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소비자의 프리사이클링 행동에 관한 연구 : Consumers' Precycling Behavior : Focused on Packaging Reduction
포장재 감축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허민영

Advisor
여정성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프리사이클링폐기물지속가능성제로웨이스트녹색소비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생활과학대학 소비자학과, 2022.2. 여정성.
Abstract
The waste problem that threatens sustainability is caused by resource abuse of manufacturers and consumers uncritical acceptance on such practice. As current capacity to accommodate wastes is reaching its limit, it has begun to discuss waste reduction that prevent waste from being generated beyond the management of already discharged wastes. As a result, consumers also started to conduct precycling by purchasing products that generate less waste or are easy to recycle and by selecting relevant retailors.
However, there is currently a lack of research that has clearly defined the concept of precycling or verified the determinants of precycling, and precycling behavior measure is also inadequate.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conceptualize precycling, develop measuring questions of precycling behavior, examine the level of precycling of consumers in Korea and verify determinants of precycling.
To achieve these objectives, this study identified the concept of precycling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collected precycling behavioral cases based on YouTube content analysis, and then derived sub-dimensions of precycling behavior. As a result, a total of five sub-dimensions of precycling were confirmed: "Purchase of products inducing proper recycle," "Plastic replacement," "Prevention of packaging waste," "Selection of stores or brands," and "Prevention of product waste.
Since most of the waste that consumers discharge is packaging materials, this study attempted to develop measuring questions of precycling behavior focusing on 'Packaging Reduction'. Accordingly, the measuring questions of precycling behavior related to packaging were constructed based on the precycling behavioral cases collected by Youtube content analysis. Using these questions, this study conducted online surveys of 532 consumers and then validated the proposed questions qualitatively and statistically. In this surve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precycling attitudes, perceived precycling infrastructure and precycling behavioral level were measured. Also, this study conducted a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to identify determinants of precycling behavior and a cluster analysis to classify precycling types of consumers. The results and conclusions derived through this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descriptive statistics on consumers' precycling attitudes, perceived precycling infrastructure, and precycling behavioral levels showed that consumers had positive attitudes toward precycling, but negatively evaluated precycling infrastructure and tended not to perform precycling. As the attitude-behavioral gap shown in previous studies was also observed in precycling, it suggested that in order to solve the waste problem, it should not only foster consumer attitudes but also promote actual levels of behavior.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need to improve infrastructure and raise awareness of it by increasing alternatives related to precycling.
Second,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precycling attitude and perceived precycling infrastructure significantly increased the degree of precycling behavior and in particular, the influence of infrastructure was the greatest. Amo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consumers in their 40s performed more than those in their 20s and unmarried consumers practiced more than married. This result suggests that individual consumers attitude toward precycling is important in precycling behavior, though, the precycling infrastructure surrounding consumers should also be supported.
Third, the result of cluster analysis with precycling attitudes, perceived precycling infrastructure, and precycling behavior classified consumers into High, Low, and Inconsistent groups. Among them, the Inconsistent group showed a tendency not to conduct precycling due to the low preceived precycling infrastructure despite the highest precycling attitude among the three groups. Meanwhile, the High group had a highest precycling behavioral level in spite of lower precycling attitude than the Inconsistent group because perceived infrastructure of the High group was the most positive among the three groups. From this result, it was inferred that perceived precycling infrastructure and precycling attitude should be simultaneously promoted so as not to increase the number of Inconsist group which has a high attitude level in order to raise the level of precycling behavior.
Fourth, the result of cross-analysis to verify the difference in the distribution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mong consumer groups showed tha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gender, residential area, and monthly average income. Male consumers and low-income consumers should raise the level of overall precycling variables ― attitude, perceived infrastructure, and behavior ― but female, small-sized city residents, and high-income consumers need to focus more on infrastructure and actual behavior than attitude.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vides suggestions on policy and practical affairs as follows.
First, the more positive the precycling attitude is, the higher the level of precycling behavior is, so it is necessary to raise consumers attitude toward precycling through consumer education. However, as for the Cost-taking attitude, which was the most negative among the precycling attitudes, policies lowering the cost of precycling should be pursued together rather than just promoting the "attitude".
Second, even if the precycling attitude is positive, consumers' perceived infrastructure should not be overlooked because the level of precycling behavior decreases if consumers feel that infrastructure is insufficient. As it is pointed out that manufacturers are generating unnecessary waste in large quantities, the construction of precycling infrastructure should be prioritized in order to inspire perceived infrastructure. In other words, the industry and the market should strengthen consumer sovereignty over precycling by providing consumers with more quality precycling alternatives.
Based on the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 on the further study as follows.
First, empirical verification of the precycling behavior scale of consumers should be added. In particular, since precycling-related alternatives are rapidly increasing in the market, subsequent studies should maintain timeliness by adjusting the sub-dimensional or detailed items of precycling to reflect the market situation.
First, empirical verification of the consumer's precycling behavior measuring questions should be added. Since precycling-related alternatives are rapidly increasing in the market, subsequent studies should bring up to date measuring questions by adjusting the sub-dimension or detail items to reflect the market situation.
Second, the precycling sub-dimension named 'Prevention of product waste' was excluded in this study when constructing measuring questions because this study focused on 'Packaging Reduction', though, in the further studies,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measurement items by adding this. It will be possible to include all sub-dimensions of precycling by analyzing a specific product category such as 'food' or 'household goods'.
Third, this study concluded by examining the effects of precycling attitude, perceived precycling infrastructure, and demographic variables on precycling behavioral levels. However, it will be able to explore more variables that affect precycling behavior.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infrastructure, further studies would be able to measure not only accessibility to precycling alternatives but also cost recognition and institutional conditions.
우리의 지속가능한 삶을 위협하는 폐기물 문제는 생산 단계에서의 자원 남용과 이에 대한 소비자들의 무비판적인 수용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폐기물 증가 속도는 갈수록 빨라지는 반면 현 시스템의 폐기물 수용 능력은 한계에 다다르고 있기 때문에, 이미 배출된 폐기물의 처리를 넘어서 폐기물이 당초부터 발생하지 않도록 차단하는 폐기물 감량까지 중요하게 논의되기 시작했다. 이에 소비자들도 폐기물이 적게 발생하는 상품 또는 재활용이 용이한 상품을 구매하거나 이와 관련된 업체를 선택하는 프리사이클링을 실천하게 되었다.
그러나 현재 프리사이클링에 대해 명확한 개념정의를 내리거나 영향요인을 검증한 연구가 부족하며, 프리사이클링 행동을 측정하는 척도 또한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프리사이클링을 개념화하고 측정문항을 개발하여 국내 소비자의 프리사이클링 수준과 영향요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선행연구 고찰을 거쳐 프리사이클링의 개념을 규명하였고, 유튜브 내용분석을 통해 프리사이클링 행동 사례를 수집한 뒤 하위차원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프리사이클링의 하위차원은 올바른 분리배출을 유도하는 상품 선택, 플라스틱 대체, 포장재 폐기물 방지, 매장 및 브랜드 선택, 제품 폐기물 방지 등 총 5가지로 확정되었다.
소비자가 배출하는 생활 폐기물의 대부분이 포장재이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포장재 감축을 중심으로 프리사이클링 행동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이에 내용분석으로 수집한 행동 사례를 바탕으로 포장재와 관련된 프리사이클링 행동의 측정문항을 구성하였다. 그 다음 20∼40대 소비자 532명을 대상으로 행동 수준을 측정 및 분석하였으며 질적∙통계적으로 측정문항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이때 인구통계학적 특성, 프리사이클링 태도, 프리사이클링 인프라인식을 함께 측정하여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도출된 연구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의 프리사이클링 태도∙인프라인식∙행동 수준에 대해 기술통계를 실시한 결과, 소비자는 프리사이클링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갖고 있었으나, 프리사이클링을 수행할 수 있는 인프라에 대한 평가는 부정적이어서, 실제 프리사이클링 행동으로까지 이어지지 않는 경향을 보였다.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태도-행동 불일치가 프리사이클링에서도 관찰되었으므로 폐기물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소비자의 태도 함양만으로는 한계가 있고 프리사이클링 행동 실천을 촉진할 수 있는 대안 마련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둘째, 프리사이클링 행동 수준이 태도, 인프라인식,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영향을 받는지 확인하기 위해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소비자는 프리사이클링 태도와 인프라인식 수준이 높을수록 프리사이클링 행동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프라인식의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프리사이클링 실천에 있어 소비자 개인의 태도도 중요하지만, 소비자를 둘러싼 프리사이클링 인프라도 마찬가지로 뒷받침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프리사이클링 태도, 인프라인식, 행동 변수를 투입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프리사이클링에 따른 소비자 유형을 상(上) 집단, 하(下) 집단, 불일치집단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이 중 불일치 집단은 프리사이클링 태도 수준은 가장 높았으나, 인프라인식 수준이 하 집단만큼 낮아 행동으로 옮기지 않는 경향을 보였다. 반대로 상 집단은 프리사이클링 태도가 불일치 집단보다는 낮았지만 인프라인식이 가장 긍정적이었기 때문에 오히려 세 집단 중 프리사이클링 행동 수준이 가장 높았다. 이를 통해 인프라인식이 프리사이클링 행동의 결정적인 영향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프리사이클링 행동을 촉진하기 위해서 프리사이클링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것 뿐 아니라 프리사이클링 관련 인프라를 확충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홍보하여 소비자의 프리사이클링 인프라인식 수준을 고취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넷째, 프리사이클링 소비자 유형별로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성별, 거주지역, 월평균 소득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남성 소비자와 소득이 적은 소비자는 태도, 인프라인식, 행동 면에서 프리사이클링 수준을 전반적으로 제고해야 하지만 여성, 중소도시 거주자, 소득이 높은 소비자는 태도보다는 인프라인식, 실제 행동에 더 집중할 필요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지금까지의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제시하는 정책적∙실무적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프리사이클링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프리사이클링 행동 수준이 높아졌으므로 소비자 교육을 통해 프리사이클링에 대한 태도를 고취시켜 소비자들의 동참을 촉구해야 한다. 특히 프리사이클링 태도 중에서도 가장 부정적이었던 비용감수태도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태도를 증진시키는 데 그치기보다는 프리사이클링의 비용을 낮추는 정책이 동반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프리사이클링 태도가 긍정적이더라도 인프라가 미흡하다고 느낄 경우 소비자의 프리사이클링 실천 수준이 낮게 나타나므로, 소비자의 인프라인식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현재 생산∙유통단계에서 기업들이 불필요한 폐기물을 대량 발생시키고 있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으므로, 인프라인식을 고취하기 위해서는 먼저 프리사이클링 인프라 조성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다시 말해, 산업계와 시장이 소비자에게 양질의 프리사이클링 대안을 더 많이 제공하여 프리사이클링에 대한 소비자 주권을 강화시켜야 한다.
마지막으로 후속연구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소비자의 프리사이클링 행동 측정문항에 대한 실증적 검증이 추가되어야 한다. 특히, 시장에서 프리사이클링 관련 대안이 급증하는 추세이므로 후속 연구에서는 시장 상황을 반영하여 프리사이클링의 하위차원 또는 세부문항을 조정함으로써 시의성을 유지해야 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측정문항 구성 시 프리사이클링 하위차원 중 제품 폐기물 방지을 배제하였으나, 추후연구에서는 이를 추가하여 측정문항을 확장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포장재 감축을 중심으로 진행되었으나 추후 연구에서는 분석틀을 재구성하여 프리사이클링의 모든 하위차원을 포함시킬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본 연구는 태도, 인프라인식, 인구통계학적 변수가 행동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으로 연구를 마무리하였다. 그러나 앞으로 프리사이클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수들을 탐색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인프라인식의 경우 프리사이클링 대안에 대한 접근성뿐만 아니라 비용인식, 제도적 여건 등에 대해서도 측정하여 더 구체적인 이해를 돕는 후속연구들을 기대해본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3311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079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