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심미지향 디자인과 기능지향 디자인의 절충 형식 제안 : Proposal of Eclectic Style Between Aesthetic-oriented Design and Function-oriented Desig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은섭

Advisor
박영목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기능지향심미지향미니멀리즘맥시멀리즘절충형식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미술대학 디자인학부 디자인전공, 2022.2. 박영목.
Abstract
This study identifies the limitations of modern design style based on the contrast between aesthetic-oriented design and function-oriented design, and proposes a design format that compromises functionality and aesthetics as an alternative to overcoming the limitations. Function-oriented design originates from modernism that emphasizes functionality. It is characterized by simple and concise shapes and colors for mass production and machine production during the Industrial Revolution. These characteristics can also be found in cases such as "Detter Rams" and "Apple" in modern times.
This study pointed out that simple and concise formative elements are used only as formal styling elements through some cases where formative features become too similar despite different products or brands as limitations of modern function-oriented design. Aesthetic-oriented design refers to designs that inherited the spirit of postmodernism that pursued aesthetics in various ways, and features inconsistent and unique shapes and colors depending on the design subject. Nowadays, the works of Alessandro Mendini and Philippe Starck can be cited as examples. Unlike postmodernism, which expresses aesthetics due to opposition to functionalism, this study pointed out in some cases that the use of complex and meaningless shapes is the limit of modern aesthetic-oriented design.
In order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a compromise-type design, this study examines the fundamental reasons and results of the pursuit of aesthetic and functionality in design through examples. As a result, the features classified as minimalism and maximalism in modern times may appear to be in a counter-relationship when compared only formatively, but from the viewpoint of expanding the role of functions to functionality and aesthetics, both ideas (-ism) do not deny that the nature of design is functionality and aesthetics, but the direction to emphasize is different. As an example of the Eclectic style, the works of designers Dieterams, Andrea Branch, and brand Dyson were examined, and the possibility of practicing the compromise form through the formulation of functions was suggested.
As a compromise-type proposal, a work study was conducted to set the process of operating parts and parts constituting the product and the process of visualizing the operation results of the parts as the scope of the function and shape them. To this end, a new form of sculpture combination was discovered through the process of decomposing the product into functional units and changing the location between parts or combining the connection process differently.
In the first study of the work, the Yangeun-balsang(Korean traditional nickel-silvered table) was redesigned to change the status of an object whose value is considered light even though there is no problem with its function. It was assumed that the printed top and the exposed legs as a result of pursuing the functionality for mass production and production cost reduction, the formative style of those parts were redesigned to strengthen aesthetics value. As a result of the study, to avoid meaningless decorations, the method of applying molding with reasonable principles and grounds were founded.
In the secondary study of works, extreme minimalism and maximalism are combined according to three principles and applied to objects. As a result of using the methods of emphasizing, incorporating, or deliberately hiding the components, the research shows that utilizing only the components of existing products could be used to pursue economic functionality and aesthetic functionality.
In the third study of the work, the parts of the product are rearranged through humidifier design and the process of each part is shaped in various ways. As a result, through the process of reinterpreting the function of the product, the appearance of things can be simplified and the use of meaningless decorations can be inhibited.
Even the eclectic style between aesthetic-oriented design and function-oriented design has the disadvantage of being economically inefficient due to high production costs and complicated manufacturing processes, it has advantage of overcoming similarities between products when aiming for rationality by inducing product shaping from various interpretations. Therefore, it is expected to help experimental design projects that value formative differentiation and creativity rather than mass production.
본 연구는 심미지향 디자인과 기능지향 디자인의 대척관계에서 현대 디자인 양식의 한계를 확인하고 한계점 극복을 위한 대안으로서 기능성과 심미성을 절충적으로 추구하는 디자인 형식을 일련의 작품 연구 과정을 통해 제안하였다.
기능지향 디자인은 기능성을 강조하던 모더니즘에서 유래한다. 산업혁명 시대에 대량생산과 기계생산을 위한 단순하고 간결한 조형과 색채가 특징이다. 이러한 요소는 현대의 디터 람스와 애플같은 사례에서도 찾아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서로 다른 제품이나 브랜드임에도 불구하고 조형적 특징이 지나치게 유사해지는 일부 사례들을 통해 단순하고 간결한 조형 요소가 형식적인 스타일링 요소로만 활용되는 것을 현대 기능지향 디자인의 한계로 지적하였다.
심미지향 디자인은 다양한 방식으로 심미성을 추구하던 포스트모더니즘의 정신을 이어받은 디자인들을 의미한다. 디자인 주체 혹은 주제에 따라 일관되지 않고 개성있는 조형과 색채를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현대에서는 알렉산드로 멘디니와 필립 스탁의 작품들을 사례로 들 수 있다. 기능성을 지나치게 추구하는 모더니즘에 대한 반발로써 심미성을 표출하던 포스트모더니즘과는 달리, 본 연구는 일부 사례들을 통해 대체재들 사이에서 돋보이기 위한 장식적 역할로 복잡하고 의미 없는 조형을 사용하는 것이 현대 심미 지향 디자인의 한계라고 지적하였다.
본 연구는 절충 형식의 디자인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디자인에서 심미성과 기능성을 추구하는 본질적인 이유와 결과물들을 문헌과 사례를 통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현대에 이르러 미니멀리즘과 맥시멀리즘으로 분류되는 특징들은 조형적으로만 비교할 경우 서로 대척 관계에 있는 것으로 보일 수 있으나, 기능의 역할을 기능성과 심미성으로 확장하는 관점에서 본다면 두 주의(-ism) 모두 디자인의 본질이 기능성과 심미성인 것을 부정하지 않으며 다만 강조하고자 하는 방향이 달랐음을 알 수 있었다. 절충 형식의 사례로 디자이너 디터람스, 안드레아 브란치, 브랜드 다이슨의 작품들을 살펴보고 기능의 조형화를 통한 절충 형식의 실천 가능성을 제안하였다.
절충 형식의 제안으로서 제품을 구성하는 부품과 부품이 작동하는 과정, 부품의 작동 결과를 시각화하는 과정을 기능의 범위로 설정하고 이를 조형화하는 작품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제품을 기능 단위로 분해하여 부품 간의 위치를 바꾸거나 연계 과정을 달리 조합하는 과정에서 기성품과 상이한 조형 조합 형태를 발굴하였다.
작품연구 1차에서는 양은발상을 리디자인하여 기능에 문제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그 가치가 가볍게 여겨지는 사물의 위상을 바꾸고자 하였다. 양은발상의 상판 인쇄와 노출된 다리 부분이 대량생산과 생산비 절감이라는 기능성만을 추구한 결과로 보았으며, 해당 부분의 조형 양식을 바꿔 심미성을 강화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심미성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무의미한 장식으로 조형 요소를 활용하지 않기 위해 합당한 원칙과 근거를 가지고 조형을 적용하는 방안을 찾았다.
작품연구 2차에서는 양극화된 미니멀리즘과 맥시멀리즘 스타일을 세 가지 원칙에 맞춰 조합하고 사물에 적용하였다. 요소를 강조, 내포, 혹은 의도적으로 숨기는 방식을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한 결과 기존의 제품이 가지고 있는 구성 요소만을 활용하여 경제적 기능성을 추구하고, 구성 요소의 재배치를 통해 심미적 기능성을 추구하는 방안을 찾았다.
작품연구 3차에서는 가습기 디자인을 통해 제품의 부품을 재배치하고 각각의 부품이 동작하는 과정을 다양한 방식으로 조형화 하였다. 그 결과 제품의 기능을 조형적으로 재해석하는 과정을 통해 사물의 외피가 단순해지는 것에서 벗어나는 동시에 무의미한 장식 활용법을 견제할 수 있었다.
심미지향 디자인과 기능지향 디자인의 절충 형식은 제품 제작에 있어서 제작비용이 높아지거나 제작 과정이 복잡해지기 때문에 경제적인 측면에서 비효율 적일 수 있다는 단점을 지니고 있으나, 제품의 조형을 기능의 다양한 해석에서 유도함으로써 합리성을 추구하는 기능지향적인 디자인을 실천하고 동시에 유의미한 요소를 장식으로 활용하여 기능만을 지향했을 때 발생하는 제품 간 유사성을 극복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때문에 대량생산보다는 조형적 차별화와 창의성을 중요시하는 실험적인 디자인 프로젝트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3348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129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