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메이커스페이스(Makerspace) 연구 : A Study on Makerspace : Focusing on Its Urbanism and Placeness
산업공간의 도심화 및 장소화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하정석

Advisor
전상인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메이커스페이스산업공간도시성장소성사이공간미래공장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2022.2. 전상인.
Abstract
Industrial space in Korea has evolved in various ways to reflect changes in the countrys industrial structure since the 1960s, and policy and academic research on industrial space has centered on industrial complexes. Recent research on industrial space has been expanded to various fields such as urban manufacturing, yet current research remains attached to the frameworks in analysis of existing industrial space. Thus there exists a need for new research on diverse industrial spaces and an framework that reflects new trends in industrial space that typify evolving manufacturing paradigms.
New trends in industrial space are characterized by miniaturization, flexibility, and mixed-use development. In this study, I focus on makerspaces, which have rapidly spread since the late 2000s in the worlds major cities. Makerspaces, born amid great social change, reflect the core characteristics of industrial space. So the need for in-depth research on makerspaces in the field of spatial planning is increasing. I analyze the makerspace based on the theoretical perspectives of urbanism in the macroscopic aspect and placeness in the microscopic aspect. I conclude the work by highlighting the contrasts between different makerspaces internationally and describe the implications for spatial planning carried by the results of my analysis.
Makerspaces have their origins in a larger social trend often referred to as the maker movement. While makerspaces are modern industrial spaces in the same way that factories are, producing manufactured goods using labor and capital, they exhibit new characteristics in terms of form, output, subject, and meaning. In addition, makerspaces have adopted some of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countries in which they have emerged. In Korea, makerspaces are typified by the following distinctive aspects: the operating subject of the makerspace, the purpose of the makerspace, and the mechanism by which they operate. That is, they reflect the path dependence of Korea's industrial space policy, which consists of government-led development and they reflect a state spatial strategy for youth and start-up policy.
The urbanism of makerspaces is manifested through entry into the inner cities and their connections with urban capabilities. In penetrating inner cities, makerspaces are becoming industrial spaces that utilize existing urban environment such as commercial buildings, residential areas, and industrial facilities. In addition, they also utilize urban innovation capacity, as represented by its educational and research resources and industrial promotion policies, creating new drivers of economic growth by combining cultural and leisure facilities. This means that convergence with innovation factors is becoming more important than optimization of factor costs and agglomeration economies in the locational determinants of industrial space.
The placeness of makerspaces is being re-formed through an emphasis on taste, the expansion of autonomy, and the strengthening of connections. The emphasis on taste appears in individual production activities and creative corporate forms, and the spread of autonomy in flexible spaces and discretionary working hours testifies to the reemergence of the individual in industrial space. In addition, the normalization of mobile production and the rise of liminal spaces demonstrate strengthened connections within industrial space. This reveals how the value creation process within the industrial space is changing, from forming-placelessness through standardization, uniformity, and compartmentalization to forming-placeness through restoration of individual humanity and interaction.
This study represents an attempt to analyze the makerspace through an analytical framework grounded in urbanism and placeness. It differs from the extant literature research centered on industrial complexes and urban manufacturing. It is through this novel theoretical approach rooted in the academic approach of spatial planning that it contributes to the existing body of knowledge on makerspaces, which thus far have been mainly studied in the fields business administration, entrepreneurship, and engineering.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urbanism and placenesss analysis carry implications for the present moment, when it is urgently necessary to diversify the spatial planning of industrial spaces.
한국의 산업공간은 1960년대 이후 산업구조 변화를 반영하여 다양하게 진화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학술적‧정책적 논의는 산업단지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최근들어 산업공간에 대한 연구가 도심제조업 등 보다 다양한 분야로 확대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이론적 논의는 기존 연구의 연속선상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제조업 패러다임 변화와 산업공간의 진화 추세를 반영하는 이론 정립을 토대로, 보다 다양하고 새로운 산업공간에 대한 학술적‧정책적 논의의 필요성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소형화, 유연화, 복합화로 대표되는 산업공간의 새로운 변화 속에서, 2000년대 후반부터 세계 주요 도시들을 중심으로 급속하게 확산되고 있는 메이커스페이스에 주목하였다. 메이커스페이스는 산업공간의 핵심적 특징들을 잘 보여주면서도, 사회운동의 과정을 통해 탄생하는 등 공간계획학 분야의 심도있는 연구가 필요한 공간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산업공간에 대한 정의, 연원과 그 형성요인에 대한 고찰을 통해, 산업공간의 도시성(urbanism) 및 장소성(placeness) 논의를 중심으로 차별적인 이론적 틀을 구축하였다. 이를 토대로 먼저 메이커스페이스의 본질적 특징을 규명하고 국내외 분포현황을 분석하였다. 아울러 거시적 측면에서 도시성과 미시적 측면에서 장소성의 관점에서 메이커스페이스의 공간적 특성을 분석하여 그 공간계획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또한, 해외 주요국의 메이커스페이스 사례와 비교연구를 통해 메이커스페이스의 한국적 특성을 발견하고 함의를 제시하였다.
먼저, 메이커스페이스는 메이커 운동이라는 사회적 변화에 그 연원을 두고 있다. 또한, 기계에 의한 생산 등 근대에 탄생한 산업공간인 공장(factory)의 본질적 특성과 함께 최근의 변화를 잘 반영하면서도, 형태‧산출‧주체‧의미 등에서 새로운 특징을 보여주는 산업공간(industrial space)이다. 아울러 세계적으로 각 국가의 특성을 반영하며 확산하고 있는데, 한국에서는 운영 주체, 목적, 매커니즘에서 특징적인 모습이 나타나기도 한다. 한국 산업공간 정책의 경로의존성을 반영한 정부주도의 공간구축과 국가 공간전략으로서 청년과 창업의 강조가 그것이다.
거시적 측면에서 메이커스페이스는 도시 내부로 진입과 도시 역량과의 연계를 통해 도시성을 보여주고 있다. 도시 내부로의 진입과정에서 메이커스페이스는 상업건물, 주거지역, 산업시설 등 기존 도시의 여건을 활용하는 산업공간으로 거듭나고 있다. 또한, 교육연구 분야, 산업육성 정책과의 연계를 통해 도시의 혁신역량을 활용하고 있으며, 문화여가 시설과 결합하여 새로운 경제 동인을 창출하고 있다. 이는 요소비용의 최적화, 집적경제의 이익으로 대표되는 산업공간의 입지결정 요인이 혁신요소들과의 결합이 보다 중요해지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미시적 측면에서 메이커스페이스의 장소성은 취향의 중시, 자율의 확산, 연결의 강화를 통해 다시금 형성되고 있다. 개인적 생산활동과 창조적 기업형태로 나타나는 취향의 강조와 유연적 공간, 재량적 근로시간에서 나타나는 자율의 확산은 산업공간 내에서 개인의 재부상을 의미한다. 또한 이동생산의 일상화, 사이공간의 부상이 산업공간 내에서의 연결 강화를 확산시키고 있다. 이러한 양상은 산업공간 내부의 가치창출 방식이 표준화‧획일화‧구획화를 통한 탈장소화에서 개인의 인간성과 상호작용 회복을 통한 장소화로 변화하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기존의 산업공간에 대한 논의들과 차별화되는 도시성 및 장소성의 이론적 논의 제시를 통해, 새로운 산업공간으로서 메이커스페이스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또한, 그간 경영학, 문헌정보학, 공학 등의 분야에서 주로 연구해 오던 메이커스페이스를 공간계획학 분야에서 본격적으로 다루었다는 학술적 의미도 찾을 수 있다. 아울러, 메이커스페이스에 대한 도시성과 장소성 분석의 결과들은 산업공간에 대한 공간계획 기조의 다변화가 필요한 현 시점에서 하나의 방향성과 시사점을 제공한다. 추후 메이커스페이스에 대한 체계적인 운영관리 및 데이터 활용 시스템 구축으로 보다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을 것이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3166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040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