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스마트기기 과의존 학령전기 아동의 어머니에게 적용한 감정코칭 집단프로그램의 효과 : The Effect of Emotion Coaching Group Program for Mothers of preschoolers with Smart Devices Overdependence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금희

Advisor
김성재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스마트폰학령전기유아중독의존정서지능양육행동애착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간호대학 간호학과, 2022.2. 김성재.
Abstract
스마트기기 과의존은 학령전기 아동의 전반적 발달에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전문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학령전기 아동의 스마트기기 과의존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은 어머니의 정서지능과 양육행동, 학령전기 아동의 애착 등으로 보고되었다. 감정코칭 집단프로그램은 어머니의 정서지능과 양육행동을 개선함으로써 학령전기 아동의 애착을 증진하고, 나아가 스마트기기 과의존 감소에 기여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스마트기기에 과의존된 학령전기 아동을 양육하는 어머니에게 감정코칭 집단프로그램을 제공하고 그 효과를 확인하고자 시행되었다.
집단프로그램의 효과평가는 동시 내재적 혼합연구 방법을 이용하였다. 양적연구는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 설계 방법을 이용하여 감정코칭 집단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정서지능, 양육행동 그리고 학령전기 아동의 애착 및 스마트기기 과의존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였으며, 분석방법은 일반화 추정 방정식(generalized estimate equation)을 이용하였다. 질적연구는 서술적 연구 설계 방법으로 포커스 그룹 면담과 회기별 집단프로그램 평가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내용분석(content analysis)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기간은 2019년 7월~2021년 3월까지였으며, 연구 참여자는 스마트기기 과의존된 3세에서 6세에 해당하는 학령전기 아동의 어머니로 실험군 25명, 대조군 26명으로 총 51명이다. 연구기간 동안 실험군에게는 주 1회, 회기당 120분, 총 8회기의 감정코칭 집단프로그램이 제공되었고 대조군은 별도의 중재가 제공되지 않았다.
양적자료의 분석결과, 실험군에서 대조군 참여자에 비해 어머니의 정서지능(χ2=14.99, p=.001), 긍정적 양육행동(χ2=9.32, p=.009), 학령전기 아동의 불안정애착(χ2=9.49, p=.009) 및 스마트기기 과의존(χ2=14.48, p=.001) 점수의 시간에 따른 변화량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반면, 어머니의 부정적 양육행동(χ2=4.79, p=.091), 학령전기 아동의 안정애착(χ2=2.46, p=.292) 점수의 시간에 따른 변화량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모수치 추정 결과, 어머니의 긍정적 양육행동에 대한 처치효과는 사후조사 시점에서는 유의하였으나(p=.007), 추후조사 시점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p=.376).
포커스 그룹 면담과 회기별 집단프로그램 평가를 통해 수집한 질적자료를 분석한 결과 총 5개의 주제와 12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5개의 주제는 정서적 어려움 없는 바람직한 양육에 대한 희망, 성찰함으로써 어루만지게 된 감정, 따뜻하고 권위 있는 양육, 심리적 안정감과 책임감 있는 행동으로 변화하는 아이, 달라진 우리 집 풍경이었다.
본 연구에서 제공한 감정코칭 집단프로그램이 스마트기기에 과의존된 학령전기 아동을 양육하는 어머니의 정서지능과 양육행동, 학령전기 아동의 애착 및 스마트기기 과의존 감소에 도움이 되는 중재임을 확인하였다. 이 집단프로그램은 임상 및 지역사회 실무현장에서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고, 본 연구의 과정과 결과는 스마트기기 과의존 관련 교육과 연구에 근거기반의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preschoolers are exposed to smart devices, and their overdependence on smart devices is rapidly increasing. This negatively affects their development. This study aimed to prepare and provide an effective emotion coaching group program for mothers of preschoolers to reduce preschoolers overdependence on smart devices.
The program was recreated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which showed that moth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parenting behaviors were associated with preschoolers attachment with their mothers and reduction of their overdependence on smart devices. A concurrent embedded mixed-method design was appli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program. Further,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applied to verify its quantitative effects.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re-, post-, and follow-up tests and analyzed using a generalized estimate equation. The outcome variables were mothers emotional intelligence, mothers parenting behavior, preschoolers attachment, and preschoolers overdependence on smart devices. In addition, a descriptive study design was applied to evaluate the experiences of the program participants as well as the changes in the preschoolers as a result of the changes in their mother. A qualitative analysis method was used for content analysis.
The study analyzed the data of 51 mothers (25 in the experimental group, 26 in the control group) of children aged 3–6 years. For qualitative analysis, 12 participants from among the experimental group were asked to attend a focus group interview,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through the content analysis method along with a program evaluation paper.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program 8 times, once a week, 120 minutes each, and the control group did not participate in the program.
The results of the quantitative research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ross the program,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s in terms of changes in maternal emotional intelligence (χ2=14.99, p=.001), maternal positive parenting behavior (χ2=9.32, p=.009), preschoolers unstable attachment to their mothers (χ2=9.49, p=.009), and preschoolers overdependence on smart devices (χ2=14.48, p=.001).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between the two groups regarding maternal negative parenting behavior (χ2=4.79, p=.091) and preschoolers stable attachment (χ2=2.46, p=.292).
The results of the qualitative research derived 5 themes and 12 sub-themes for the experiences of mother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These included hope for desirable parenting without emotional difficulties, feelings touched by reflection, warm but authoritative parenting, children who became responsible by gaining psychological stability, and changed view of my home.
Based on th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the emotional coaching group program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emotional intelligence and parenting behavior of mothers raising preschoolers and further improves preschoolers' attachment to their mothers and overdependence on smart devices. The program can be useful in local community practice, and the study process and results can be used as evidence-based data for education and research related to overdependence.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3323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051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