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사회적 발화로서 가족의 장애 재현 : Representation of the familys disability as a social speech
장애인 가족 제작 다큐멘터리 영화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한종태

Advisor
김홍중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장애가족재현발화담론정동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회과학대학 사회학과, 2022.2. 김홍중.
Abstract
This study deals with the representation of the familys disability from the perspective of Sociology. The disability is socially formed; cultural representation has the key of that reproduction process. As a result, in this study representation was explored as a major subject, not as a means. Representation is an act that involves 'seeing' and conducted by whom in the position of the strong. Therefore, the representation of disability can be seen as an act of placing the disabled in inferiority by the powerful. From this point of view,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how the family's disability representation differs from other disability representations.
Previously, if disability was considered as a shame to hide, today we can find a movement to more actively represent their familys and own disabilities. If the former superficially represents disability, reproduces repressive mechanisms, and conveys anxiety about survival, the latter represents disability in depth, accuses repressive mechanisms, and expresses various emotions driven from disability. These differences require academic attention to this new type of representation.
Accordingly, among documentary films released after 2000, works that represent familys disability were searched for as research subjects. Director Kwon Woo-jung's film , director Lee -kil Bora's film , and director Jang Hye-yeong's film were selected as specific subjects and attempted text analysis. Three films were approached based on 'consumerism' from Disability studies and 'familism' from Sociology. In addition, 'semiology' was taken as a methodology, so films were considered a sign, and making representation was interpreted as speech and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the film were interpreted as communication. In other words, a study was conducted on an attempt of linguistic approach, what form, strategy, and content the representation conveys.
Since the three films took the form of videos, they strategically used the genre attribute and universal grammar of documentary film for implying meaning. So, the contents took the form of semiosis that generated affect to viewers. In other words, the representation took a genre strategy in the form of an image, assumed a non-disabled listener, and uttered a specific discourse through emotion. And here, the message delivered was determined according to how the director accepts the disability and how the emotions of the parties or neighbors are expressed accordingly.
Based on these results, the representation of familys disability can be interpreted as 'social speech' as a practice to redefine the disability. In other words, representation is performed socially, made in society, and influenced society. Therefore, when Sociology is a study of 'social things', representation should be treated importantly in Sociology and detailed fields derived from Sociology. In the end, the representation of familys disability is a 'social thing' and is distinguished from other representations of disability, and their representations should be the serious subjects of research in the Sociology studies.
본 연구는 사회학의 관점에서 가족의 장애 재현을 다룬다. 장애는 사회적으로 형성되는데, 그 과정의 중심에 문화적 재현이 자리한다. 이에 재현을 수단이 아닌 주요 대상으로 탐구하게 되었다. 재현은 보는 것을 수반하는 행위로서 강자의 위치에서 이루어진다. 이에 장애 재현은 권력자가 장애를 열등한 것에 위치시키는 행위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가족의 장애 재현은 다른 장애 재현과 어떻게 다른지 밝히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기존에는 장애가 숨기고 싶은 부끄러운 것으로 재현되었다면, 오늘날은 가족 및 본인의 장애를 보다 적극적으로 재현하는 움직임을 찾을 수 있다. 전자가 장애를 표면적으로 재현하고, 억압적 기제를 재생산하며, 생존에 대한 불안을 전달하는 것이라면, 후자는 장애를 심층적으로 재현하고, 억압적 기제를 고발하며, 장애로부터 추동되는 다양한 감정들을 표현하는 것이다. 이러한 차이는 새로운 장애 재현에 대한 학술적 관심을 요한다.
이에 2000년 이후 개봉한 다큐멘터리 영화 중 가족의 장애를 재현하는 작품을 연구대상으로 물색하였다. 권우정 감독의 영화 , 이길보라 감독의 영화 , 장혜영 감독의 영화 을 구체적인 대상으로 선정하여, 텍스트 분석을 시도했다. 장애학의 관점에서 당사자주의, 그리고 사회학의 관점에서 가족주의를 토대로 세편의 영화에 접근하였다. 또한 기호학을 방법론으로서 취하여 재현물을 하나의 기호로 생각하였고, 자연스럽게 재현은 발화, 재현물의 생산과 소비는 의사소통 행위로 해석하여 언어학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환언하면, 재현이 어떤 형태로, 어떤 전략으로, 어떤 내용을 전달하는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이 된 세 편의 재현물은 영상의 형태를 띄고 있기 때문에, 다큐멘터리라는 장르적 속성과, 영상 보편 문법을 전략적으로 활용하며 의미를 함축하고 있었다. 그리고 그 내용은 시청자들에게 정동을 발생시키는 의미 전달의 형태를 띄고 있었다. 즉, 재현물은 영상의 형태로서 장르적 전략을 취하며 비장애인 수신자를 상정하여 특정한 담론을 감정을 매개로 발화하고 있었다. 그리고 여기에서 연출자가 장애를 어떻게 수용하고 있는지, 또 그에 따른 당사자 혹은 주변인들의 감정이 어떻게 표현되는지에 따라 전달되는 메시지가 결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논의하면, 가족의 장애 재현은 장애를 재정립하려는 실천으로서 사회적 발화로 해석할 수 있다. 즉, 재현 및 그로 인해 파생되는 재현물은 사회적으로 행해지고, 사회 속에서 만들어지고, 사회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사회학이 사회적인 것을 연구하는 학문이라고 할 때, 사회학 및 사회학에서 파생된 세부 분야에서 재현(물)은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한다. 결국 가족의 장애 재현은 사회적인 것으로서 다른 장애 재현과 구분되는 것이며, 그 재현 행위와 재현물은 사회학의 진중한 연구 대상이 되어야 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3273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077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