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연주자의 음악적 표현에 의한 정서 변화의 전달 연구 : Communication of Emotion Modified by the Performers Expression in Classical Piano Pieces
고전 피아노 음악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함주성

Advisor
이교구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정서 전달정서 표현연주 표현피아노음악 훈련음악인지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융합과학기술대학원 지능정보융합학과, 2022.2. 이교구.
Abstract
The roles of composer, performer and listener on emotion communication through music have received considerable attention in music psychology. According to the preceding studies, listeners ratings on the pleasure dimension were more changeable by the compositional structure factors (e.g., mode, melody), while ratings on the arousal dimension were more changeable by the performance expression factors (e.g., tempo, dynamics). Furthermore, the level of musical training significantly improves listeners probability of correctly identifying the intended emotion.
However, these findings are mainly derived from monophonic, simple melodies, which are far from the music that we consume in our daily lives. Therefore, our study aims to further explore the accuracy of emotional communication through expressive performance in polyphonic classical piano music, and investigate the impact of factors that are related to composer, performer, and listener on such communication.
We asked 22 professional pianists to perform classical pieces in an emotion that the original piece evokes (i.e., original version) and in four modified emotions based on the dimensions divided by valence and arousal (i.e., emotion-modified version), resulting in recordings of 24 classical piano pieces. The performers reported the levels of emotions expressed in each of their performances on a 9-point scale of pleasure, arousal, and dominance (PAD). Then, 180 participants listened to 8 out of the 24 music pieces randomly sampled with replacement. For each piece participants listened to 2 pairs of performances; the original version and a randomly selected emotion-modified version. They provided the PAD ratings for each performance and answered the questions about their musical training years, music listening hours per day, the importance of music in their life, age, and gender.
To evaluate the accuracy of communication between performers and listeners from the reported emotion rating, a binary accuracy measure called the direction accuracy was calculated. The direction accuracy was assumed correct when the direction of the emotion rating matches between the performer and the listener (e.g. when both are positive, negative, or no change). To mitigate the effect of compositional structure factors, the relative rating was used afterward, which was calculated by subtracting the emotion ratings of the original version from the paired emotion-modified versions.
The direction accuracy was highest in the arousal dimension and the accuracy of the rest two dimensions was below random selection probability. The generalized linear mixed model on performance-related factors showed that a shorter duration of notes leads to a higher pleasure rating of listeners. The arousal was perceived higher for performances with a faster tempo, higher key velocity, and shorter duration of notes. The dominance was perceived higher for performances with a faster tempo and higher key velocity. The personal background factors of listeners were only significant in the arousal dimension. The arousal was more accurately perceived for people with a longer duration of musical training.
Taking the findings together, we concluded that in polyphonic classical piano music, performers emotional intention is most accurately communicated in the arousal dimension. Furthermore, this accuracy improves when the performer expresses the arousal with a faster tempo, higher key velocity, and shorter duration of notes, and also when the listener had a longer duration of musical training. This implies that the findings in monophonic music have the potential to be expanded to more complex music.
음악심리학 분야에서 작곡가와 연주자, 그리고 감상자와 관련된 요인이 음악을 통한 정서 전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있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정서를 이루는 두 가지 주요한 차원인 정서가와 각성도에 대해서 정서가는 조성이나 멜로디 같은 작곡 구조 요인에 의해, 각성도는 빠르기와 음량과 같은 연주 표현적 요인에 의해 주로 조절된다. 또한 감상자의 음악 훈련 정도가 연주자의 정서 표현을 올바르게 인식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이러한 연구 결과는 주로 짧은 길이의 단선율 멜로디를 사용한 실험에 기반하고 있기에 해당 연구 결과를 우리가 일상에서 듣는 보다 복잡한 음악으로 확장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선율의 복잡한 고전 피아노 음악 작품을 사용하였을 때 연주자의 음악적 표현에 의한 정서 변화가 감상자에게 잘 전달되는지 파악하고, 이러한 정서 전달에 연주자의 연주 표현적 요인과 감상자의 개인적인 배경 요인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함으로써 기존 연구의 결과의 생태적인 타당도를 증진하고자 하였다.
실험을 위해 먼저 22명의 전문 피아노 연주자에게 고전 피아노 작품을 원곡의 정서대로 연주한 뒤, 정서가와 각성도 축에 따라 나누어진 네 가지의 서로 다른 정서로 연주하도록 지시하였다. 연주를 마친 뒤 연주자들은 본인의 연주에 대해 정서가, 각성도, 지배도 정서값을 각각 9점 척도로 응답하였다. 이렇게 녹음한 음원 중 총 24곡을 선정하여 정상 청력을 가진 일반인 180명을 대상으로 연주자가 표현한 정서가 얼마나 정확하게 인식되는지에 대한 청취평가를 진행하였다. 참가자들은 24곡 중 임의로 선택된 8곡을 청취하였으며, 각 곡에 대해 2쌍의 연주 음원을 청취하였다. 각 쌍은 원곡의 정서로 연주한 음원과 변화시킨 정서로 연주한 음원으로 구성되었다. 감상자들 청취한 모든 음원에 대해 정서가, 각성도, 지배도 정서값을 9점 척도로 응답하였으며, 추가적으로 본인의 음악 훈련 햇수, 일일 평균 음악 감상 시간, 음악 활동의 중요도, 나이, 성별을 응답하였다.
수집한 정서 응답값을 바탕으로 연주자와 감상자 간의 정서의 전달 정확도를 평가하기 위해 각 정서 차원에서 연주자의 정서값의 방향과 감상자의 정서값 방향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이진 코드로 계산한 방향 정확도를 사용하였다. 이 과정에서 작곡 구조에 의한 효과를 배제하기 위해 원곡대로 연주한 음원의 정서값 응답과 정서적 변화를 준 음원의 정서값 응답의 차이를 계산한 상대 정서값을 사용하였다.
상대 정서값을 바탕으로 계산한 모든 작품과 감상자에 대한 평균 전달 정확도를 살펴본 결과, 세 가지 정서 차원 중 각성도 차원이 가장 정확하게 전달되었으며, 정서가와 지배도 차원의 정확도는 무작위 선택 확률보다 낮았다. 연주자의 연주 표현적 요인에 따른 감상자의 정서 응답값의 변화를 일반화된 선형혼합모형을 통해 분석한 결과, 연주자가 원곡에 비해 템포 변화는 일정하게, 음가는 짧게, 음가 변화는 다양하게 연주할수록 감상자에게 더 긍정적인 정서가로 전달되었다. 각성도는 템포를 빠르게, 음량을 크게, 음가를 짧게 연주할수록 높게 인식되었으며, 지배도는 템포를 빠르게, 음량을 크게, 음량 변화를 다양하게 연주할수록 더 높게 인식되었다. 감상자의 음악적 배경 요인은 각성도 차원에서만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으며, 음악 훈련 햇수가 길수록 각성도의 변화를 더 높은 정확도로 인식하였다.
종합하자면 다선율의 고전 피아노 음악에서 연주자의 음악적 표현에 의한 정서 변화는 세 가지 정서 차원 중 각성도 차원에서 감상자에게 가장 정확하게 전달되며, 이러한 변화는 연주자가 템포를 빠르게, 음량을 크게, 음가를 짧게 연주할수록 더 정적인 방향으로, 그리고 감상자의 음악 훈련 기간이 길수록 더 정확하게 인식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에 단선율을 대상으로 분석한 작곡가, 연주자, 감상자와 관련된 요인의 효과가 복잡한 다선율의 고전 피아노 음악으로도 확장될 수 있음을 보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음악을 통한 연주자와 감상자 간의 정서 전달에 대한 이해를 증진한 데에 의의가 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3376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922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