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여가적 풍경의 회화적 표현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 : Expression of Leisure Landscape in Painting - Focusing on authors own work -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정성윤

Advisor
김성희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여가(餘暇)자연(自然)의경(意境)공간성조형성물질성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미술대학 미술학과, 2022.2. 김성희.
Abstract
The subject of the study in this paper is paintings drawn by the author from 2016 to 2021. There are two main contexts in my studies. These are the development of consciousness, which is the background of paintings and pictorial exploration which is to practice the expression of consciousness. In this paper, the authors theory is summarized by understanding the development of consciousness that is the background of paintings and appropriate expressions as paintings are examined through the methodologies of creation.
I name my world of painting leisure landscape. This name incorporates the inner purpose and outer properties of painting. It means that the psychological background of the artist is leisure that shows the tradition of the East Asia and such background is expressed in the form of contemporary landscape paintings. This paper summarizes the pursuit of true leisure and inner background and explains the expectations and purpose of the paintings. Additionally, it summarizes the practices conducted in pursuit of pictorial completion.
The research questions addressed in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leisure landscape? Second, how is the leisure landscape expressed? Third, what is the modern significance of leisure landscape?

Chapter I explains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research, content and methods of the research and significance of the research.
Chapter Ⅱ researches the concept of leisure landscape. First, the value of leisure is defined and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leisure and modern value of it are reviewed. The traditional views of contemplation and boundary is inherent in the spiritual background of leisure landscape. In addition, the purpose of leisure landscape is sought through the concept of theory of self-cultivation and innovation in this chapter. The psychological attitude toward leisure landscape has a long history. This is well presented in the traditional view of nature and uikyung(意境) in East Asia. This chapter explains the landscape theory in the past and uikyung(意境) discussed in modern East Asia and set it as the background of author theory.
Chapter III describes the formation of leisure landscape. In this chapter, the authors paintings are classified as expression of space and aesthetic and sensibility. The view of nature and uikyung(意境) examined in the previous chapter served as the foundation for analyzing this chapter. View of nature is the foundation for classifying the expression of space specifically and uikyung(意境) becomes the aesthetic foundation for analyzing aesthetic feeling and sensibility. Expression of space is classified into landscape of mother nature, nature in daily life, urban landscape, and landscape with people. Aesthetic feeling and sensibility are described by dividing it into emptiness and loneliness, memory and missing, and liveliness and simple joy.
In Chapter IV, the expression of leisure landscape in paintings is described. First, the formative principles shown in leisure landscape are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nine formative characteristics. The study on formative principles is conducted by conducting empirical analysis on the elements of paintings and actions among them. Items are composed of compositional characteristics of plains, making pictures plane, emphasis of frames, restraints of reproduction, unclear boundary, separation and composition of images, utilization of patterns optical traces of colors and autonomy of colors. The latter part describes the exploration on the expression techniques that form leisure landscape. Exploration on materiality was a focus as expression technique to secure the characteristics of paintings sufficiently. The explanation on expression techniques are divided into materiality of pigment, spraying, making it flow, texture and traces and accumulation.
Chapter V, a conclusion section, checks the content in the main text. This chapter describes the background that develops my world of career and sets the direction of my painting activities found through the research. This chapter expresses the personal expectation on leisure landscape and seeks the modern meanings of the world of art which is owned jointly. This paper has studied for the purpose of contemporary meaning from the tradition. I expect that artistic tradition revitalizes modern meanings of art.
본 논문은 필자가 2016년부터 2021년까지 제작한 회화작품을 연구대상으로 한다. 본인의 작품연구에는 두 가지 큰 맥락이 있다. 이는 작품의 배경이 되는 의식의 발전과 그것의 표현을 실습하는 회화적 탐구이다. 본고는 작품의 배경이 되는 의식세계의 전개를 파악함으로써 작가론을 정리하고, 창작의 방법론을 통해서 회화작품으로의 적절한 표현을 연구한다.
나는 나의 회화세계를 여가적 풍경으로 명명한다. 이 말에는 회화의 내적인 목적과 외적 속성이 담겨있다. 작가의 심리적인 배경이 여가라는 동아시아의 전통성을 지니며, 동시대의 풍경회화로 표현된다는 것이다. 본고는 참된 여가의 추구와 내적 배경을 정리하고, 이에 따르는 작품에서의 기대감과 목적을 설명한다. 그리고 회화적 완결성을 추구하면서 수행된 실습과정을 정리하고 있다.
본고에서 다루어지는 연구의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가적 풍경이란 무엇인가? 둘째, 여가적 풍경은 어떻게 표현되고 있는가? 셋째, 여가적 풍경의 현대적인 의의는 무엇인가?

Ⅰ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연구의 내용과 방법, 그리고 연구의 의의를 밝힌다.
Ⅱ장은 여가적 풍경의 개념을 찾는다. 먼저 여가의 가치를 정의하고 여가의 개념과 특성, 그리고 현대적 가치를 검토한다. 여가적 풍경의 정신적인 배경에는 관조와 경계의 전통적인 시선이 내재되어있다. 또한 본 장은 수양론과 창신의 개념을 통해서 여가적 풍경의 목적을 찾는다. 여가적 풍경의 심리적인 태도는 오랜 전통을 지녔다. 그것은 동아시아 전통의 자연관과 의경을 통해서 잘 나타난다. 본 장은 과거의 산수화론과 근현대 동아시아에서 논의된 의경을 파악하고, 이를 작가론의 배경으로 삼고 있다.
Ⅲ장은 여가적 풍경의 형성에 대해 탐구한다. 본 장은 본인의 작품을 형성하는 공간의 표현과 미감과 감성으로 분류한다. 앞서 살펴본 자연관과 의경은 본 장을 분석하는 기초가 되었다. 자연관은 공간의 표현을 세부적으로 분류하기 위한 바탕이 되고, 의경은 미감과 감성을 분석하기 위한 미학적 근거가 된다. 공간의 표현은 대자연의 풍광, 일상의 자연, 도시적 풍경, 그리고 인물이 있는 풍경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미감과 감성은 공허와 쓸쓸함, 기억과 그리움, 생기와 소박한 기쁨으로 분류하여 기술하였다.
Ⅳ장은 여가적 풍경의 회화적 표현에 대해 기술하였다. 먼저 여가적 풍경의 핵심적인 조형원리를 아홉 개의 특성으로 나누어서 분석하였다. 이 조형적인 원리에 대한 연구는 회화작품을 구성하는 요소와 작용을 경험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각항은 다음과 같다. 평원의 구도적 특성, 사진의 평면화, 프레임의 강조, 재현의 절제, 불분명한 경계, 이미지의 분리와 합성, 패턴의 활용, 색채의 광학적 흔적, 그리고 색채의 자율성이다. 후반부는 여가적 풍경을 형성하는 표현기법에 대한 탐구를 기술하고 있다. 여가적 풍경의 회화적인 충만함을 확보하기 위한 표현기법으로써 물질성에 대한 탐구가 중점적으로 이루어 졌다. 표현기법은 안료의 물질성, 뿌리기, 흘리기, 텍스처, 그리고 흔적과 누적으로 나누어서 기술하였다.
Ⅴ장 결론에서는 본문의 연구내용을 점검한다. 그리고 나의 작업세계가 자라온 배경을 기술하고, 연구를 통해서 밝혀진 작품활동의 방향성을 설정한다. 본 장은 여가적 풍경에 대한 개인적인 기대감과 함께 공동으로 소유한 예술세계에서의 현대적인 의의를 찾고 있다. 본고는 예술을 통해서 전통의 현대적 가치를 밝히는데 목적을 두고 연구되었다. 나는 예술적 전통이 현대적 의미로 환원되기를 기대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3370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076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