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역사적 진실과 소설적 진실 : Die historische Wahrheit und die literarische Wahrheit: Deutschstunde nach der Debatte um Emil Nolde
렌츠 논쟁 이후의 『독일어시간』 다시 읽기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지선

Advisor
김태환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지그프리트 렌츠『독일어시간』에밀 놀데렌츠 논쟁신뢰할 수 없는 화자문학적 진실Siegfried LenzDeutschstundeEmil NoldeDie Dabatte um Lenz’ Deuschstundeunzuverlässiger ErzählerLiterarische Wahrheit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인문대학 독어독문학과, 2022.2. 김태환.
Abstract
Diese Arbeit versucht, Siegfried Lenz Deutschstunde im Zusammenhang mit der aktuellen Debatte um den Roman neu zu lesen. Die Kontroverse entstand im Jahr 2013, als die verborgenen Nazi-Taten des Malers durch eine Biografie bekannt wurden, weil er bis dahin als Vorbild der vom diktatorischen Regime unterdrückten und verfolgten Hauptfigur des Romans gegolten hatte. In diesem Zusammenhang hat es einerseits viele Kritiken gegeben, dass Lenz Emil Nolde zum freiheitsliebenden widerständigen Künstler stilisiert habe. Andererseits wird aber auch behauptet, dass es ein Missverständnis über die Literatur sei, wenn eine fiktive Figur mit einer realen Person identifiziert wird. So stehen die Ansichten im scharfen Gegensatz zueinander.
Die vorliegende Arbeit geht aber davon aus, dass es dem Autor der Deutschstunde nicht darum gehen kann, Emil Noldes Leben schönzuschreiben, noch darum, eine fiktive Welt, die wenig mit der realen zu tun hat, zu konzipieren. Bemerkenswert in diesem Zusammenhang ist, dass Siegfried Lenz in seinen Essays mehrmals schreibt, wie schwierig die ganze Wahrheit der Wirklichkeit erfasst und mitgeteilt werden kann und wie wichtig es für die Literatur ist, sich mit der nicht leicht erfassbaren Wahrheit auseinanderzusetzen. Dies deutet darauf hin, dass Deutschstunde auch ein Versuch ist, die historische Wirklichkeit des zweiten Weltkriegs mit literarischen Mitteln wahrheitsgemäß wiederzugeben.
"Die Schwierigeiten beim Schreiben der Wahrheit", wovon Lenz in senen Artikeln und Aufsätzen spricht, hängen vor allem mit der Subjektivität und Relativität der menschlichen Erkenntnis zusammen, und diese Problematik wird im Roman auf verschiedene Art und Weise thematisiert. Zunächst erscheinen die technischen Medien wie Radio, Mikroskop und Kamera nicht als Mittel der Wahrheit, sondern als Instrument der Manipulation und der subjektiven Verzerrung. Darüber hinaus stellt Lenz auch das Wahrheitsstreben der Wissenschaft in Frage, indem er die Psychologie als vergeblichen Versuch karrikiert, das menschliche Innenleben mit ihrem eigenen sinnentleerten Jargon zu definieren.
Der medialen und wissenschaftlichen Scheinwahrheit stellt Lenz die künstlerisch-ästhetische Wahrheit gegenüber, die im Roman vor allem durch die unsichtbaren Bilder des Protagonisten Nansen ausgedrückt wird. Und Lenz stellt seinem Roman die Aufgabe, genau diese Möglichkeit der Wahrheit zu realisieren.
Diesem Ziel soll vor allem seine besondere Erzählstrategie dienen, die sich durch die folgenden drei Elemente auszeichnet: 1. Mosaikartige Darstellung 2. Unzuverlässigkeit des Erzählers 3. Wiedersprüchlichkeit der Charakterdarstellung. Der Kern dieser Strategie besteht darin, Leerstellen, Ambivalenzen und Unbestimmtheiten hervorzubringen (wie Nansens unsichtbare Bilder) und verschiedenste Deutungsmöglichkeiten zu bieten, die den Leser zum Nachdenken über das Erzählte hinaus anregen. Dies entspricht genau der Ansicht des Autors darüber, wie die ganze Wahrheit der komplexen historischen Wirklichkeit künstlerisch vermittelt werden kann.
In diesem Sinn kann man sagen, dass auch die weit auseinanderliegenden Meinungen in der Kontroverse um Deutschstunde für diese offene narrative Struktur sprechen, die bis vor der Veröffentlichung der neuen Nolde-Biografie nicht genug beachtet wurde. Die aktuelle Debatte erfordert also, den Roman auf Lenz Auffassung der literarischen Wahrheit hin zu lesen und die Frage nach der Art und Weise, wie der Autor die historische Figur des expressionistischen Malers in eine fiktive verwandelt, neu zu beantworten, und es ist das Ziel dieser Arbeit, einen Beitrag dazu zu leisten.
본 논문은 1968년 출간된 지그프리트 렌츠의 소설 『독일어시간』과 관련한 최근의 한 논쟁 속에서 작품 다시 읽기를 시도한다. 이 논쟁은 작품 속 화가의 실제 모델로 알려진 화가 에밀 놀데의 은폐되어 온 나치 행각이 2013년 한 전기에서 밝혀짐에 따라 그를 모델로 작품을 집필한 작가 렌츠에게도 비판적 시각이 제기된 것으로 시작되었다. 이를 둘러싸고 논쟁의 한편에서는 렌츠가 나치 관련 흔적들이 남아 있는 놀데를 작품을 통해 미화하였다고 주장하고, 다른 한편에서는 허구라는 장르에서 실제 인물과 허구의 인물을 비교하는 것은 허구 관습의 오해라고 주장하며 대립된 두 견해가 팽팽히 맞섰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작가 렌츠가 에밀 놀데를 미화한 것도 그렇다고 현실과는 무관한 별개의 허구적 세계를 구상한 것도 아니라는 입장을 제시한다. 렌츠가 칼럼이나 에세이에서 진실을 규명하는 것, 또 이를 전달하는 것의 어려움을 거듭 이야기하였던 점을 생각해 볼 때, 『독일어시간』 또한 2차 대전 당시의 역사적 진실을 전달하기 위한 렌츠 나름의 소설적 표현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렌츠가 당시 이중적이고 모호한 위치에 있던 화가 에밀 놀데를 소설 속 화가의 모델로 삼아 이야기를 전개하는 것도 단순하지 않은 역사적 진실을 찾는 과정에 대한 문제의식과 깊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진실을 파악하고 전달하는 것은 무엇보다 진실이라고 여겨지는 것이 주관적이고 상대적인 인식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기 때문인데, 이러한 인식의 주관성과 상대성에 대한 문제의식은 작품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되고 있다. 이는 먼저 대상을 파악하고 관찰하는 데 도움을 주어야 할 기술적 매체들이 인식의 주관성과 왜곡으로 인해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점에서 잘 드러난다. 이뿐만 아니라, 렌츠는 주인공 지기의 범죄성을 연구하는 심리학자들이 결국 연구대상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다는 것을 이야기하며 학문적 인식의 한계를 보여준다. 그러나 이와 달리 작중 화가 난젠의 보이지 않는 그림에서는 그림 대부분이 공백임에도 불구하고 매체와 학문의 차원에서 드러나지 않은 대상의 진실이 보는 이에게 여실히 전달된다. 난젠을 통해 암시된 이러한 예술적 진실의 가능성은 소설 속에 역사적 진실을 구현하고자 한 렌츠 자신의 예술적 과제를 대변하고 있다.
렌츠는 진실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독일어시간』의 서술 속에서 직접 실천하고 있다. 이는 렌츠 특유의 서술전략들을 통해 드러난다. 서로 접점 없는 일화들로 이루어진 모자이크식 서술은 유기적으로 엮여 전쟁의 공포와 전체주의에 대한 상징적 표현이 된다. 또한 과거와 현재가 불규칙하게 교차하는 것에서도 모자이크식 서술의 특징이 나타나는데, 이러한 서술을 통해 렌츠는 과거의 전체주의 이념이 현재에도 계속 이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뿐만 아니라, 작품 전반을 주도하는 화자 지기의 신뢰할 수 없는 특성은 독자로 하여금 작품에서 언급되는 사실들에 거리를 두게 한다. 이어서 지기가 묘사하는 인물들의 특성과 어긋나는 각 캐릭터들의 다층적이고 모순적인 이면은 그들을 단순히 한 방향으로 규정할 수 없게 만든다. 이렇게 모순을 그대로 노출시키는 방식을 통해 독자는 각 인물들을 일차원적 관점에서 벗어나 다각도에서 해석하고, 더 나아가 모순적인 화가 에밀 놀데의 진실 또한 다양한 시각에서 파악하도록 유도된다.
이처럼 작품 속에서 무엇 하나 명확히 규정되지 않도록 만드는 서술전략은 역사적 진실과 관련하여 다양한 인식과 해석의 가능성들을 남긴다. 바로 이 점이 렌츠가 생각했던 예술적 차원에서 진실을 전달하는 방법이었고 이러한 점에서 그간 『독일어시간』과 놀데에 대한 분분한 견해도 렌츠가 작품 속에 남겨놓은 많은 가능성들에서 비롯된 해석이라 볼 수 있다. 새롭게 드러난 놀데의 행적을 둘러싸고 벌어진 렌츠 논쟁은 일반적으로 전체주의에 맞선 자유로운 예술가의 저항으로 받아들여진 이 작품을 다시 읽고 렌츠의 창작 의도를 다시 검토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였으며, 이 논문은 그러한 요구에 대한 한 가지 대답을 제시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3373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134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