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온라인 전용 물류센터의 입지 및 공간 특성 분석 : An Analysis of Location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Online Logistics Center: Focused on E-mart, and Coupang
이마트와 쿠팡의 사례를 중심으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항만-
dc.contributor.author김창용-
dc.date.accessioned2022-06-22T15:17:44Z-
dc.date.available2022-06-22T15:17:44Z-
dc.date.issued2022-
dc.identifier.other000000170062-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83388-
dc.identifier.uri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0062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공과대학 건축학과, 2022.2. 조항만.-
dc.description.abstractRecently, due to the steady growth of the e-commerce market, many companies are reinforcing their online distribution networks, and attempts to increase their market share by shortening delivery time and expanding shipping areas. As a result, a new type of distribution center called urban distribution center has emerged, as well as the expansion of hub distribution center. Logistics centers is expected to be constructed throughout the city, and become a daily building type in the city in the near future.

However, there are not many architectural studies in logistics center, and no discussion about the emerging online logistics center. With the construction of logistics center in the city center, various architectural studies on the effect of the logistics center to the city can be discussed. But it is too early to discuss the effect, as it has not been long since the city logistics center was emerged. Rather,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and analyze the online logistics center itself before discussing future effect. This paper analyzes the location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online logistics centers, and confirm whether the existing architectural theories of logistics centers are valid in online logistics centers too. Furthermore, this paper discovers spatial characteristics or construction logic that encompasses all the types of logistics centers, including city logistics centers.

Naver, E-Mart, and Coupang are the top three companies in e-commerce market. However, these three companies take different strategies in the e-commerce business. Naver mainly constructed open market that connects sellers and buyers rather than its own sales and delivery. Thus, Naver has a relatively few owning logistics centers. E-Mart and Coupang have a number of logistics centers, but they differ in major handling items. E-Mart mainly distributes fresh food that has been built since its offline business. Coupang differentiates itself around industrial products that have many types of goods. Although several companies logistics centers were used in this paper, the analysis was focused on E-mart and Coupang, which are at the forefront of the e-commerce market and have constructed urban logistics centers as well as hub logistics centers.

First, in order to distinguish between newly emerged type and existing type of distribution centers, this paper defined them as urban distribution centers and hub distribution centers, respectively. In urban distribution centers, the inventory area is not essential, but there is a space for temporary storage instead. In order to reflect this in the analysis, sub-inventory area was additionally defined, thus the spatial elements of the logistics center were divided into inventory area, sub-inventory area, moving area, and loading area.

Secondly, it analyzed the difference in loca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major handling items. As a result, the logistics centers that mainly handle fresh food were relatively close to city centers, and individual shipping areas were small and distributed. In addition, the location of logistics center was located inside shipping area or closer to the city center than the shipping area. On the other hand, logistics centers of companies that mainly handle industrial products were located far from the city center outside the delivery area, and individual shipping areas were big and integrated with each other. In addition, the fresh food-oriented logistics center plays a role of a final replotting area without distinguishing hub logistics center urban logistics center. The industrial product-oriented logistics center delivered through various replotting centers.

And then, it analyzed the difference in spati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major handling items. It was found that the space of the hub logistics center was not affected by mainly handling items, but in the case of the inventory area, the fresh food-oriented logistics center was denser and more automated than the industrial product-oriented logistics center. In the case of urban distribution centers, fresh food-oriented logistics centers have integrated loading area, individual inventory spaces, and moving area circulating the inventory area. In addition, automatic sorter was installed, but sub-inventory area for shipping were omitted. On the other hand, the logistics center, which mainly handles industrial products, had a separate loading area. And instead of inventory area, it had sub-inventory area for shipping.

In the case of architectural theory, this paper confirmed that the theory as The Content is the Form by LeCavalier and the Ground Rule by Lyster no longer apply to online logistics centers, especially urban distribution centers. On the other hand, the Loosely Coupled System by Weick was effectively applied to city logistics centers. In this paper, LeCavaliers perspective on the Loosely Coupled System which was made on the naive logistics system, was slightly modified in the form of space to explain the logistics center. The logistics center is constructed as a combination of collection spaces that binds and stores goods according to their own rules, and redistribution spaces that connects each collection space. And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characteristics encompass not only existing offline logistics centers but also the emerging distribution centers.
-
dc.description.abstract최근 이커머스 시장의 꾸준한 성장으로 인해 여러 기업에서 온라인 유통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있으며, 배송시간을 단축하고 배송권역을 확대하는 등 시장 점유율을 높이려는 시도가 계속되고 있다. 이로 인해 기존의 대형화된 허브 물류센터의 확충뿐만 아니라 도심형 물류센터라는 새로운 유형의 물류센터가 등장하였다. 도심 곳곳에 물류센터가 신설되며, 물류센터는 머지 않아 도심 내에서 쉽게 볼 수 있는 건축물 유형으로 자리잡을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물류센터에 대한 건축 부분의 연구는 많지 않으며, 새롭게 등장하고 있는 온라인 전용 물류센터에 대해서는 거의 논의된 바가 없다. 도심에 물류센터가 들어서며 물류센터와 도시가 주고받는 영향에 관한 다양한 건축적 논의가 가능할 것으로 보이나, 아직 도심형 물류센터의 등장 기간이 충분히 길지 않아 도시에 미친 영향을 파악하기에는 이른 시점이다. 오히려 그에 앞서 온라인 전용 물류센터 그 자체에 대한 이해와 분석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전용 물류센터의 입지 및 공간 특성을 파악하고, 기존의 물류센터에 관한 건축 이론이 온라인 전용 물류센터에서도 유효한지 확인하고자 한다. 나아가 기존의 물류센터 뿐만 아니라 온라인 전용 물류센터, 특히 도심형 물류센터까지 포괄하는 공간 특성이나 구축 논리를 발견하고자 한다.

국내 이커머스 시장 점유율 상위 3개 기업은 네이버, 이마트, 쿠팡이다. 그러나 이 세 기업은 이커머스 사업에 있어 서로 다른 전략을 취하고 있다. 네이버는 자체 판매 및 배송보다는 판매자와 구매자를 연결해주는 오픈마켓을 중심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상대적으로 자체 물류센터를 조금 보유하고 있다. 반면, 이마트와 쿠팡은 경쟁력 있는 자체 판매 플랫폼을 가지고 있으며, 다수의 물류센터를 보유 또는 임차하고 있다. 이 두 기업은 취급 품목에서 서로 차이를 보인다. 이마트는 오프라인 유통에서부터 구축해왔던 신선식품을 중심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쿠팡은 많은 물품 종류를 가진 공산품을 중심으로 차별화하고 있다. 연구에 있어 여러 기업의 물류센터를 참고하였으나, 국내 이커머스 시장의 선두에 있으며 허브 물류센터 뿐만 아니라 도심형 물류센터를 구축한 이마트와 쿠팡을 중심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먼저, 과거의 물류센터와 이커머스를 보조하는 물류센터를 각각 오프라인 물류센터, 온라인 전용 물류센터로 구분하여, 최근 새롭게 등장한 온라인 전용 물류센터에 대해 분석을 진행하였다. 또한 입지와 규모 등의 측면에서 차이를 보이는 물류센터 유형을 각각 도심형 물류센터, 허브 물류센터로 세분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또한, 도심형 물류센터의 경우 적재공간이 필수적이지 않으며, 대신 일시적인 보관을 위한 공간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분석에 반영하기 위해 보조적재공간을 추가로 정의하여 물류센터의 공간요소를 적재공간, 보조적재공간, 이동공간, 접안공간으로 구분하였다.

두번째로, 각 기업의 주요 취급 품목에 따른 입지 특성의 차이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전반적으로 오프라인 물류센터에 비해 수요지를 지향하는 특성을 보이나, 주요 취급 품목에 따라 입지 특성이 차이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신선식품을 주로 취급하는 기업의 물류센터는 상대적으로 도심지에 가까웠으며, 개별 배송권역이 작고 분산되어 있었다. 또한, 물류센터의 입지가 배송권역 내부에 위치하거나 오히려 배송권역보다 도심지에 가까이 위치하였다. 반면, 공산품을 주로 취급하는 기업의 물류센터는 배송권역 밖 도심지에서 먼 곳에 위치하였고, 개별 배송권역이 넓고 서로 집적되는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신선식품 위주의 물류센터는 허브 물류센터와 도심형 물류센터를 구분하지 않고 최종 적환지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어, 여러 적환지를 거쳐 배송되는 공산품 위주의 물류센터와 차이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각 기업의 주요 취급 품목에 따른 공간 특성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허브 물류센터의 공간은 취급 물품에 대부분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적재공간의 경우 신선식품 위주의 물류센터가 공산품 위주의 물류센터에 비해 더 밀도 있고 자동화가 많이 이루어졌음을 확인하였다. 도심형 물류센터의 경우, 신선식품 위주의 물류센터는 접안공간이 통합되어 있으며, 독립적인 적재공간과 이를 순환하는 이동공간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자동분류장치가 구축되어 있으며, 배송을 위한 보조적재공간은 생략되어 있었다. 반면, 공산품을 주로 취급하는 물류센터는 분리된 접안공간을 가지고 있었으며, 적재공간이 없는 대신 배송을 위한 보조적재공간을 가지고 있었다.

건축 이론의 경우 LeCavalier가 주장하였던 The Content is the Form으로의 물류센터와 Lyster가 주장한 Ground Rule이 온라인 전용 물류센터, 특히 도심형 물류센터에는 더 이상 적용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Weick의Loosely Coupled System으로 바라본 물류의 특징은 도심형 물류센터에도 유효하게 적용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물류 시스템 전반에 대해 논의되었던Loosely Coupled System에 대한 LeCavalier의 관점을 공간의 형태로 보완하여 물류센터의 공간을 설명하는 데에 사용하였다. 물류센터는 물품을 각자의 규칙에 따라 묶어 보관하는 집합공간과 각 집합공간을 연결하는 프로토콜 역할을 하는 재분배공간의 조합으로 구축되며, 해당 특성이 기존의 오프라인 물류센터 뿐만 아니라 새롭게 등장하는 물류센터 전반을 아우르는 건축적 특성임을 확인하였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 초록 i

목 차 v

표 목차 vii

그림 목차 viii



제 1 장 서 론 1


제 1 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제 2 절 선행연구 4

제 3 절 연구의 대상 및 방법 13

제 4 절 용어 정의 20



제 2 장 물류센터 이론 고찰 24


제 1 절 물류센터 입지이론 24

제 2 절 물류센터 건축이론 36



제 3 장 온라인 전용 물류센터의 입지 특성 46


제 1 절 이마트와 쿠팡의 물류 구축 현황 46

제 2 절 물류센터 입지 및 배송권역 특성 53

제 3 절 허브물류센터와 도심형 물류센터의 관계 63

제 4 절 소 결 65



제 4 장 온라인 전용 물류센터의 공간 특성 67


제 1 절 물류센터의 공간 및 설비 67

제 2 절 사용 설비로 바라본 공간 특성 74

제 3 절 공간요소의 배치로 바라본 공간 특성 78

제 4 절 건축이론을 통해 바라본 공간 특성 85

제 5 절 소 결 98



제 5 장 결 론 99


제 1 절 결 론 99

제 2 절 연구의 한계 및 의의 103



참고문헌 105

Abstract 110
-
dc.format.extentx, 114-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물류센터-
dc.subject이커머스-
dc.subject유통-
dc.subject이마트-
dc.subject쿠팡-
dc.subject구축 논리-
dc.subject.ddc690-
dc.title온라인 전용 물류센터의 입지 및 공간 특성 분석-
dc.title.alternativeAn Analysis of Location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Online Logistics Center: Focused on E-mart, and Coupang-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Kim Changyong-
dc.contributor.department공과대학 건축학과-
dc.description.degree석사-
dc.date.awarded2022-02-
dc.title.subtitle이마트와 쿠팡의 사례를 중심으로-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70062-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7▲000000000054▲000000170062▲-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