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조직커뮤니케이션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 Culture
조직문화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송일선

Advisor
우지숙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조직커뮤니케이션직무만족조직몰입조직문화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행정대학원 행정학과(행정학전공), 2022.2. 우지숙.
Abstract
오늘날 공공기관이 직면하고 있는 현대사회의 변화, 불경기 그리고 세계화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외부환경에 대응할 수 있는 힘을 길러야 한다. 또한 생산적이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하기 위해서는 효율적인 관리 제도의 도입과 더불어 조직발전의 능동적 주체인 조직구성원의 조직효과성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공공기관의 조직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조직커뮤니케이션에 초점을 맞추어 조직효과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조직문화, 조직공정성, 리더십, 조직구조 등 다양한 요소들 중 조직커뮤니케이션에 초점을 맞추었다. 공공기관은 관리 및 제도 개편의 한계점이 인식되면서 조직행태 측면인 조직커뮤니케이션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이에 공공기관은 원활한 조직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조직목표를 달성하고 조직효과성을 높이는데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였다.
조직커뮤니케이션과 조직효과성의 관계는 경영학을 중심으로 주로 민간조직을 대상으로 다수의 연구가 이루어져왔지만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하는 행정학 연구 분야에서는 조직커뮤니케이션 연구를 최근 들어 조명해오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본 연구는 공공기관 중 시장형 공기업을 대표하는 한국전력공사를 대상으로 실증분석하였다. 그 과정에서 조직문화의 조절효과를 추가적으로 분석하여 조직문화에 따라 그 영향력이 조절되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공공기관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하여 조직커뮤니케이션을 활용한 조직효과성 향상을 도모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이론적 논의와 선행연구에 따라 조직커뮤니케이션을 상향적 커뮤니케이션, 하향적 커뮤니케이션, 수평적 커뮤니케이션, 비공식적 커뮤니케이션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조직효과성을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으로, 조직문화를 위계문화와 합리문화로 구분하였다. 이 밖에도 분석과정에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구통계학적 변수들을 통제변수로 설정하였다.


분석자료는 한국전력공사 현직자 24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온라인 설문조사 자료이다. 그중 결측값을 제외한 224명의 응답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조직커뮤니케이션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조직커뮤니케이션 중 상향적, 하향적, 수평적 커뮤니케이션이 높아질수록 직무만족이 높아지고 비공식적 커뮤니케이션이 높아질수록 조직몰입이 높아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위계문화가 비공식적 커뮤니케이션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식적 커뮤니케이션이 높을수록 직무만족이 높아지며 비공식적 커뮤니케이션 높을수록 조직몰입이 높아지는 결과를 통해 공공기관의 조직커뮤니케이션이 조직의 변화관리 차원에서 제고되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결과적으로 공공기관의 조직효과성 향상을 통한 수혜는 국민에게 귀속될 것이다.
둘째, 다양한 조직커뮤니케이션에 초점을 맞추었다. 공공기관을 연구하는 데 있어 공식적 커뮤니케이션에만 초점을 맞추지 않고 비공식적 커뮤니케이션까지 고려하여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다차원적인 접근방식을 취하였다. 공공기관 내 공식적 커뮤니케이션에 초점을 맞춰 조직커뮤니케이션을 바라보기보다는 비공식적 커뮤니케이션도 고려하여 조직의 변화관리 차원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셋째, 조직효과성과 관련하여 조직문화, 조직문화와 조직커뮤니케이션의 상호작용항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 같은 결과는 조직행태, 그중에서도 조직커뮤니케이션을 다루는 데 있어서 조직문화보다는 공공기관 내 관리자의 리더십 유형, 직무스트레스, 조직시민행동 등 다양한 변수에 초점을 맞춰야 할 필요성을 보여준다. 또한 공공기관 내 조직문화 차이에 있어 선험적인 편견을 가져서는 안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In order to adapt to the changes, recessions, and globalization of the modern society facing public organization today,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the power to cope with the external environment. 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productive and sustainable developmen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members of the organization, which is an active subject of organizational development, along with the introduction of an efficient management system.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y focusing on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mong the factors affecting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public organization. It focused on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mong various factors such as organizational culture, organizational fairness,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structure. Public organization became interested in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which is an aspect of organizational behavior, as limitations of management and system reform were recognized. Accordingly, public organization began to be interested in achieving organizational goals and increasing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rough smooth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has been studied mainly in private organization, but in the field of public administration research targeting public organization,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research has recently begun to be highlighted.
In this background,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KEPCO, which represents market-type public enterprise among public organization. In the process, the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ulture was additionally analyzed to see if its influence was regulated according to organizational culture. For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public organization, it is intended to improv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y revitalizing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To achieve this study purpose,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was divided into upward communication, downward communication, horizontal communication, and informal communication according to existing theoretical discussions and previous studies. In additi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as divided into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ulture into hierarchical culture and rational culture. Also, demographic variables that can affect the analysis process were set as control variables.
The analysis data are data from an online survey conducted on 240 incumbent KEPCO employees. Among them, 224 responses excluding missing values were used for analysi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upward, downward, and horizontal communication among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and the higher the informal communication, the higher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hierarchical culture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l communic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higher the official communication,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and the higher the informal communication, the higher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leading to the implication that the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of public organization should be improved in terms of organizational change management. As a result, the benefits of improving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public organization will belong to the citizen.
Second, it focused on various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In studying public organization, a multi-dimensional approach was taken by examining the impa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y considering informal communication without focusing only on formal communication. Rather than focusing on formal communication within public organization, it is necessary to enhance the level of organizational change management by considering informal communication.
Third, regarding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interaction terms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se results show the need to focus on various variables such as leadership type,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f managers in public organization rather than organizational culture, especially organizational culture differences. It also means that there should be no a prior prejudice against differences in organizational culture within public organization.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3505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909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