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만성 요통 노인의 우울 구조 모형 : Depression in Older Adults with Chronic Back Pain: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경은

Advisor
장선주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만성 요통노인노인 우울증구조 모형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간호대학 간호학과, 2022.2. 장선주.
Abstract
만성 요통과 우울증은 노인의 안위를 위협하는 대표적인 건강 문제이다. 특히 노년기의 우울증은 노인의 신체적 질환과 삶의 질에도 영향을 미치며, 나아가 자살을 비롯한 생명까지 위협할 수 있는 심각한 문제이다. 만성 요통과 노인 우울증은 서로 직접적인 상관관계를 가진다. 그러나 만성 요통의 더 큰 문제점은 통증 그 자체를 넘어서, 만성 요통에서 기인된 신체적, 사회적, 정신적 어려움으로 인해 우울증이 야기될 수 있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만성 요통을 호소하는 노인들의 우울을 이해하고 간호학적 돌봄을 시행하기 위해서는 이와 관련된 신체적, 사회심리적, 생물학적 요인들을 통합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만 65세 이상이며, 3개월 이상 지속된 만성 요통을 호소하는 노인들을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대상자들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기 위해 Roy Adaptation Model (RAM)을 적용하여 가설적 모형을 구축한 후,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통해 모형의 적합도 및 요인들의 관계를 검정하였다. RAM의 구성 요소와 문헌고찰을 기반으로 선정한 외생변수는 만성 요통 강도, 기능 장애, 사회적 지지이며, 내생변수는 수면 장애, 통증 파국화, 우울이다. 최종 내생 변수는 우울이고,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성별과 연령, 결혼 상태를 통제하여 분석하였다.
수도권과 광역시에 위치한 노인 종합복지관 5곳에 왕래하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대면 조사(2021년 7월 15일-2021년 8월 6일)와 비대면 우편조사(2021년 9월 3일-2021년 9월 16일)를 통하여 참여자 모집 및 자료 수집을 수행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하여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228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3.0과 AMO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 모형의 적합도 지수는 권장 수준(Normed χ2=1.354, GFI=.940, CFI=.987, TLI=.983, RMSEA=.039)을 만족하여, 연구 모형이 만성 요통 노인의 우울을 설명하고 예측하는데 적절한 모형인 것으로 나타났다. 모형에서 설정된 11개의 경로 중 8개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우울에 대한 변수들의 설명력은 42.4%였다. 우울에 직접 효과를 보이는 요인은 만성 요통 강도, 사회적 지지, 수면 장애, 통증 파국화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 변수 중 우울에 가장 큰 영향력을 보인 변수는 사회적 지지로 확인되었다. 만성 요통 강도는 우울에 직접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측정되었으며, 수면 장애와 통증 파국화를 동시에 매개하여 우울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능 장애는 우울에 직접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통증 파국화를 매개로 하여 우울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회적 지지는 우울에 직접효과를 지니며 수면 장애를 매개로 한 간접적인 영향력을 보였다.
만성 요통 노인의 우울을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대상자의울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가지는 모든 변수들을 통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만성 요통은 대상자들의 신체적, 심리사회학적인 측면 모두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며 우울 증상을 야기시킨다. 그러므로 간호사들은 복잡한 원인과 경로를 가진 만성 요통 노인의 우울에 대한 통합적이고 전문적 지식을 함양하여 우울을 조기 선별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할 것이다. 또한 우울의 예방과 관리를 위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 과정에서도 이러한 요소들을 충분히 고려해야 하며, 프로그램에는 통증 관리, 신체 기능 향상을 위한 운동 요법, 수면의 질 향상을 위한 환경 및 식이 관리, 통증 파국화의 억제를 위한 인지 치료와 상담을 포함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지지는 대상자들의 우울에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진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노년기에는 은퇴와 경제력의 악화, 지인과 배우자의 사망 등으로 갑작스럽게 사회적 지지 체계가 무너질 수 있으므로 대상자들을 위한 긍정적인 사회적 지지 구축은 가장 중요한 핵심 요소가 될 것이다. 이러한 사회적 지지체계의 형성을 위해서는 개인적 노력을 넘어선 사회적 차원의 개입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사회구성원들의 적극적 관심이 요구된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만성 요통 노인의 우울에 대한 심도 깊은 이해의 확장과 이를 다루는 다양한 간호 중재를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Chronic back pain and depression are typical health problems that threaten the safety of older adults. Geriatric depression is a serious problem that can affect older adults' physical illness and quality of life and even threaten their lives, such as suicide. There is a direct correlation between chronic back pain and depression in geriatric patients. However, the more important problem with chronic back pain is that beyond the pain intensity itself, depression can be caused by the physical, social, and mental difficulties that result from chronic back pain. Therefore, to understand and care for depression in older adults with chronic back pain, it is necessary to comprehensively consider the related physical, psychosocial, and biological factors.
In this study, older adults aged 65 years or older who complained of chronic back pain lasted more than three months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A hypothetical model was constructed based on the Roy Adaptation Model (RAM)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in the participants. The fitness of the model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factors were verifi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es. The exogenous variables included chronic back pain intensity, functional disability, and social support, and the endogenous variables included sleep disturbance, pain catastrophizing, and depression. The final endogenous variable was depression.
The participants were older adults who attended five senior welfare centers located in three cities in South Korea, and participant recruitment and data collection were conducted from July to September 2021 via a face-to-face interview or postal service. A total of 228 data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23.0 and AMOS 23.0 programs.
The fitness indices of the hypothetical model complied with the recommended criteria (Normed χ2=1.354, GFI=.940, CFI=.987, TLI=.983, RMSEA=.039), indicating that the hypothetical model was appropriate for explaining and predicting depression in older adults with chronic back pain. Eight of the 11 pathways in the hypothetical model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variables for depression was 42.4%.
Chronic back pain intensity, social support, sleep disturbance, and pain catastrophizing were found to have directly affected depression. Among the variables, social support was found to have the strongest influence on depression. Chronic back pain intensity was measured to affect depression, directly and indirectly by mediating both sleep disturbance and pain catastrophizing. Although functional disability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depression, it was found to affect depression by mediating pain catastrophizing indirectly. Social support had a direct effect on depression and an indirect effect mediated by sleep disturbance.
The study's findings suggest that all variables having a direct or indirect effect on the participants depression should be considered integrally to prevent and manage depression in older adults with chronic back pain. Chronic back pain negatively affects both the physical and psychosocial aspects of the participants and causes depressive symptoms. Therefore, nurses need to acquire integrated and specialized knowledge on depression in older adults with chronic back pain with complex causes and pathways, which is useful for the early detection of depression. In addition, intervention programs aimed at preventing and managing depression in older adults with chronic back pain need to consider the following contents: pain management, exercise therapy to improve physical function, environmental and dietary management to improve sleep quality, and cognitive therapy and counseling to control pain catastrophizing. Finally, in old age, the social support system can suddenly collapse due to retirement, deterioration of economic ability, and the death of acquaintances and spouses;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establish positive social support for older adults with chronic back pain. Social approach intervention beyond individual effort is required to form a positive social support system.
Based on this study, we expect to expand the in-depth understanding of depression in older adults with chronic back pain and to provide various nursing interventions for the caring of depression.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3162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024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