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중국의 원격진료기반 mHealth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품질·위험 지각과 이용의도 : Perception of quality and risk and intention to use mHealth applications based on telemedicine in China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리나

Advisor
손상희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원격진료기반 mHealth 애플리케이션중국소비자지각된 품질지각된 위험mHealth 리터러시이용의도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생활과학대학 소비자학과, 2022.2. 손상희.
Abstract
As the quality of life is gradually increasing, interest in medical care and effective health management methods are becoming more important. Therefore, the way and form of providing medical care is also changing. At the same time,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industry, the possibility of providing health-related services through telephones or other mobile devices is gradually being discovered. As a new form of medical service, non-telemedicine applications are emerging in Korea, while in China, telemedicine based applications are making great progress due to legal "telemedicine" allowances, so it is worth noting these new forms of healthcare.
Starting in 2016, there are approximately 2000 mHealth applications in China under the Chinese government's set of promotion policies (Fast Track Research Institute, 2019) and the market size for 2020 is expected to be 50 billion yuan, and the number of users of mHealth applications in the first half of 2020 has been statisticed at 5.9 billion. In the case of South Korea,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emporarily allowed telephone treatment as the COVID-19 outbreak broke out, and is showing active attitudes and actions regarding whether to allow remote treatment. For example, Bucheon St. Mary's Hospital started 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overseas (Health Kyunghyang, October 21. 2020), and treatment is also being conducted through the hospital's chatbot (Pressian, May 14. 2020).
Despite the many advantages and explosive growth potential predicted through telemedicine-based mHealth application, the complexity of new technology and the high-involvement service product targeting personal health (Seong Hee Han, 2019) Due to the nature of the medical industry, personal health information leakage There are a lot of issues that need to be addressed, such as growing anxiety and distrust in applications, but research from the consumer's point of view is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identified the perceived quality, perceived risk, and mHealth literacy level for Chinese consumers based on the relatively developed mHealth application market in Chin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elemedicine application group and the non-telemedicine application group, and to examine the effect on the intention to use the mHealth application.
For this purpose, the study was conducted online through wjx.cn, a Chinese internet research firm,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March 29, 2021 to April 5, 2021 and 369 copi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Using the SPSS MAC 26.0 statistical program,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one-way ANOVA, two-way ANOVA,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he analysis results and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mHealth application types, the most frequently used applications were 261 (70.7%) users for telemedicine applications and 116 (29.3%) non-telemedical applications users.
Second, the group who frequently use applications for telemedicine and the group who frequently use applications for non-telemedicin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income, education level, and health status in using mHealth application. Most of the telemedicine application group was distributed above 8000 yuan, and the non-telemedicine application group was 8000 yuan or less. Looking at the age, the age group of application users for telemedicine was higher than the age group of non-telemedicine application user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health status, but overall, both groups showed a similar distribution.
Third, the perceived quality of the telemedicine-based mHealth application was 3.96, which was relatively high, and the perceived risk was 2.96, which was moderate, and the consumer's mHealth literacy was 4.01, indicating a high overall level.
Fourth, perceived quality, perceived risk, and mHealth literacy levels were different between the telemedicine application group and the non-telemedicine application group,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s. Compared with the group that frequently use non-telemedicine applications, group consumers who frequently use telemedicine applications perceived quality as high, but perceived risk as low. It also has a higher mHealth literacy level.
Fifth, based on demographic factors such as gender, age, city, income, and medical consumer characteristic factors such as health conditions and chronic diseases, the group of those surveyed was divided into perceived quality, perceived risks, and mHealth literacy in each group. Specifically, the perceived physical risk of women was higher than that of men, and the group under 30 had higher privacy risk, economic risk, physical risk, and temporal risk than the rest of the group. Residents of the third-line cities were found to have a higher perceived economic and time risk than residents of the second-line cities, and those with lower incomes than those with lower RMB5,000 had lower perceived quality, higher perceived risks, and lower levels of mHealth literacy. In the case of the university group, they perceive lower economic and temporal risks than the junior college and high school and lower groups. In addition, the group with chronic disease showed lower perceived privacy risk and economic risk than the group without chronic disease.
Six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intention to use the mHealth application based on telemedicine, the overall score was 4.21, which was high. Looking at the detailed questions, I will continue to use the mHealth application based on the telemedicine service was the highest with 4.36 points. It can be inferred that consumers have a good attitude toward the mHealth application and are somewhat satisfied.
Seven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use, as a demographic factor, health status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person to help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to use, and perceived reliability, convenience, empathy, and economic feasibility were It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and in the perceived risk factors, only the perceived physical risk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ntention to us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consumers' mHealth literacy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ir intention to us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implications were drawn.
First, from the research result that high perception level of perceived privacy risk and physical risk negatively affect consumers' intention to use mHealth application based on telemedicine, in terms of consumer policy, consumers' medical information protection and medical accident-related legal This suggests that various policies should be implemented to supplement the system, guarantee medical qualifications of medical staff on the telemedicine-based mHealth application, and enhance the reliability of mHealth.
Second, based on the results that mHealth literacy is the most important variable in the intention to use mHealth applications based on telemedicine, the importance of health management knowledge, online health-related information acquisition and There should be a program or education that can teach the evaluation method.
Third, a more in-depth study on the use of telemedicine-based mHealth applications in terms of consumer behavior is needed. When looking at the intention to use the telemedicine-based mHealth application, Chinese consumers were positive about the use, but a follow-up study is needed to determine whether they prefer to use the telemedicine application rather than directly using an offline medical institution.
Finally, if South Korea changes from non-remote diagnosis and treatment application to remote diagnosis and treatment application, it needs to pay attention to the following aspects.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staff and consumers who provide medical care, and empathy among medical staff should be emphasized, and it is necessary to emphasize the practical benefits that can be obtained by using applications for remote treatment. In addition, there should be a complete protection system for the health care privacy of consum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convenience of using the application should be focused on the convenience of using the application in order to expand the use of mHealth applications in South Korea in the future, and economic quality such as reduced medical costs should also be taken into account by using the quality and mHealth applications provided by the medical staff. In addition, since it is an mHealth application for health, it is necessary to minimize the awareness of physical dangers and have sufficient protection against it.
삶의 질이 점차 높아지며, 의료에 대한 관심과 효율적인 건강관리 방법도 더욱 중시 받고 있다. 따라서 의료서비스 제공 방식과 형태도 변화하고 있다. 그와 동시에 이동통신업계가 급속히 발전하면서 전화나 기타 이동기기를 통해 건강 관련 서비스를 제공할 가능성이 점차 발견되고 있다. 새로운 의료서비스 형식으로 한국에서는 비원격진료용 애플리케이션이 부상하고 있는 동시에, 중국에서는 법적으로 원격진료 허용에 따라 원격진료 기반 애플리케이션이 큰 발전추세를 보여, 이러한 새로운 의료 서비스 형태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2016년을 시작으로 중국 정부의 일련의 추진 정책하에 중국의 mHealth 애플리케이션은 2018년 기준으로 약 2000여 개가 있으며(Fast Track Research Institute, 2019) 2020년의 시장규모는 500억 위안으로 예상되고 2020년 상반기 mHealth 애플리케이션 이용자 수는 5.9억으로 집계 되었다. 한국의 경우 코로나19 사태가 발생하면서 보건복지부에서 일시적으로 전화 진료를 허용했고 원격진료 허용여부 관련해 긍정적인 태도와 행동들이 나타나기시작했다. 이를테면, 부천성모병원에서는 해외에 있는 환자를 원격모니터링하기 시작했고(헬스경향, 2020.10.21), 병원의 챗봇을 통한 진료도 이루어지고 있다(프레시안, 2020.05.14.).
원격진료 기반 mHealth 애플리케이션은이를 통한 여러 이점과 폭발적인 성장 잠재력이 예견됨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기술의 복잡성과 개인의 건강을 대상으로 하는 고관여 서비스 상품이라는(한성희, 2019) 의료산업의 특성상 개인 건강 정보 유출에 대한 불안,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불신이 커지는 등 해결해 나아가야 할 이슈들이 많아지고 있으나 이에 관한 소비자 관점의 연구가 미흡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상대적으로발전되어있는중국의 mHealth 애플리케이션 시장과 중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지각된 품질, 지각된 위험, mHealth 리터러시 수준을 파악하며 원격진료용 애플리케이션 이용집단과 비원격진료용 애플리케이션 이용집단별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를 살펴보고 더불어 mHealth 애플리케이션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중국 인터넷 리서치 전문회사인 wjx.cn을 통해 온라인 조사를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조사는 2021년 3월 29일부터 4월 5일까지 진행되었고 369부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SPSS MAC 26.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일원분산분석, 이원분산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mHealth 애플리케이션 유형 중 가장 자주 이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원격진료용 애플리케이션 이용자는 261명(70.7%),비원격진료용 애플리케이션 이용자는 116명(29.3%)으로 집계되었다.
둘째, 원격진료용 애플리케이션을 자주 이용하는 집단과 비원격진료용 애플리케이션을 자주 이용하는 집단은 mHealth 애플리케이션 이용에 있어 연령, 소득, 교육수준, 건강상태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원격진료용 애플리케이션 집단의 대부분은 8000위안 이상에 분포되었고, 비원격진료용 애플리케이션 집단은 8000위안 이하가 많았다. 연령을 살펴보면, 원격진료용 애플리케이션 이용자들의 연령층은 비원격진료용 애플리케이션 이용자들의 연령층보다 높았다. 건강상태에서는 집단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 전반적으로 두 집단 모두 비슷한 분포를 보였다.
셋째, 원격진료 기반 mHealth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지각된 품질은 3.96으로 비교적 높은 수준을 보였고 지각된 위험은 2.96으로 보통 정도이며 소비자의 mHealth 리터러시는 4.01로 전반적으로 높은 수준임을 알 수 있다.
넷째, 지각된 품질, 지각된 위험, mHealth 리터러시 수준은 원격진료용 애플리케이션 이용집단과 비원격진료용 애플리케이션 이용집단별 다르게 나타났으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비원격진료용 애플리케이션을 자주 이용하는 집단과 비교 시 원격진료용 애플리케이션을 자주 이용하는 집단 소비자들은 품질을 높게 인식하는 반면, 위험을 낮게 인식하였다. 또한, 더 높은 mHealth 리터러시 수준을 갖고 있다.
다섯째, 성별, 연령, 도시, 소득 등 인구통계학적 요인과 건강상태, 만성병 유무 등 의료소비자 특성 요인에 따른 집단별로 지각된 품질, 지각된 위험, mHealth 리터러시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남성보다 여성의 지각된 신체적 위험이 높았고 30세 이하인 집단이 나머지 집단보다 프라이버시 위험, 경제적 위험, 신체적 위험, 시간적 위험을 모두 높게 지각하였다. 3선도시 거주자들은 2선도시 거주자보다 지각된 경제적, 시간적 위험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득이 낮은 5000위안 미만 집단인 경우 소득이 높은 집단보다 지각된 품질이 낮고, 지각된 위험이 높으며 더 낮은 mHealth 리터러시 수준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교 집단인 경우 전문대학교, 고등학교 이하 집단보다 더 낮은 경제적 위험과 시간적 위험을 지각하고 있다. 또한, 만성병이 있는 집단은 없는 집단보다 지각된 프라이버시 위험, 경제적 위험이 낮게 나타났다.
여섯째, 원격진료 기반 mHealth 애플리케이션 이용의도를 살펴본 결과, 4.21점으로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세부 문항을 보면 나는 원격진료 서비스 기반 mHealth 애플리케이션을 지속해서 이용할 것이다.가 4.36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소비자들이 mHealth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양호한 태도를 보이며 어느 정도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일곱째,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인구통계학적 요인으로 건강상태, 도와줄 사람 유무가 이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지각된 신뢰성, 편리성, 공감성, 경제성은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지각된 위험 요인에서는 지각된 신체적 위험만 이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소비자의 mHealth 리터러시는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첫째, 지각된 프라이버시 위험에 대한 높은 지각수준과 신체적 위험이 소비자의 원격진료 기반 mHealth 애플리케이션 이용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를 통해 소비자 정책 측면에서 소비자의 의료정보 보호와 의료사고 관련 법적 제도를 보완하고 원격진료 기반 mHealth 애플리케이션 상의 의료진들의 의료자격 보장, 모바일 헬스의 신뢰도 제고를 위한 다양한 정책이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둘째, 원격진료 기반 mHealth 애플리케이션 이용의도에 있어 mHealth 리터러시가 가장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고 있는 결과를 바탕으로 소비자교육 측면에서 mHealth 리터러시 제고를 위해 건강관리 지식에 대한 중요성, 온라인을 통한 헬스 관련 정보 획득 및 평가 방법을 가르쳐 줄 수 있는 프로그램이나 교육이 진행되어야 한다.
셋째, 소비자행태 측면에서 원격진료 기반 mHealth 애플리케이션의 이용에 대한 더욱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원격진료 기반 mHealth 애플리케이션 이용의도를 살펴볼 때 중국 소비자들은 이용에 대해 긍정적이 었으나 오프라인 의료기관을 직접적으로 이용하는 것보다 원격진료 애플리케이션 이용을 우선적으로 이용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한국에서 비원격진료용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원격진료용 애플리케이션으로 전환한다면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측면에 주의할 필요 있다. 진료를 제공하는 의료진과 소비자의 커뮤니케이션, 의료진의 공감성을 중요시해야 하며 원격진료용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함으로 얻을 수 있는 경제적 혜택에 대해 강조할 필요가 있다. 그 외에도, 소비자들의 의료 프라이버시에 대해 프라이버시 위험을 줄일 수 있는 보호 체계가 있어야 한다. 또한, 향후 한국에서 mHealth 애플리케이션 도입 시 이용확산을 위해 애플리케이션 이용의 편리성에 중점을 두어야 하며 의료진이 제공하는 품질, mHealth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함으로써 의료비 절감과 같은 경제적 품질 역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함을 제시한다. 또한, 건강을 대상으로 하는 mHealth 애플리케이션인 만큼 신체적 위험에 대한 인식을 최소화하고 이에 대한 충분한 보장이 있어야 함을 제시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3518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102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