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아동의 말라리아 감염과 정주환경의 관계 : Malaria infection among children and settlement environments in sub-Saharan Africa: Focusing on a scale measure of urbanicity for human settlement
정주지의 도시성을 중심으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부열-
dc.contributor.author손휘주-
dc.date.accessioned2022-06-22T15:06:38Z-
dc.date.available2022-06-22T15:06:38Z-
dc.date.issued2022-
dc.identifier.other000000171539-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83271-
dc.identifier.uri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1539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2022.2. 김부열.-
dc.description.abstract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서 말라리아는 아동 사망의 주요 원인이자 지속가능한 발전을 가로막는 난제이다. 아프리카의 말라리아 문제에서 주목할 점은 정주환경의 도시성과 관련된 말라리아 유병률의 공간적 격차가 지속된다는 사실이다. 도시성과 말라리아의 관계에 관한 연구는 지속되어 왔으나, 선행 연구는 도시성을 도시-농촌이라는 이분법적 개념으로 단순화하거나 특정 국가 및 지역에 한정하여 도시성 효과를 분석하였다는 한계를 지닌다. 도시성을 다면적으로 측정하여 다수의 국가를 대상으로 말라리아에 미치는 도시성의 효과를 분석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정주환경의 특성을 종합하는 다면적 도시성 변수를 개발하고,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서 정주지의 도시성이 아동의 말라리아 감염 및 커뮤니티 유병률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커뮤니티의 정주환경 특성을 종합하여 도시성을 다면적으로 측정하고 정주지 유형을 6가지(주요 도시, 일반 도시, 도시 슬럼, 타운, 일반 농촌, 원격 농촌)로 구분하였다. 또한, 공간 스케일(대륙, 거시지역, 국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도시성의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20개국이며, 시간적 범위는 2012년부터 2019년이다. 주요 분석 자료로 인구보건조사(DHS), 말라리아 아틀라스 프로젝트(MAP) 자료, 글로벌 인간 정주 레이어(GHSL)를 활용하였다. 실증 분석은 두 단계로 이루어진다. 분석 1단계에서는 아동 말라리아 감염에 미치는 도시성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다수준 로지스틱 회귀모형과 메타분석을 활용하였고, 분석 2단계에서는 커뮤니티의 말라리아 유병률에 미치는 도시성의 공간적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공간회귀분석과 지리가중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성이 높은 정주지일수록 아동이 말라리아에 감염될 확률이 낮아졌다. 도시 지역 중에는 도시 슬럼이, 농촌 지역 중에는 원격 농촌에서 감염 확률이 높았다. 다만, 말라리아 감염 확률을 낮추는 도시성 효과의 크기는 거시지역 및 국가별로 이질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접 커뮤니티의 도시성이 높을수록 특정 커뮤니티의 말라리아 유병률이 낮아지는 파급효과가 존재했다. 인접 커뮤니티의 말라리아 유병률이 높으면 특정 커뮤니티의 말라리아 유병률이 높아지는 말라리아의 전염성도 확인되었다. 한편, 도시성이 말라리아 유병률에 미치는 국지적 효과는 커뮤니티에 따라 달랐는데, 많은 커뮤니티에서 도시성이 말라리아 유병률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그 효과의 크기는 이질적이었다. 일부 커뮤니티에서는 반대로 도시성이 유병률을 높이거나 유의한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말라리아 문제 해결에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한다. 첫째, 아프리카에서 말라리아 예방 및 통제 프로그램을 시행할 때 도시성 효과가 낮은 지역을 우선적 대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특히, 말라리아 감염 위험이 큰 것으로 확인된 도시 슬럼과 원격 농촌에 대한 관심이 요구된다. 다만, 도시성이 말라리아 감염에 미치는 효과의 정도가 국가에 따라 달라진다는 점에서, 국가별 정주환경 특성과 말라리아 감염 현황을 추가적으로 고려한 후에 프로그램의 대상지를 선정해야 한다.
둘째, 한 커뮤니티의 도시성과 말라리아 유병률이 다른 커뮤니티에 영향을 주는 공간적 파급효과가 있다는 사실은 말라리아 프로그램의 공간적 범위를 설정할 때 해당 지역만이 아니라 인접한 지역의 특성까지 함께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유병률이 높거나 도시성이 낮은 커뮤니티에 인접한 지역에서는 이들 커뮤니티를 포괄하는 범위가 설정되어야 한다. 한편, 일부 지역은 도시 지역임에도 불구하고 도시성의 효과가 없거나 도시성이 유병률을 높이기도 한다는 분석 결과는, 도시 지역 내 유병률이 높은 커뮤니티에 대한 지속적인 말라리아 프로그램을 추진해야할 실증적 근거가 될 수 있다.
이처럼 본 연구는 정주환경의 도시성을 다면적으로 측정하여 정주지 유형을 세분한 뒤, 도시성이 말라리아 감염 및 유병률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하고 정주지 유형 간 말라리아 문제의 격차를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를 지닌다. 또한, 말라리아 프로그램의 대상지 및 공간 범위를 설정할 때 정주환경을 고려하여 수립되어야 함을 뒷받침하는 객관적 근거를 제시하였다는 데 연구의 실천적 의의가 있다.
-
dc.description.abstractrural region. However, effect size of urbanicity lowering the probability of malaria infection wa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1장 서론 1
1. 연구 배경 및 목적 1
2. 연구 범위 및 방법 3
1) 연구 대상 및 범위 3
2) 연구 방법 4
3. 연구 구성 5
제2장 이론 및 문헌 고찰 6
1. 말라리아의 보건지리 6
1) 말라리아 역학과 프로그램 6
2) 말라리아 영향 요인과 지리 9
2. 정주환경의 도시성과 보건 12
1) 정주환경의 도시성과 정주지 유형 12
2) 도시성 측정 및 정주지 유형 구분 15
3. 선행연구 검토 및 연구 차별성 18
1) 말라리아와 도시성에 관한 연구 18
2) 연구 차별성 21
제3장 자료 및 분석 방법 23
1. 분석 자료 및 범위 23
2. 연구 질문 및 분석 방법 26
3. 말라리아 감염 및 유병률 29
4. 정주지의 도시성 31
1) 도시성 측정 및 정주지 유형 구분 32
2) 변수 설정 결과 및 평가 39
5. 윤리적 고려 43
제4장 말라리아 감염에 미치는 도시성 효과 44
1. 분석 모형 44
1) 다수준 로지스틱 회귀분석 45
2) 메타분석 46
2. 분석 자료 48
3. 분석 결과 51
1) 말라리아 감염과 정주지 유형의 관계 51
2) 국가 및 거시지역별 말라리아 감염과 정주지 유형의 관계 54
제5장 말라리아 유병률에 미치는 도시성의 공간적 효과 59
1. 분석 모형 59
1) 공간회귀분석 60
2) 지리가중회귀분석 63
2. 분석 자료 64
3. 분석 결과 66
1) 도시성의 파급효과 66
2) 도시성의 국지적 효과 69
제6장 결론 74
1. 연구의 요약 및 시사점 74
2. 연구의 의의 및 한계 76
부록 77
참고문헌 83
Abstract 110
-
dc.format.extent123-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dc.subject말라리아-
dc.subject정주환경-
dc.subject도시성-
dc.subject보건지리-
dc.subjectsub-Saharan Africa-
dc.subjectmalaria-
dc.subjectsettlement environment-
dc.subjecturbanicity-
dc.subjecthealth geography-
dc.subject.ddc711-
dc.title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아동의 말라리아 감염과 정주환경의 관계-
dc.title.alternativeMalaria infection among children and settlement environments in sub-Saharan Africa: Focusing on a scale measure of urbanicity for human settlement-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Shon Huijoo-
dc.contributor.department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dc.description.degree석사-
dc.date.awarded2022-02-
dc.title.subtitle정주지의 도시성을 중심으로-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71539-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7▲000000000054▲000000171539▲-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