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사물과 인간의 얽힘을 통해 본 앎과 교육의 실천 : The entanglement of people and things in practice of education and knowledge
- 목공의 세계를 사례로 -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은아

Advisor
조용환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상황학습사물과 인간의 얽힘(관계)물질성목공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교육학과, 2022.2. 조용환.
Abstract
Human beings are born in a specific world and learn the culture of that world, learn how to live, and realize new possibilities. Culture can sustain its existence and value through the process of being actively enjoyed and re-created through generations. However, in order for culture to travel like this, heterogeneous entities are needed that make concrete experiences and actions possible. To experience and enjoy culture in daily life is not through cognitively accepting rules or systems of meaning but through active interactions with things and people that shape everyday life. Therefore, in order to understand how the practice of education, which teaches and learns culture, realizes new possibilities, and makes a change into a better being, is manifested in a specific time and space, it is necessary to look at the specific situation formed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things and people.
This study tried to reveal how knowledge and education are practiced in the entanglement of things and humans through a case of sustaining Korean woodworking culture. JJamachum woodworking was a woodworking culture that blossomed during the Joseon Dynasty, and was maintained by a small number of craftsmen as the necessity and value of manual work was underestimated through the period of moder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However, around the 2000s, ordinary people who are interested in woodworking have not only learned woodworking and made new pieces of the woodwork but have also been actively communicating by registering and sharing the production process and works online. In this study, in order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ings and people that made this process possible, the JJamachum education center was selected as a research site, and long-term participatory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s with instructors and learners, and online and offline field data surveys were conducted.
Through the research, it was possible to discover important events in the process of teaching the knowledge of woodworking to future generations by Baek Man-ki who learned woodworking from Jo Seok-jin. The world of woodworking was not given as a fixed entity from Jo Seok-jin to Baek Man-ki and from Baek Man-ki to subsequent generations but was constantly changing as it was recontextualized in the entanglement of things and people. The recontextualization of the woodworking world can be divided into four major categories. First, through the 'revival of hand tools,' how hand tools, which only a few craftsmen know and were not shared in a closed culture, came to be, and how it was shared with previous generations. I could understand what the difference was. Today, hand tools such as marking knives and planes have become accessible to anyone who wants to learn crafting woodworking as they are connected to Baek Man-ki, books, QR codes, internet cafes, and YouTube. And the way the instructor learned while watching how to use hand tools changed to teaching and learning with systematically organized principles and verbal expressions.
Next, 'change of tree' revealed what kind of materiality the wood used in today's carpentry workshops had, and the changed knowledge and practice of education through these trees. As learners in the carpentry workshop use sawn wood,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making good wood such as logging, sawing, drying and maturation are limited, and their skills and knowledge of handling wood are changing. This situation of wood has two aspects: on the one hand, the possibility of more convenient access to woodworking is obtained through an easy-to-use wood, but on the other hand, teaching and learning the power or knowledge of seeing wood is excluded.
The recontextualization of the world of woodworking was next to be found in 'the creating of an educational place'. The arrangement of the place called JJamachum education center was involved in pursuing the values of education such as openness, exchange, and time for sufficient skill. In addition, in the JJamachum education center, which does not aim to produce and sell works or products, they were learning in a style of school class through educational activities such as lectures, demonstrations, practice, one-on-one lessons, and joint feedback, rather than observing the professor's work process. These educational activities were being ordered together with things such as the teacher's workbench, the blackboard, and the learner's personal workbench. On the other hand, the JJamachum education center is a place to teach in-depth principles rather than simple usage, but as a membership wood workshop, it can be seen that it can be a different place depending on the expectations and goals of the learners.
Finally, in 'creating a new tradition', we could see how JJamachum furniture is changing today, and the world of woodworking is being recontextualized as the people who make it go online and offline to create a new tradition. JJamachum furniture was made differently according to today's furniture, living environment, tastes, and interests, not in a way that reproduces the things of the Joseon Dynasty as it is. In addition, the people at the JJamachum education center were making their own furniture by using apps such as Pinterest on their smartphones to search for and transform images needed for custom woodworking. Apps such as Pinterest were contributing to broadening the knowledge of furniture design, but on the other hand, due to the properties of wood that cannot be seen through images alone, they were making it necessary to teach the experts. Meanwhile, people were sharing and empathizing with the process and results of woodworking through apps such as Instagram, connecting teaching and learning of woodworking both in and off-line as well as at the JJamachum education center.
The world of woodworking and the practice of knowledge and education within it were recontextualized according to when, how, and where they were connected with various materials. In this regard, in the practice of education, it was discussed that materials such as things are not passively given or the cause of change, but have the power to bring about change in the practice of education by making large and small differences in relationships with humans. And knowledge is not in the head or in a book, but in a specific situation, the type and scope of the knowledge change depending on the various materials that make it possible, and it has a unique boundary. Therefore, it was discussed that the interaction with things that enable the process of knowing something should be considered more important than knowledge as a resul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ed as a concrete case that the problem of what is the practice of knowledge and education that we can participate in and how to make it possible cannot be separated from the relationship with materials such as things.
인간은 특정한 세계에 태어나 그 세계의 문화를 가르치고 배우며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를 알아가고 새로운 가능성을 실현해 나간다. 문화는 세대를 거치면서 적극적으로 향유되고 재창조되는 과정을 통해 그 존재와 가치가 지속될 수 있다. 그런데 이처럼 문화가 이동하기 위해서는 문화에 대한 구체적인 체험과 행위를 가능하게 만드는 다양한 존재들이 필요하다. 문화를 일상 속에서 체험하고 향유하는 일은 의미의 규칙이나 체계를 인지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닌 생활세계를 이루고 있는 사물들, 사람들과의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통해서이다. 따라서 문화를 가르치고 배우며 새로운 가능성을 실현하고 더 나은 존재로의 변화를 만들어 가는 교육의 실천이 특정한 시공간에서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사물과 사람의 관계를 통해 형성되는 구체적인 상황을 살펴보는 일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목공 문화가 저변을 확대하며 오늘날까지 지속되어 온 과정을 사례로 하여 사물과 인간의 얽힘 가운데 앎과 교육이 어떻게 실천되는지를 드러내고자 하였다. 짜맞춤 목공은 조선시대에 꽃피운 목공 문화로 근대화와 산업화 시기를 거쳐 수작업의 필요성과 가치가 낮게 평가되면서 소수의 장인들에 의해서 명맥을 유지하고 있었다. 그런데 2000년대를 전후로 목공에 관심이 있는 일반인들이 짜맞춤 목공을 배워 새로운 짜맞춤 가구를 만들 뿐만 아니라 제작과정과 작품을 온라인에 등록하고 공유하며 활발한 소통을 해나가고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과정을 가능하게 한 사물과 인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짜맞춤 전수관을 연구현장으로 선정하여 장기간의 참여관찰, 교수자 및 학습자와의 심층면담,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의 현지자료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를 통해 짜맞춤 목공을 조석진으로부터 배운 백만기가 이후 세대들에게 목공의 앎을 가르치는 과정에서 중요한 사건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목공의 세계는 조석진으로부터 백만기로, 백만기로부터 이후 세대로 고정된 실체로 주어져 있는 것이 아니라 사물과 사람의 얽힘 가운데 재맥락화되며 계속 변화하고 있었다. 목공 세계의 재맥락화는 크게 네 가지로 구분하여 살펴볼 수 있는데, 먼저 수공구의 부활을 통해 소수의 장인들만 알고 있고 폐쇄적인 문화 가운데 공유되지 않았던 수공구가 어떻게 짜맞춤 전수관에 있게 되었는지, 이전 세대와의 차이는 무엇인지를 이해할 수 있었다. 오늘날 먹금칼과 대패라는 수공구는 백만기, 책, QR코드, 인터넷 카페, 유튜브와 연결되어 짜맞춤 목공을 배우고자 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든지 접근할 수 있는 것이 되었다. 그리고 교수자가 수공구를 사용하는 모습을 바라보며 배웠던 방식은 체계적으로 정리된 원리와 언어적 표현과 함께 가르치고 배우는 것으로 변화하였다.
다음으로 나무의 변화는 오늘날 목공방에서 다루게 되는 나무가 어떠한 물질성을 가지게 되었으며, 이러한 나무를 통해 변화된 앎과 교육의 실천을 드러내고 있었다. 목공방의 학습자들은 제재된 나무를 사용하게 되면서 벌목, 제재, 건조, 숙성과 같이 좋은 나무를 만드는 일에 참여할 기회가 제한되고 나무를 다루는 기술과 앎도 달라지고 있었다. 나무가 갖는 이러한 상황성은 이중적인 측면을 갖는데 한편으로는 쉽게 쓸 수 있는 나무를 통해 짜맞춤 목공에 보다 편하게 접근할 수 있는 가능성을 얻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나무를 보는 힘이나 앎을 가르치고 배우는 일은 제외되고 있었다.
목공 세계의 재맥락화는 그 다음으로 교육 장소의 탄생에서 찾아볼 수 있었다. 짜맞춤 전수관이라는 장소의 배치와 구성 요소들은 개방성, 교류, 충분한 숙련의 시간이라는 교육의 가치를 추구하는 일에 관여하고 있었다. 또한 작품이나 상품의 제작과 판매를 목적으로 하지 않는 짜맞춤 전수관에서는 교수자의 작업과정을 지켜보는 방식이 아니라 강의와 시범, 실습, 일대일 레슨, 공동 피드백과 같은 교육활동을 통해 수업식으로 배우고 있었다. 이러한 교육활동은 교수자 작업대, 칠판, 학습자의 개인 작업대와 같은 사물과 함께 질서화되고 있었다. 한편 짜맞춤 전수관은 단순한 사용법이 아닌 깊이 있는 원리를 가르치기 위해 장소화 되어 있지만, 회원제 목공방으로서 학습자들이 가지고 있는 기대나 목표에 따라 다른 장소가 될 수 있음을 볼 수 있었다.
끝으로 새로운 전통 만들기에서는 짜맞춤 가구가 오늘날 어떻게 변화하고 있으며, 이를 만드는 사람들이 온-오프라인을 오고 가며 새로운 전통을 만들어 가는 과정으로 목공의 세계가 재맥락화 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짜맞춤 가구는 조선시대의 것을 그대로 재현하는 방식이 아닌 오늘날의 가구, 주거환경, 취향, 관심 등에 따라 다르게 만들어지고 있었다. 또한 짜맞춤 전수관의 사람들은 핀터레스트와 같은 앱을 스마트폰으로 사용하며 짜맞춤 목공에 필요한 이미지를 검색하고 변형하면서 자신만의 가구를 만들어 가고 있었다. 핀터레스트와 같은 앱은 가구디자인에 대한 앎을 폭넓게 만드는 데 기여하고 있었는데, 반면 이미지만으로는 볼 수 없는 나무의 물성으로 인해 숙련자의 가르침을 필요로 하게 만들고 있었다. 한편 사람들은 인스타그램과 같은 앱을 통해 목공의 과정과 결과를 공유하고 공감하면서 짜맞춤 전수관에서뿐만 아니라 오프라인으로 목공을 가르치고 배우는 일을 연결해 나가고 있었다.
목공의 세계, 그리고 그 안에서의 앎과 교육의 실천은 다양한 물질들과 언제, 어떻게, 어디에서 연결되는가에 따라 재맥락화되고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교육의 실천에서 사물과 같은 물질들은 수동적으로 주어져 있거나 변화를 결정하는 원인이 아니라, 인간과의 관계 가운데 크고 작은 차이를 함께 만들며 교육의 실천에 변화를 가져오는 힘이 있음을 논의하였다. 그리고 앎은 머릿 속이나 책에 있는 것이 아니라 구체적인 상황 가운데 이를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물질들에 따라 그 종류와 범위가 달라지며 독특한 경계를 갖게 된다. 따라서 결과로서의 지식보다 무엇인가를 알아가는 과정을 가능하게 하는 사물들과의 상호작용을 더 중요하게 고려해야 함을 논의하였다.
이 연구는 우리가 참여할 수 있는 앎과 교육의 실천은 무엇이며, 어떻게 그것을 가능하게 할 것인가의 문제는 사물과 같은 물질들과의 관계와 분리될 수 없음을 구체적인 사례로 드러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3268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166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