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실리콘 고무를 활용한 현대 장신구 연구 : A Study on Contemporary Jewelry Utilizing Silicone Rubber : Focusing on Imagery of Cast Skin
허물 이미지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선용

Advisor
민복기; 백경찬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실리콘현대 장신구허물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미술대학 공예과, 2022.2. 민복기
백경찬.
Abstract
is contemporary jewelry that reflects researcher's artistic identity and different perspectives and attitudes toward materials. The Shinetsu KE-1300T, which was used in the researcher's , is one of the most frequently used silicone rubbers as a molding material for mold making. This product is an additive-type room temperature curing silicone rubber that was specially developed for use in molds, but there are no limitations or restrictions on the use of formative search. Artists who use silicone rubber share the following aesthetic and conceptual characteristics. By duplicating an object, the original value system is relaxed or overturned, and the copied texture identical to the body is substituted into a foreign phase. The images of thin film and foam symbolize the epidermis, cells, and bacteria, and represent the proliferation and extinction of living things. Through injection and extrusion molding, which are mass production methods, it is used to simulate the image of tentacles or protrusions that exist in nature. The glass-like transparency and elegant color expression maximize the range of material application, and utilize the point of changing the properties from liquid to solid to capture flowing or moving shapes as they are and inject organic energy.
Since 2012, the researcher has re-recognized the role of an object using silicone as the main material and has captured the moments of change and transformation. empathizes with the sorrow of the abandoned shell after fulfilling its duty and makes it a subject. When a new life is born, the original exuviae loses all eyes and attention. The fate of cast skin, who always gave up the main character's place to a new life, was thrown away, and this was replaced by melting away the original form. A thin cast skin with a history of growth rises at the site where the original is melted, raising the meaning of existence. This cast skin, which retains the shape of the kernel it was holding, further reveals its presence through change. The exalted cast skin challenges the normal hierarchy of subject and object once again by overturning the inside and outside, expressing the traces of the inside to the outside world. This cast skin no longer exists for any object, and the decoration itself becomes the reason for its existence. Maximization of decoration became the driving force for a return to the original formative elements. The brush strokes made on the plane are materialized thanks to the properties of silicone, and this is completed as a three-dimensional jewelry.
Silicone rubber, a new material that first appeared in the 1930s, is an advantageous material for the manufacture of jewelry, because it has stability with respect to the human body and must be in direct contact with the body, and bonding is important in the manufacture of jewelry. However, it was not easy to find a well-organized recipe for modeling. First,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jewelry, in which certain materials remind a particular artist, a sense of reluctance to expose individual know-how. Second, the reality is that many artists only recognize the process of their work in the form of tacit knowledge, but do not have organized experimental results as systematic data. This study reviewed and implemented the formative arts possibilities that silicone material can express from various angles. The study is meaningful in providing systematic data by arranging the process and results of formative activities that must be accompanied by thematic and material exploration, and in expanding the artistic position of silicone materials.
은 연구자의 예술적 정체성과 재료에 대한 색다른 관점과 태도를 반영한 현대 장신구이다. 이에 활용한 신에츠 KE-1300T는 형뜨기용 조형 재료로 가장 빈번하게 사용하는 실리콘 고무 가운데 하나이다. 이 제품은 부가형 실온 경화 실리콘 고무로 몰드용으로 특화하여 개발된 것이지만, 조형적 탐색에는 용도의 한계나 제약이 존재하지 않는다. 실리콘 고무를 사용하는 작가들은 다음과 같은 심미적, 개념적 특성을 공유한다. 대상을 복제하면서 본래의 가치 체계를 완화하거나 전복하고 신체와 동일하게 복사한 질감을 이질적인 위상에 대입한다. 박막과 발포의 이미지는 표피, 세포, 세균 등을 상징하며 생명체의 증식과 소멸을 대변하고, 대량 생산 방식인 사출과 압출 성형을 통해서는 자연에 존재하는 촉수나 돌기의 이미지를 모사하는데 쓴다. 유리알같은 투명함과 유려한 색채 표현은 재료의 활용 범위를 극대화하고, 액상에서 고체로 성상이 변화하는 점을 활용하여 흐르거나 움직이는 형상을 그대로 포착하며 유기적 에너지를 불어 넣는다.
연구자는 2012년부터 실리콘을 주재료로 하여 대상의 역할을 재인식하고 그 변화와 변성의 순간들을 포착해왔다. 은 소임을 다하고 유기된 껍데기의 비애에 공감하고 이를 주체화한다. 본디 허물은 새 생명이 태어나면 모든 시선과 관심을 빼앗긴다. 새 생명에게 언제나 주인공의 자리를 내어주는 허물의 숙명을 걷어내고자 하였으며, 이는 원형을 녹여 없애는 방식으로 치환되었다. 원형이 녹아내린 자리는 생장의 역사를 지닌 얇은 허물이 부상하여 존재의 의미를 고양한다. 품고 있던 알맹이의 형상을 그대로 간직한 이 껍데기는 변화를 통하여 존재감을 더욱 드러낸다. 탈각된 껍데기는 안과 밖을 전복하여 내부의 흔적을 외부 세계로 표출하면서 또 한번 주체와 대상의 통상적 위계에 도전한다. 이 허물은 더이상 어떤 대상을 위해 존재하지 않으며 장식 그 자체가 실존의 이유가 된다. 장식의 극대화는 원초적 조형 요소로 회귀하는 동인이 되었다. 평면에 구성한 붓터치는 실리콘의 물성에 힘입어 물질화되고 이는 입체적 장신구로 완성된다.
실리콘 고무는 인체 안전성을 지녀 신체와의 직접적 접촉과 결합이 핵심인 장신구 제작에 유리한 소재이다. 그러나 조형 작업에 필요한 정리된 제법을 찾는 일은 순탄치 않았다. 그 이유로 첫째, 특정 재료가 특정 작가를 상기시키는 현대 장신구의 특성 때문에 개인의 노하우 노출에 대한 거부감과 둘째, 작가들 상당수도 암묵적 지식의 형태로만 작업의 과정을 인식할 뿐 정리된 실험 결과를 체계적인 자료로 보유하기 어려운 현실에 있다.
본 연구는 실리콘이라는 소재가 표현 가능한 조형적 가능성을 다각도로 검토하고 이를 실행하였다. 주제적 탐구와 재료적 탐색이 동반되어야 하는 조형 활동의 과정과 결과를 정리하여 체계적인 자료를 제공하고, 실리콘 소재의 예술적 입지를 확장하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3347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922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