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제30차 유엔총회 북한의 한국문제(Question of Korea) 결의안 통과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Passage of the Resolution on the 'Question of Korea' by North Korea at the 30th UN General Assembly
북한의 대중·소 교섭 레버리지와 비동맹외교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최익제

Advisor
신욱희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한국문제데탕트삼각관계중소분쟁북한비동맹외교제30차 유엔총회주한미군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회과학대학 외교학과, 2022.2. 신욱희.
Abstract
In general, power is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variables in international politics. The great powers control the weaker powers by force, and the international political order is formed through compromises/agreements between the great powers. Inevitably, the weaker countries cannot be free from the pressure and influence of the great powers, and in many cases have no choice but to comply with the demands of the great powers. A weaker power seeks to borrow the power of another great power to pursue its own ends in conflict with the great power. However, when consensus between great powers are established according to strategic interests, the interests of the weaker powers between the great powers are easy to ignore. However,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se myths may not be fully applied under certain conditions. In other words, it analyzes diplomatic cases in which weak countries use international relations to offset the power gap with great powers and maximize their autonomy. Ultimately, it explores the possibility that the weaker countries can achieve their diplomatic goals in the face of friction with the great powers.

Specifically, this study deals with the passage of Resolution 3390B on Korean issues at the 30th UN General Assembly in 1975. At that time, North Korea, a weak country, was able to exert diplomatic autonomy and influence by passing a resolution on the Korean issue against United Nations. The resolution required the withdrawal of U.S. forces from Korea at the UN General Assembly. It was an exceptional case during detente among great powers. What was the factor that allowed North Korea, a weaker country, to pass a resolution on the Korean issue calling for the withdrawal of US forces from Korea in a détente situation where the neighboring powers wanted to maintain the status quo on the Korean Peninsula?

The political victory of North Korea's diplomacy in the diplomatic battle over the UN's resolution on the Korean issue in 1975 was the result of North Korea's leveragef for Soviet Union and Chian as well as non-aligned diplomacy working successfully at the UN in the first half of the 1970s. The Korean issue was first brought up to the United Nations by the United States at the 2nd United Nations General Assembly in 1947, and during the Korean War, the United Nations intervention was institutionalized through the United Nations Command (UNC) and the United Nations Commission on the Reunification of Korea (UNCURK). Until 1972, due to the strong influence of the United States in the United Nations, the passage of pro-North Korea resolutions on the Korean issue failed every time.

In the triangular Sino-Soviet-North Korea relationship formed during Korean War, the Sino-Soviet cooperation acted as a strong shackle and control over North Korea. However, in the late 1950s, Sino-Soivet control over North Korea was loosened as the Sino-Soviet conflict surfaced. However, in the 1960s, North Korea soon became involved in Sino-Soivet disputes and faced many difficulties. During this period, North Korea, which experienced both Soviet and Chinese sanctions, continuously strives to strengthen its independence among China and Soviet Union. In the end, while the Sino-Soviet conflict in the 1970s escalated, North Korea succeeded in restoring friendly relations with both China and the Soviet Union. If you look at diplomatic documents from the Communist bloc and declassified documents from the United States, you can see how North Korea was maximizing its autonomy by strategically using the Sino-Soviet dispute at that time. China and the Soviet Union had no choice but to actively cooperate in North Korean diplomacy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while competing with each other for North Korean support. This change in Sino-Soivet-North Kora triangle can be explained through the pivot concept of the triangle proposed by Jervis and Dietmer.

The strengthening of North Korea's independence is also reflected in the process of how North Korea's diplomacy broke out of camp diplomacy in the 1950s and expanded independent diplomacy in the late 1960s, leading to non-aligned diplomacy. In addition, North Korean public documents and South Korean diplomatic documents show the process of North Korea's success in joining the non-aligned movement despite being a socialist country with the support of friendly countries such as Algeria and Cuba, while actively riding on the left-wing phenomenon of the non-aligned movement in the first half of the 1970s. In particular,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the non-aligned powers over the establishment of a new international economic order in the first half of the 1970s provided an advantageous space for North Korea to gain support from non-aligned countries on the Korean issue at the United Nations. The FRUS data shows the sense of isolation that the United States felt within the United Nations amid confrontation with non-aligned forces. As a result, most of the non-aligned countries supported North Korea at the 30th UN General Assembly resolution on Korea in 1975.

In summary, despite the common goal of maintaining peace and maintaining the status quo on the Korean Peninsula, the US, China and the Soviet Union had to fight fiercely in the 1974-1975 debate on the Korean issue at the United Nations. The reason they were unable to compromise on the Korean issue was North Korea. North Korea was able to enjoy an advantage as a pivot by exploiting the reality that China and the Soviet Union could not reconcile with each other in the Sino-Soviet-North Korea triangle. Therefore, it succeeded in blocking the U.S. attempt to negotiate with China in the Sion-Soivet-North Korea triangular relationship. In addition, North Korea's independence has yielded many fruits in non-aligned diplomacy during the détente period. North Korea's non-aligned diplomacy was successful because it made good use of international trends, such as the leftist non-aligned movement and conflict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However, it would not have been possible without strategic choices and efforts for North Korea to reach the non-aligned and third world through the anti-imperialist struggle. As a result, North Korea has isolated the United States from the UN through continuous peaceful offensive and non-aligned diplomacy. In the end, in 1975, North Korea was able to press the UN to withdraw US forces from Korea and dismantle the UN Command by issuing a resolution calling for the withdrawal of US forces from Korea in the name of the UN, which he had been hostile to.
일반적으로 국제정치에서 힘(power)은 가장 중요한 변수 중 하나로 생각된다. 강대국들은 힘으로 약소국들을 통제하고, 강대국 간의 타협/합의를 통해 국제정치 질서를 형성한다. 필연적으로 약소국들은 강대국들의 압력과 영향력에서 자유로울 수 없으며, 많은 경우 강대국의 요구대로 순응할 수밖에 없다. 약소국은 강대국과의 갈등에서 자신의 목적을 추구하기 위해 다른 강대국의 힘을 빌리려고 한다. 하지만 전략적 이해관계에 따라 강대국 간의 제휴가 이뤄지면, 강대국 사이에 낀 약소국의 이익은 무시되기 쉽다. 하지만 본 연구는 이러한 통념이 일정한 조건 하에서 일부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즉 약소국이 국제관계를 이용하여 강대국과의 힘의 격차를 상쇄시키고 자신의 자율성을 극대화하는 외교사례를 분석한다. 궁극적으로 약소국이 강대국과의 마찰 속에서도 자신의 외교적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1975년 제30차 유엔총회 한국문제 결의안 3390B호의 통과사례를 다룬다. 당시 한반도의 현상유지라는 강대국들의 이해가 일치하는 미소, 미중 데탕트 상황에 약소국인 북한이 미국을 상대로 유엔총회에서 사실상 주한미군 철수를 요구하는 한국문제 결의안을 통과시키는 외교적 자율성과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었던 것은 이례적인 사건이었다. 주변 강대국들이 한반도의 현상유지를 원하는 데탕트 상황에서 약소국인 북한이 주한미군 철수를 요구하는 한국문제 결의안을 통과시킬 수 있었던 요인은 무엇인가?

1975년 유엔의 한국문제 결의안을 둘러싼 외교전에서 북한 외교의 정치적 승리는 1970년대 전반기 북한의 대중소 레버리지와 비동맹외교가 유엔에서 성공적으로 작동했던 결과였다. 한국문제는 1947년 제2차 유엔총회에서 미국에 의해 처음 유엔에 상정되었으며,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유엔군사령부(UNC)와 유엔한국통일부흥위원단(UNCURK)을 통해 유엔의 개입이 제도화되었다. 1972년까지 유엔 내 미국의 강력한 영향력으로 인해 한국문제에 대한 친북결의안 통과는 번번이 실패했다.

한국전쟁을 통해 형성된 북중소 삼각관계에서 중소의 협력은 북한에 대한 강력한 통제와 족쇄로 작용했다. 그러나 1950년대 후반 중소갈등이 표면화되면서 북한에 대한 중소의 통제력이 느슨해지게 된다. 하지만 1960년대 북한은 이내 중소분쟁에 연루되면서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된다. 이 시기 소련, 중국의 제재를 번갈아 경험한 북한은 중소 사이에서 꾸준히 자주성을 강화하는 노력을 기울인다. 결국 1970년대 중소분쟁이 첨예화되는 중에 북한은 중국, 소련 양측과 우호관계를 회복하는 데 성공했다. 공산권 외교문서와 미국의 기밀해제문서를 보면 당시 북한이 중소분쟁을 전략적으로 이용하여 자신의 자율성을 극대화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중국과 소련은 북한의 지지를 얻기 위해 서로 경쟁하면서 국제사회에서 북한 외교에 적극적으로 협력할 수밖에 없었다. 이런 북중소 삼각관계의 변화는 저비스와 디트머가 제시한 삼각관계의 개념을 통해서 설명할 수 있다.

북한의 자주성 강화는 북한외교가 1950년대 진영외교의 한계를 벗어나 1960년대 후반 자주적인 외교를 확대하면서 어떻게 비동맹외교를 시작하게 되었는지 과정에서도 잘 드러난다. 그리고 북한 문헌과 대한민국 외교문서는 1970년대 전반기 북한이 비동맹 운동의 좌경화 현상에 적극적으로 편승하면서, 알제리와 쿠바 등 우호국들의 지원을 받아 사회주의 국가인데도 불구하고 비동맹운동에 가입하는 데 성공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특히 1970년대 전반기 신국제경제질서 수립을 둘러싼 미국과 비동맹권 간의 대립은 북한이 유엔에서 한국문제에 대한 비동맹 국가들의 지지를 얻는 데 유리한 공간을 마련했다. FRUS 자료는 당시 미국이 비동맹세력과의 대립 가운데 유엔 내에서 느끼던 고립감을 보여준다. 결과적으로 1975년 제30차 유엔총회 한국문제 결의안 표결에서 대다수 비동맹 국가들이 북한을 지지했다.

요약하면 미중소는 한반도의 평화와 현상유지라는 공동의 목표에도 불구하고, 1974~1975년 유엔에서 벌어진 한국문제 토의에서 치열한 표대결을 펼쳐야만 했다. 이들이 한국문제에서 서로 타협할 수 없었던 이유는 바로 북한이었다. 북한은 북중소 삼각관계에서 중국과 소련이 서로 화해할 수 없는 현실을 이용해서 제3로서 외교적 이점을 누릴 수 있었다. 그래서 미국의 대중국 협상시도를 북중소 삼각관계 속에서 봉쇄하는 데 성공했다. 또한 북한의 자주성은 데탕트기 비동맹 외교에서 많은 결실을 맺었다. 북한의 비동맹 외교는 비동맹운동의 좌경화와 빈부갈등처럼 국제사회의 흐름을 잘 이용했기 때문에 성공할 수 있었다. 하지만 북한에게 반제투쟁을 연결고리로 비동맹과 제3세계에게 다가가는 전략적 선택과 노력이 없었다면 성공할 수 없었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북한은 북한은 지속적인 평화공세와 비동맹외교를 통해 유엔에서 미국을 고립시켰다. 결국 1975년에는 주한미군 철수를 요구하는 결의를 자신이 적대하던 유엔의 이름으로 발표함으로써, 유엔에서 주한미군 철수와 유엔군사령부 해체를 압박할 수 있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3486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972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