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중국현대문학 초기 중한번역 연구 : 中国现代文学初期中韩翻译研究-以梁白华,丁来东,金光洲 「阿Q正传」翻译为中心
- 양백화, 정래동, 김광주의 「阿Q正傳」번역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춘향

Advisor
전형준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중한번역루쉰아Q정전양백화정래동김광주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인문대학 중어중문학과, 2022.2. 전형준.
Abstract
본 논문은 루쉰(魯迅)의 대표작 「아Q정전(阿Q正傳)」의 초기 중한번역가 양백화(梁白華), 정래동(丁來東), 김광주(金光洲)의 번역을 중심으로 중국문학 중한번역을 검토한 연구이다. 분석의 대상을 양백화, 정래동, 김광주의 번역으로 삼은 이유는 기존의 「阿Q正傳」 중한번역에 대한 연구가 주로 1960년대 이후의 번역본에 집중되어 중한 초기번역에 대한 구체적인 비교연구가 누락되었기 때문이고, 한중일 격변기라는 시대적 맥락 하에 양백화, 정래동, 김광주의 번역가로서의 삶을 재조명하는 과정은 루쉰 소설에 대한 중한 초기번역양상, 더 나아가 중국문학의 한국어번역을 살펴보는 중요한 단초가 되기 때문이다.
본 논문의 내용은 크게 양백화, 정래동, 김광주의 성장 및 교육과정, 번역활동에 대한 전기적 고찰과 그들의 「阿Q正傳」 번역에 대한 연구로 구분된다. 우선 양백화, 정래동, 김광주의 성장 및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한중일 격변기라는 시대적 맥락 하에 양백화, 정래동, 김광주의 사상적 궤적, 언어적 측면에 주목하여 그들의 문학의식과 번역관에 대해 고찰하였다. 량치차오(梁啓超)의 계몽의식과 옌푸(嚴復)의 신달아(信達雅) 번역원칙이 양백화의 중국문학 번역에 미친 영향, 원문에 대한 충실성과 이국화(異化) 번역관이 정래동의 번역활동에 미친 영향, 그리고 김광주의 자국화(歸化) 번역태도가 김광주의 번역에 미친 영향에 대해 검토하였다. 또한 실증적인 자료에 의거하여 기존 전기적 서술 중의 오류를 찾아 향후의 연구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다음으로 양백화, 정래동, 김광주의 「阿Q正傳」 번역에 대해 고찰하였다. 가능한 번역의 다양성을 올바르게 인식하기 위해 먼저 양백화, 정래동, 김광주의 「아Q정전」에 대한 구체적인 번역사례 분석하였다. 분명한 오역 즉 번역의 문제점부터 파악하고 번역차이의 양상을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로부터 번역의 문제점에 대한 일정한 유형적 인식을 이끌어내는 작업을 진행하여 중국현대문학 초기 중한번역에 나타나는 제 문제에 대해 고찰하였다.
세 번역가의 상이한 번역관이 그들의 선택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집중적으로 고찰하였고, 특히 김광주에 대한 번역 관련 평판이 실증적인 고찰을 통해 이루어진 것보다는 추측이나 풍문의 영향이 적지 않다는 사실에 착안하여, 김광주의 「아Q정전」번역의 특징을 총 570개의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면밀히 검토하였다. 연구 성과의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그 방식을 양백화의 번역을 중심으로 한 검토, 정래동의 번역을 중심으로 한 검토, 김광주의 번역을 중심으로 한 검토 등 세 가지 검증 방식을 병행하여 추출검사를 진행하였다.
한문 실력이 탁월했으며 고전문학 번역원칙은 嚴復의 信·達·雅를 계승하였고 신문학 번역을 진행하는 과정에서는 胡適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밝혀진 양백화, 고전문학과 현대문학을 아울러 배우고 옌푸(嚴復)의 信을 중시하여 직역을 선호한 정래동, 16년의 중국생활로 백화문이 뛰어나지만 한문이라는 한계에 자국화(歸化) 번역을 선호한 김광주, 세 번역가의 번역 작품 선정, 번역 특징의 차이에는 시공간적 요소와 번역관이 작용했다. 양백화는 계몽적인 의식에서 루쉰과 가장 근접했고 정래동은 원문에 대한 충실성에서 루쉰과 가장 닮았으며 김광주는 절망과의 거리에서 루쉰과 가장 근접했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discuss the problems in Chinese-Korean transl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three Korean versions of The True Story of Ah Q, a masterpiece of Lu Xun. As previous studies on Korean translation of this book mostly focused on versions after the 1960s with rare attention paid to those in earlier periods, this paper selected Korean versions completed by Yang Baekhwa, Jeong Raedong and Kim Kwangju as the research objects. With drastic social changes of Korea, China and Japan at that time taken into account as the background, this paper tried to review the translation career of the above-mentioned three translators, so as to discover the translation problems available in earlier Chinese-Korean translations of Lu Xuns novels, and to look into the bigger picture of Chinese-Korean literature translation.
After that, the paper further explored how translation concepts accepted by the above-mentioned three translators influenced their translation work of Chinese literature, which were Liang Qichaos enlightenment consciousness and Yan Fus translation criteria faithfulness, expressiveness and elegance, loyalty to the original text and foreignization, as well as the preference for domestication respectively. Based on empirical resources, the paper probed into the incorrectness in previous studies to provide important references for future studies.
Besides, the author conducted specific case studies on the three translation versions. While ensuring translatability and diversity, the author first identified obvious mistranslations through the case studies of the three versions, then classified these mistakes to summarize problems existing in earlier Korean translations of modern Chinese literature.
The paper elaborated on how different translation principles can influence the choices in translation. Considering the comments on Kim Kwangjus translation mostly originated from anecdotes and hearsays, 570 translation cases of Kim Kwangju were analyzed to make up for the lack of empirical materials. Besides, three rounds of observation which were respectively centered around each translator were conducted, so as to ensure the objectivity of results.
Yang Baekhwa, who was proficient in classical Chinese, inherited Yan Fus translation criteria faithfulness, expressiveness and elegance in the translation of classical Chinese, and intimidated Hu Shis style when translating vernacular Chinese. Jeong Raedong was fluent in both classical Chinese and vernacular Chinese. As he attached great importance to the faithfulness in Yan Fus translation, he tended to adopt literal translation. As for Kim Kwangju, 16 years living in China cultivated his expertise in vernacular Chinese and boosted his preference for domestication. Ultimately, the differences in the choices of translation subject and translation features among the three translators resulted from the contemporary background and their translation viewpoints. In this sense, in terms of enlightenment, Yang Baekhwa was the best in restoring Lu Xuns ideas. When it came to loyalty, Jeong Raedong excelled, and Kim Kwangju was the most expressive one in creating the atmosphere of desperation.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3530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165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