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저체중에 따른 심뇌혈관질환 발생률 및 사망률 분석 : Incidence and Mortality of Cardiovascular Disease in Underweight Individual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윤재문

Advisor
조비룡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저체중심뇌혈관질환심근경색뇌졸중발생률사망률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의과대학 의학과, 2022.2. 조비룡.
Abstract
Background: Few studies have evaluated the association between being underweight and cardiovascular disease in the general popul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cidence and mortality of stroke, myocardial infarction (MI) according to detailed underweight categories in a large population cohort.
Methods: We included 4,164,364 individuals who underwent a health examination provided by the Korean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between January 2009 and December 2012 and followed them up to determine the incidence of stroke, MI, and total mortality until December 31, 2016. The study population was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body mass index into normal (18.50–22.99), mild (17.00–18.49), moderate (16.00–16.99), and severe underweight categories (<16.00). Cox proportional hazards analyses were performed to calculate the hazard ratio (HR) for stroke, MI, and mortality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underweight with reference to the normal weight. We adjusted for age, sex, lifestyle, economic status, comorbidity, blood pressure, glucose, lipid level, and waist circumference.
Results: Overall, 46,728 stroke, 30,074 MI, and 121,080 death occurred during 27,449,902 person-years. The incidence of stroke, MI, and total mortality increased proportionally to the severity of underweight in multivariate model. This proportional association became more evident after further adjusting for the WC. The respective HRs (95% confidence intervals) associated with mild, moderate, and severe underweight were 1.10 (1.06–1.15), 1.11 (1.02–1.20), and 1.38 (1.24–1.53) for stroke; 1.19 (1.14–1.25), 1.40 (1.27–1.53), and 1.86 (1.64–2.11) for MI. The mortality rate of cerebrovascular disease was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to 16.3 (1.53 1.74), 1.77 (1.56-2.00), and 2.43 (2.08-2.84) according to the degree of underweight compared to the normal weight group. A significant increase was also observed in mortality from ischemic heart disease: 1.53 (1.40-1.66), 1.96 (1.69-2.29), and 3.25 (2.71-3.88). However, the risk of stroke and myocardial infarction increased by 1.17 (1.08-1.26) and 1.25 (1.13-1.39), respectively, in the case of recovery from underweight to normal weight compared to the group maintaining normal weight.
Conclusions: The severity of underweight was associated with higher incidence and mortality of stroke, MI. However, the change from underweight to normal weight did not show improvement in the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Therefore, additional research is needed for clinical proposals for cardiovascular risk management in the underweight individuals.
배경: 일반 인구집단에서 저체중과 심뇌혈관질환의 위험도의 연관성을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저체중의 정도에 따른 뇌졸중과 심근경색의 발생률과 사망률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시행하는 국가건강검진을 받은 인구 집단을 연구 대상자로 하였다. 2009년 1월 1일부터 2012년 12월 31일 사이에 1회 이상 건강검진을 받은 대상자를 2016년 12월 31일까지 공단청구자료를 통해 추적관찰 하였다. 심뇌혈관질환의 발생은 뇌졸중 또는 심근경색으로 입원한 것으로 조작적 정의를 하였다. 심뇌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은 통계청과 연계된 사망원인을 이용하여 정의하였다. 저체중은 체질량지수(kg/m2)를 기준으로 경도(17이상 18.5미만), 중등도(16이상 17미만), 중증(16 미만)의 3단계의 등급으로 분류하였다. 콕스 비례위험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심뇌혈관질환의 위험요인으로 알려져 있는 연령, 성별, 혈압, 혈당, 지질상태, 신기능, 허리둘레, 생활습관(음주, 흡연, 신체활동)을 교란요인으로 보정하였다.
결과: 총 4,164,364명의 대상자를 27,449,902인년 추적관찰 하였다. 추적관찰 기간 동안 총 사망자는 121,080명 있었다. 뇌졸중의 경우 정상 체중 집단과 비교할 때, 저체중의 경도, 중증도, 중증 집단에서 질병 발생 위험도가 각각 1.10 (1.06–1.15), 1.11 (1.02–1.20), 1.38 (1.24–1.53)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가 관찰되었다. 심근경색의 경우에도 질병 발생 위험도가 1.19 (1.14–1.25), 1.40 (1.27–1.53), 1.86 (1.64–2.11)로 유의한 증가가 관찰되었다.
뇌혈관 질환의 사망률도, 정상체중집단과 비교할 때, 저체중의 정도에 따라 16.3(1.53-1.74), 1.77(1.56-2.00), 2.43(2.08-2.84)로 유의한 증가가 관찰되었다. 허혈성 심장질환의 사망률도 1.53(1.40-1.66), 1.96(1.69-2.29), 3.25(2.71-3.88)로 유의한 증가가 관찰되었다. 하지만, 저체중에서 정상체중으로 회복한 경우 정상체중을 유지한 군에 비하여 뇌졸중과 심근경색의 발생은 각각 1.17(1.08-1.26), 1.25(1.13-1.39)로 위험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저체중의 정도에 따라서, 뇌졸중, 심근경색과 같은 심뇌혈관질환의 발생률과 사망률이 증가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하지만, 저체중에서 정상체중으로의 변화가 심뇌혈관질환 발생 위험도의 개선을 보여주지 못하였다. 따라서, 저체중 집단에서 심뇌혈관질환 위험관리를 위한 임상적 제안을 위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겠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3466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931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