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온라인 플랫폼 종사자간 공동행위에 대한 경쟁법적 접근 : Competition law approach to cartel among online platform workers
음식거래플랫폼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나호연

Advisor
임용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플랫폼 종사자공정거래법공동행위대항카르텔다면플랫폼음식거래플랫폼배달플랫폼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법과대학 법학과, 2022.2. 임용.
Abstract
What position should the Competition Law take regarding the cartels of platform workers as Undertaking? Discussions about this question have been led by the Labor Law, but there is a huge need for regulation based on the Fair Trade Act as well.
There are keen discussions about rational plans to regulate platform workers in the Labor Law based on their atypical characteristics. That is, they perform their service in atypical and various ways, which makes it difficult to judge their status in a declarative and lexical manner from the perspective of the Labor Law. As a result, there is an extensive grey area. Recently, an organization formed by platform workers was recognized as a labor union defined by the Labor Union Act.
On the other hand, it is difficult to deny the fact that platform workers have the conceptual elements of undertaking as defined in the Competition Law based on their economic status. If they restrict competition in the market through their cartels, they will be subjected to regulations in the Competition Law. That is, if platform workers, who could be recognized as employees by the Labor Union Act, engage in cartels, there can be overlapping interpretations of regulations between the Competition Law and the Labor Law on the surface. It is, however, difficult to judge whether they are employees defined by the Labor Union Act and whether it meets the goal of the Labor Union Act to allow their joint acts without any restrictions as this can have direct impacts on the market participants of platforms with contrasting interests. A need rises to promote harmony among market participants and to find a way to resolve overlapping interpretations of regulations on the surface between the Fair Trade Act and the Labor Union Act.
This study discusses rational plans to regulate the cartels of platform workers to resolve the overlapping interpretations of norms between the Fair Trade Act and the Labor Union Act and promote harmony among the market participants of platforms with different interests. This is not a simple issue as it is raised around the world as well as in South Korea. In California, the U.S.A., the state legislature granted the status of Employee exempt from the application of the Competition Law to platform workers. This bill was nullified by a resident referendum in less than a year. This is a representative case to show that it is not always desirable to advocate only the interests of workers in a platform where there is a sharp confrontation among stakeholders with different interests.
In South Korea, this social discourse is excessively inclined toward the protection of platform workers interests. South Korea is not only completely holding back the application of the Fair Trade Act, which is to protect market competition and consumers, but it is also in the process of endorsing an act to protect platform workers. If a social discourse to protect platform workers does not take into consideration the interests of different market participants including consumers, restaurants, and platform workers at all, it can lead to new conflicts and cause legal instability.
Employees are guaranteed three rights of labor, and the intention here is to provide employees fragmented against massive capital with the means to have negotiations on an equal standing according to the viewpoint of equal arms and secure fair working conditions. It is not just to swing the arms granted for this purpose on consumers and small undertakings. It is thus needed to apply the Fair Trade Act to the cartels of platform workers regardless of their nature as employees in the Labor Union Act. The scope of their cartels should also be rational even if it is controlled by the Fair Trade Act.
The study assesses the cartels of riders in food trade platform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Fair Trade Act, which mainly protects the value of public interest, such as consumer surplus and market competition that were completely excluded from social discussions about platform economy. Given the powerful network effects of a platform, there is a need to examine the effects of platform riders cartels on consumer surplus and market competition. It can help to discuss how to tune up the interests of different market participants protected by different laws. Considering that the old social discussions about platform economy mostly focused on the protection of platform riders, the study tried to strike balance by approaching the issu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Fair Trade Act whose main purpose was to protect consumers as market subjects with contrasting interests against platform riders.
Based on these discussions, the study will hopefully serve as priming water to have a balanced consideration into the interests of different subjects such as consumers and small undertaking as well as platform riders in future social discussions about the topic.
공정거래법상 사업자인 플랫폼 종사자들의 공동행위에 공정거래법이 어떠한 입장을 취해야 하는가? 이와 관련된 논의는 노동법에 의해 주도되고 있으나, 공정거래법에 의해 규율되어야 할 필요성도 작지 않다.
플랫폼 종사자들의 비전형성으로 인해, 노동법에서도 이들의 특성을 고려한 합리적 규율방안이 무엇인지에 대한 논의가 첨예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즉, 플랫폼 종사자의 용역 수행 행태가 비전형적이고 다양하기 때문에 노동법의 관점에서도 이들의 지위를 선언적·사전적으로 판단하기 어려워 규범해석상 광범위한 회색지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최근에는, 플랫폼 종사자들이 결성한 단체가 노동조합법상 노동조합으로 인정되는 사례도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플랫폼 종사자들의 경제적인 실질을 고려하면 이들이 공정거래법상 사업자의 개념요소를 갖추고 있다는 사실을 부인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따라서 이들이 공동행위를 통해 시장의 경쟁을 제한한다면 이는 공정거래법의 규율대상이 된다. 즉, 노동조합법상 근로자로 인정될 가능성이 있는 플랫폼 종사자들이 공동행위를 한다면, 외견상으로는 공정거래법과 노동조합법 사이의 규범해석상 중첩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노동조합법상 근로자 해당여부에 관하여 선언적으로 판단하기 어렵고, 상충되는 이해관계를 가진 플랫폼의 시장참여자들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이들의 공동행위를 제한없이 허용하는 것이 노동조합법의 목적에 부합하는지도 선언적으로 판단하기 어렵다. 따라서, 시장참여자들의 조화를 꾀하면서도 공정거래법과 노동조합법 사이에 외견상 발생하는 규범해석상 중첩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플랫폼 종사자의 공동행위를 어떻게 규율하는 것이 공정거래법과 노동조합법 사이의 규범해석상 중첩을 해소하면서도 플랫폼 시장참여자들의 이해관계를 조화시킬 수 있는 합리적인 방안인지 논하고자 한다. 이는 비단 우리나라뿐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제기되는 문제로, 간단하지 않다. 주 의회의 입법을 통해 플랫폼 종사자들에게 독점금지법의 적용에서 제외되는 근로자의 지위를 부여한지 채 1년도 지나지 않아, 주민투표를 통해 해당 법안을 무효화한 미국 캘리포니아 주의 사례는, 여러 이해당사자의 이익이 첨예하게 대립되는 플랫폼에서 종사자의 이익만 내세우는 것이 반드시 바람직한 것은 아니라는 점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그러나, 이와 관련된 우리나라에서의 사회적인 담론은 지나치게 플랫폼 종사자의 이익보호에 치우쳐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시장경쟁·소비자를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공정거래법이 완전히 자제하고 있을 뿐 아니라, 플랫폼 종사자 보호를 위한 법률도 제정될 예정에 있다. 이처럼 플랫폼 종사자를 보호하기 위한 사회적 담론이 소비자·요식업자·플랫폼 사업자와 같은 다른 시장참여자들의 이익을 전혀 고려하지 않는다면, 이는 오히려 새로운 갈등으로 이어져 법적 불안정성을 초래할 수 있다.
근로자에게 근로3권을 보장하는 취지가 무기대등의 관점에서 거대한 자본에 대해 파편화된 근로자들이 대등한 지위에서 협상하여 공정한 근로조건을 쟁취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부여하는 것임을 고려할 때, 그러한 목적으로 부여된 무기가 소비자·소규모 자영업자에 대해 휘둘러지는 것은 정당하지 않다. 따라서 플랫폼 종사자의 공동행위에 대해서는, 종사자들의 노동조합법상 근로자성 인정 여부와 관계없이 공정거래법이 적용되어야 하며, 공정거래법이 이에 대해 자제한다고 하더라도 그 범위가 합리적이어야 한다.
이에, 본 논문은 그동안 플랫폼 경제를 둘러싼 사회적 논의에서 완전히 소외되었던 소비자후생·시장에서의 경쟁과 같은 공익을 주요한 보호가치로 하는 공정거래법의 관점에서, 특히 음식거래플랫폼 종사자의 공동행위를 평가한다. 플랫폼의 강력한 네트워크 효과를 고려할 때, 플랫폼 종사자의 공동행위가 소비자후생 및 시장에서의 경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서로 다른 법제로 보호되어왔던 여러 시장참여자들의 이익을 어떻게 조율할 것인지를 논할 수 있다. 플랫폼 경제를 둘러싼 기존의 사회적 논의가 상당부분 플랫폼 종사자의 보호에 중점을 두었다는 점을 고려하여, 본 논문은 플랫폼 종사자와 이해가 상충될 수 있는 시장주체인 소비자의 보호를 주 목적으로 하는 공정거래법의 관점에서 이 문제에 접근하여 논의의 균형을 맞추고자 한다.
이러한 본 논문의 논의가 향후 관련된 사회적 논의에서 플랫폼 종사자의 이익뿐 아니라 소비자·소규모 자영업자와 같은 다른 주체들의 이익을 균형있게 고려하는 마중물이 되기를 기대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3391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162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