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직업의 자동화 대체 위협속에서, 직업내 스킬 발전의 경로의존성 : Occupation's skill path dependency under the Occupation's computerization pressure : The case of Korea
한국의 사례연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인백

Advisor
이정동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자동화(Automation)컴퓨터화 (Computerization)스킬 획득(Skill Development)경로 의존성(Path Dependency)비교우위(Revealed Comparative Advantage)근접성(Proximity)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공과대학 협동과정 기술정책전공, 2022.2. 이정동.
Abstract
Concerns about mass unemployment by artificial intelligence are largely discussed from two perspectives. The view is that not only low-skilled workers but also high-skilled professionals will have a high risk of replacement, and that there will be no mass unemployment as job changes in the current job will occur in the direction of supplementing technology. However, the latter argument requires the premise that workers can acquire a new skill set to digest job changes caused by technology within the current system. Therefore, in order to confirm the impact of computerization and automation on the job market, this study began with a sense of problem that analysis and discussion are necessary under the theme of acquiring in job skills, not occupation and job level analysis conducted so far.
A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Principle of Relatedness through the intuition that human competency development is based on related competencies and requires time for proficiency. The concept of comparative advantage and proximity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importance of each skill in Korea from 2008 to 2017.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process of developing competencies in jobs along with the application of new technologies by period through visualization using network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new skills acquired in jobs were related to skills that were already held in the past. That i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has a path dependency of skill acquisition.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rough regression analysis that the possibility of automation substitution for jobs strengthens the path dependency of newly acquired skills within the job.
Subsequently, the results of further analysis by classifying jobs according to 'Socio-cognitive skill dependency' raise concerns that the polarization of the job market may gradually intensify. Workers with competencies that are already in contact with new technological advances can develop new skills or find new jobs based on existing competencies in a situation of alternative threats by automation, while those who do not acquire the competencies required by the job market.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which summarizes the above results, suggest that in order to solve the social and economic problems arising from employment, an institutional and social solution that leads workers to break away from path-dependency of competency development is necessary. In addi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Korean military to which the researcher belong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ompetency-oriented manpower management is necessary to minimize combat power loss in the process of "improving to a qualitative and technology-intensive military structure."
인공지능에 의한 대량실업의 우려는 크게 두가지 관점에서 논의된다. 저숙련 노동자 뿐만 아니라 고숙련 전문직 또한 대체될 위협이 높다고 판단하는 주장과 새로운 기술에 의해 새로운 직업이 생겨날 것이고 현 직업의 직무 변화가 기술을 보완하는 방향으로 일어나면서 대량실업이 없을 것 이라는 관점이다. 하지만 후자의 주장을 위해서는 현재의 시스템 안에서 기술에 의한 직무 변화를 소화하기 위한 새로운 스킬 셋(Skill Set)을 노동자가 획득할 수 있다는 전제가 필요하다. 따라서 컴퓨터화, 자동화가 고용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지금까지 선행연구에서 수행해 온 직업, 직무 수준의 분석이 아닌 직업내 스킬 획득을 주제로 분석과 논의가 필요하다는 문제 의식에서 본 연구가 시작되었다.
인간의 역량 발전은 연관된 역량을 기반으로 하며, 숙련을 위한 시간을 필요로 한다는 직관을 통해, 연관성의 원리(Principle of Relatedness)를 기반으로 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2008 ~ 2017년 한국내 직업에서 각 스킬의 중요도를 기준으로 비교우위와 근접성의 개념을 활용하여 시기별 한국의 스킬 공간(Skill Space)을 구축하였다. 시기별로 새로운 기술 적용과 함께 직업내에서의 역량 발전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네트워크를 사용한 시각화 및 회귀분석으로 확인한 결과 직업 내에서 획득하는 새로운 스킬은 과거에 이미 보유하고 있는 스킬과 연관성이 높은 스킬일 가능성이 높았다. 즉, 스킬 획득의 경로 의존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직업의 자동화 대체 가능성은 직업 내에서 새롭게 획득하는 스킬의 경로의존성을 강화한다 사실을 회귀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이어서 사회인지적 스킬 의존도에 따라 직업을 구분하여 추가 분석한 결과는 고용시장의 양극화가 점차 심화될 수 있다는 우려를 하게 한다. 이미 새로운 기술 발전과 닿아있는 역량을 지닌 노동자는 자동화에 의한 대체위협상황에서 기존 역량을 기반으로 새로운 스킬을 발전시키거나 새로운 일자리를 찾아갈 수 있는 반면, 그렇지 못한 노동자는 고용시장에서 요구하는 역량을 획득하지 못하여 단순 서비스 직종에 종사하거나 일자리를 잃을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위 결과를 종합한 본 연구의 함의는 고용과 관련하여 생겨나는 사회적, 경제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노동자가 역량 발전의 경로의존성(Path-Dependency)에서 벗어나 새로운 경로를 개척(Path-Breaking) 할 수 있도록 이끄는 제도적, 사회적 해법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연구자가 속한 대한민국 군(軍)의 관점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질적ᆞ기술집약형 군사력 구조로 개선 과정에서 전투력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역량 중심의 인력 운영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3546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941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