environ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tribute to broadening the academic perspective. In addition, it has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it can be used as a basis for future follow-up studie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can be used as a basis for improving the service environment of 3D clothing simulation software, which requires fashion designers to select fabrics by predicting tactile properties through the screen, thereby increasing the work efficiency of designers. Second, it contributes to the growth of the fashion fabric industry through the development of a web interface that sells fashion fabrics online. Thir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work efficiency of designers by reducing a market visit to collect fabric swatches or a face-to-face meeting with fabric companies. In addition,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environmental significance. Currently, when fashion designers collect fabric swatches through market research, most of them indiscriminately bring swatches, resulting in a lot of waste. If the offline-oriented fashion fabric market is successfully digitized, purchase or swatch requests can be made more cautiously compared to offline, and it will lead improvement in consumption habit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ultimately, it will be possible to reduce the amount of unused and discarded fabrics every year.
As the research on the haptic of fashion fabrics in the digital environment is in its beginning, this study tried to identify the methods of presenting fashion fabrics and the effects of each. Based on this, the existing presentation methods are supplemented and a conceptual framework has been established. However, in the end, haptic recognition is about the subjective sense of a human, and it is confirmed that there will b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user and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fabrics, so it is difficult to secure sufficient objectivity for business use. To this end, the development of a simplified objective measurement method and the ability of a fashion designer to translate the numerical information obtained to feelings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order to supplement the current limitations.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3151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031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