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자기지식에 대한 현상적 투명성 이론 : Phenomenal Transparency Account on Self-Knowledge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신희재

Advisor
한성일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자기지식투명성 이론특권적 접근지향적 태도태도 특유의 현상성무어의 역설심리철학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인문대학 철학과(서양철학전공), 2022.2. 한성일.
Abstract
This paper aims to propose Phenomenal Transparency Account, by examining and diverging from previous theories that could be classified as transparency accounts. Transparency, in this context, indicates the status of mind through which the subject recognizes the object and the world. The subject encounters the world only through his/her transparent mental states, as we see things through sheets of transparent glass when we are wearing eyeglasses. I focus on belief as the examplar of the object of self-knowledge that is acquired by first-person transparency procedure. The ability to recognize ones own belief has been considered to be closely tied to the subjects rationality, and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explicate the nature of self-knowledge of belief when it comes to the topic of rational agency.
I will first argue that intropection accounts, which explains that self-knowledge of intentional states can be fully achieved by ones introspection, fail to explain the subjects self-knowledge that is acquired in ones first-person perspective. The discovery models of self-knowledge do not satisfy the requirement of Moores paradox, the precondition that the self-knowledge in first-person perspective must be acquired by ways that are synchronized with the world-directed judgement.
On the other hand, transparency accounts satisfy the requirement suggested by Moores paradox. Recent transparency accounts examined in this paper--by Byrne, Moran, and Boyle--argue that the subject self-ascribes his/her intentional states only through world-directed considerations. These accounts, however, fall short of explaining the mechanism by which the subject progresses toward the judgment for the states of affiars, therefore cannot fully account self-knowledge in first-person perspective.
In the last chapter, I propose Phenomenal Transparency Account that explicate the judgment mechanism by which the subject arrives at his/her world-directed judgment. In this account, the acquaintance with attitude-type-specific phenomenality, through which the subject arrives at world-directed judgment, becomes the basis of self-attribution. This acquaintance is the peculiar access in the sense that it is permitted only to the subject him/herself, and the subject's self-knowledge by the peculiar access is epistemically direct as it is not acquired by theoretical evidence regarding the belief states. Also, the subject has the epistemic entitlement to ascribe his/her intentional states by the transparency procedure on the assumption that the functionality and the phenomenality of his/her mental states are internally consistent. By this assumption, the self-ascribed belief, which is acquired through the transparency procedure and the acquaintance with phenomenality that comes along with world-directed considerations, is successfully warranted as proper self-knowledge.
이 논문의 목표는 지향적 태도에 대한 기존의 투명성 이론들의 한계를 지적하고 투명성 이론의 계열 안에서 하나의 대안적 설명인 현상적 투명성 이론을 제시하는 것이다. 여기서 '투명성'은 마음이 인식 주체와 맺는 관계적 속성으로, 인식 주체가 그것을 투과해서 세계의 대상을 바라본다는 의미를 담는다. 즉 심적 상태는 나의 의식이 바깥의 대상으로 나아갈 때 투과하는 투명한 유리와도 같다는 의미에서 투명하다. 본고는 투명성을 통한 일인칭 자기지식의 대상으로 지향적 태도 중에서도 믿음을 범례로 집중한다. 이는 스스로의 믿음을 직접적으로 아는 능력이 주체의 합리성과 긴밀하게 연결된 근본적인 능력이며 따라서 믿음에 대한 자기지식을 해명하는 것은 합리적 행위자성 전반과도 연결된 중요한 문제이기 때문이다.
본고는 투명성 이론가들을 살펴보기에 앞서 지향적 태도를 온전히 내성을 통해 발견하는 대상으로 상정하는 기존의 내성 이론이 일인칭 시점에서 직접적으로 얻어지는 자기지식에 대한 적절한 설명일 수 없다고 주장한다. 이는 기존의 내성 이론과 같은 발견 모형이 무어의 역설(Moore's paradox)이 암시하는 '일인칭 시점에서 얻어지는 자기지식이라면 사태에 대한 판단과 동기화되는 방식으로 얻어지는 것이어야 한다'는 제약 조건을 만족할 수 없기 때문이다.
반면 세계를 향하는 고려를 통해서 자기지식에 정당하게 도달할 수 있다는 투명성 이론은 무어의 역설이 주는 제약 조건을 만족한다는 점에서 자기지식에 대한 적절한 설명을 제공한다. 본고에서는 투명성에 주목한 이론으로 번의 투명성 추론주의, 모란의 합리적 행위자 이론, 보일의 반성주의 이론을 살펴본다. 하지만 세 학자는 공통적으로 투명성 절차에서 사태의 판단에 이르게 되는 판단의 메커니즘이 무엇인지에 대한 설명을 결여하고 있다는 점에서 자기지식 모형으로서 충분한 설명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논문의 마지막장에서 나는 투명성 절차에서 사태의 판단에 도달하는 메커니즘을 태도-특유의 현상성을 대면하는 과정으로 설명하는 현상적 투명성 이론을 제시한다. 현상적 투명성 이론에 따르면, 태도-특유의 현상성에 대한 대면은 자기지식의 근거를 제공하며, 이는 일인칭 주체에게만 허용된다는 점에서 자기지식을 얻기 위한 특유한 접근이다. 또한 이러한 자기지식은 직접적인 자기지식인데, 믿음 상태에 대한 이론적 증거에 근거하지 않고 투명성 절차를 통하여 얻어지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주체의 심적 체계가 기능성과 현상성 사이에 내적 일관성을 이루면서 작동하는 한 주체는 투명성 절차를 통하여 자신의 심적 상태를 정당하게 귀속할 수 있는 인식적 권리를 가지며, 이러한 가정 덕분에 투명성 절차와 사태에 대한 고려에 동반하는 현상성의 대면을 통해 얻어지는 자기지식은 인식적으로 보증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3448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096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