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목표-주제-평가 선택과 지각된 유능감이 수행에 미치는 영향: 자율성을 매개로 : The Effects of Goal-Topic-Evaluation Choices and Perceived Competence on Learning Outcomes: The Mediation Effect of Autonomy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정아

Advisor
신종호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목표선택주제선택평가선택지각된 유능감수행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교육학과, 2022.2. 신종호.
Abstract
The current education system emphasizes personalized education and guarantees student choice. This emphasis on student choice in education is based on the belief that students will be able to take ownership of the task and perform independently when given a choice. However, in contrast,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were somewhat mixed. They found that choice can promote students motivation and performance, but at the same time, may trigger detrimental effects on learning outcomes compared to the condition in which the teacher makes all the decisions and presents them to the students. Accordingly,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reasons for the conflicting effects of choice and identify the conditions under which the positive effects of choice occur.
This study supplemented the limitations of previous studies in the following manner. First, prior studies mainly targeted adults and choice interventions were far away from the real educational contexts in that most of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in the laboratory context. In this respect, there was difficulty in generalizing the research findings to actual educational situations. Accordingly, this study verified whether the positive effect of choice could be observed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s well by recruit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as research participants; it created the choice contexts similar to the actual class by using the task of making a public advertisement.
Second, previous studies tended to simply compare choice and non-choice without considering the influence of individual variables. Therefore, this study added perceived competence as a moderator which could affect the effects of choice. Only a few studies have explored the interaction between choice and competence and showed that choice can be effective only for people with a high competence. However,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SDT) indicates that the positive effect of choice can occur regardless of the students competence if the choice consists of a situation that sufficiently promotes the students autonomy.
Third, in previous studies, choice was mainly limited to topic choice, and thus, this study diversified the areas of choice into goal, topic, and evaluation and compared the effects of each choice to identify which choice could be helpful for students who have a low perceived competence for the task.
305 students in 5th and 6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were assigned to four different groups: goal choice group, topic choice group, evaluation choice group, and no-choice group. This study examined whether students' perceived competence moderated the strength of the mediated relationships between choice and learning outcomes (i.e. task effort and performance) via autonomy.
The main result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hoice group perceived greater autonomy for the task than the non-choice group, and thus, put more effort into the task. At this time, the positive effect of the choice was the same regardless of the students' perceived competence for the task. This result was in line with previous SDT-based studies that showed positive effect of choice, and implies that educators should consider provision of choice as an autonomy-supportive strategy to enhance students motivation and performance.
Second, the goal/topic choice group perceived higher autonomy on the task than the evaluation choice group, which resulted in greater effort for the task. This result indicates that evaluation choice is less likely to promote students internalization of the task because it makes them more focused on the evaluation than the task activity itself, unlike goal/topic choice which emphasizes the meaning or content of the task.
Third, compared with topic choice, the positive effect of goal choice on effort through autonomy increased as the student's perceived competence decreased. Students with high competence reported the same level of autonomy in the goal choice group and the topic choice group and the effort they put into the task was similar, but when students with low competence were given goal choice treatment, they experienced greater autonomy and put more effort into the task than those who received topic choice treatment. This indicates that having students choose their own goal itself acts as a choice that compensates the negative effects of low competence.
Fourth, the choice group had higher performance on the task than the non-choice group, and in particular, the performance of the goal choice group was higher than the rest of the choice groups. However, the mediating effect of autonomy was not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oice and performance. This shows that when students are given choices, they not only put more effort into the task, but also benefit in terms of performance. Moreover, it implies, although autonomy could be a medi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hoice and motivation, there might be other variables that could explain why choice impacts positively on performance.
오늘날 교육은 학생 맞춤형 교육을 강조하며 학생의 선택권을 보장하고 있다. 이렇게 교육에서 학생의 선택을 강조하는 것은 학생이 선택권을 부여받았을 때 과제에 주인의식을 가지고 자기주도적으로 과제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라 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와 달리 선행연구의 결과는 다소 혼재되어 나타났다. 선택은 학생의 동기와 수행을 촉진하기도 하지만 동시에 교사가 모든 것을 결정해서 학생에 제시하는 조건보다 더 낮은 학습효과가 발생할 수 있음이 드러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택의 상반된 효과가 발생한 이유를 탐색하고 선택의 긍정적 효과가 발생하는 세부 조건을 찾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의 한계를 다음과 같이 보완하였다. 첫째, 선행연구는 주로 성인을 대상으로 수행되었고 선택상황이 학습상황과 동떨어지게 조성되어 연구 결과를 실제 교육 맥락에 일반화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연구참여자로 모집하여 선택의 긍정적 효과가 초등학생에게도 나타날 수 있는지 확인하였고, 공익광고 만들기 과제를 활용하여 실제 수업과 유사한 형태로 선택환경을 조성하였다.
둘째, 선행연구는 개인 변인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선택과 비선택을 비교한 경향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선택의 효과를 조절하는 변인으로 지각된 유능감을 설정하였다. 선택과 유능감의 상호작용을 탐색한 연구는 소수에 불과하며, 이들 연구는 유능감이 높은 사람에게만 선택이 효과적일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자기결정성이론에서는 선택이 학생의 자율성을 충분히 촉진하는 상황으로 구성된다면 선택의 긍정적 효과는 학생의 유능감과 관계없이 발생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선행연구에서 선택은 주로 주제선택에 한정되었음에 주목하여 본 연구는 선택의 영역을 목표, 주제, 평가로 다양화하고 세부 선택의 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과제에 대한 유능감을 낮게 지각하는 학생에게도 도움이 될 수 있는 선택이 무엇인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5, 6학년 305명을 대상으로 선택의 학습효과를 탐색하고 이러한 효과가 학생의 지각된 유능감에 따라 달라지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사전에 과제에 대한 유능감을 측정하고 1) 과제 목표를 선택하는 집단, 2) 과제의 주제를 선택하는 집단, 3) 과제에 대한 평가 방법을 선택하는 집단, 4) 비선택 집단 중에 하나에 할당되어 연구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선택 집단은 비선택 집단보다 과제에 대한 자율성을 높게 지각하고 이로 인해 과제에 더 큰 노력을 투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선택의 긍정적 효과는 과제에 대한 학생의 지각된 유능감과 관계없이 동일하였다. 이는 선택의 긍정적 효과에 주목한 자기결정성이론의 논의와 일치하는 결과로, 학생의 자율성을 촉진하는 환경으로 선택권 제공을 중요하게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둘째, 목표선택과 주제선택 집단은 평가선택 집단보다 과제에 대한 자율성을 더 높게 지각하고 이로 인해 과제에 더 큰 노력을 기울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목표선택과 주제선택은 과제의 의미 혹은 내용과 관련된 선택이지만 평가선택은 학생이 과제 활동 자체보다 평가상황에 더 몰입하게 만들어 과제의 내재화를 덜 촉진할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셋째, 주제선택과 비교하였을 때, 목표선택이 자율성을 매개로 노력투입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은 학생의 지각된 유능감이 낮을수록 더 강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능감이 높은 학생은 목표선택과 주제선택 상황에서 같은 수준의 자율성을 보고하면서 과제에 투입하는 노력도 비슷하게 나타났지만, 유능감이 낮은 학생은 목표선택 처치를 받았을 때, 주제선택 처치를 받은 학생보다 더 큰 자율성을 경험하고 과제에 더 노력을 투입하였다. 이는 목표선택이 낮은 유능감의 부정적 영향을 보완하는 선택으로 작용함을 시사한다.
넷째, 선택 집단은 비선택 집단보다 과제에서 더 높은 수행을 보였고, 특히 목표선택 집단의 수행은 주제선택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선택이 수행을 높이는 데 자율성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는 학생에게 선택권을 제공할 때, 학생은 과제에 더 큰 노력을 투입할 뿐만 아니라 수행의 측면에서도 이득을 얻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선택이 학생의 동기를 유발하는 데 자율성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지만, 선택이 수행을 촉진하는 데는 자율성 외에 다른 변인이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3176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078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