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청년 창업을 위한 산업 특화형 공유 오피스의 입지 및 공간구성특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Location and Spatial Composition of Industry-specific Co-working space for start-ups of youth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현준

Advisor
권영상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청년공유 오피스특화형 코워킹 스페이스공간 구성 분석입지 특성 분석심층 인터뷰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공과대학 협동과정 도시설계학전공, 2022.2. 권영상.
Abstract
The global interest in the sharing economy, the economic situation in which young people start-ups, single-person companies are increasing, digital transformation, and the COVID-19 pandemic are combined. The rapidly changing situations as described above served as an opportunity to rapidly change the existing standardized working types and methods, and as the demand for flexible work spaces increased, it served as a factor to rapidly spread the co-working space.

In Korea, with the launch of WeWork and Fast Five, the rapid growth of shared offices began in 2015 due to the formation and establishment of communities and the creation of demand through networking. Recently, as various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and existing large companies in Korea participate and the market size grows, various forms depending on the locality, purpose of operation, and operating entity of the co-working space. Differentiation strategies through programs, space characteristics, and supply methods are concentrated on the demand of new shared offices in line with the trend of changes in space demand among young people.

Therefore, in this study, the types of co-working spaces that are supplied differently from general co-working spaces through consideration of previous studies and domestic and international surveys were classified into industry-specific, commercial-specific target customer-specific, and service-specific types. The industry-specific type is a co-working space that provides specialized work spaces and networks for specific occupational groups specialized in each industry, such as fashion, production, food, finance, architecture, and design. The commercial specialized type is a co-working space with a differentiated strategy that combines with retail to strengthen access to sales or commercial districts in nearby markets. The target customer-specific type is a co-working space specialized for specific target customers such as women-only, child-friendly, etc. The service-specific type is a co-working space that differentiates itself from services provided by events focused on networking, high-end space provision services, and custom office servi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uild data at the urban and architectural space levels by analyzing the location characteristics of specialized "industry-specific" co-working spaces for young people's start-ups.

Therefore, this study selected places that reflect the recent trends of co-working spaces and have an influence, where data can be collected, located in Seoul, a spatial range, and where young people can observe new business types based on trend reports of professional research companies.It was selected as a place where you can observe the type of business that can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new location factors that show departure near urban areas.


Based on the above selection process, five Musinsa studios, WeCook, Cow & Dog, Studio Black, and Pep Lab were selected as analysis targets, and spatial analysis and loc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Chapter 2 Theoretical Review examined the spatial composition, spatial characteristics, and location characteristics of co-working spaces through prior research and literature review, and Chapter 3 analyzed five industry-specific co-working spaces through an analysis framework. Spatial composition and spatial characteristics were derived through physical analysis, but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as qualitative studies to further derive new location characteristics that could not be covered in existing theories along with physical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internal space composition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industry-specific co-working space for young people's start-ups are
First, the ratio of the composition of the program arrangement in the planar configuration was shown in the order of work space = community space > service space as work space, service space, and community space.
Second, "multipurposivity" is high, and it is interpreted as a co-working space as a fusion characteristic that combines work, learning, and rest.
Third, it is interpreted as a co-working space as a place of creative innovation with high "accessibility", deep network relationships, and continuous circulation of information and space.

Next, the location characteristics of the industry-specific co-working space for young people's start-ups are
First, the location decision factors were derived from the accumulation of the same industry, convenience of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of nearby markets, infrastructure of nearby cultural facilities, regional specificity, and specialization of residential buildings.
Second, as a paradigm shift in new location determinants, it was possible to derive that the importance of location in work-dense areas is decreasing, and that surrounding cultural facilities, public facilities, and open spaces are acting as location determinants.

This study presents the classification criteria of new co-working spaces as differentiation criteria in various forms as urban workspace and network centrality in the supersaturated co-working space market, and is meaningful as a study of convergence characteristics for industrial space analysis and urban location analysis.
전 세계적으로 공유 경제 대한 관심과 젊은 층의 창업, 1인 기업이 늘어나는 경제적 상황과, 디지털 변혁, 코로나 전염병 대유행 등의 사회적 상황이 맞물리게 되었다. 위와 같은 급변하는 상황들은 기존의 정형화된 근로형태와 방식을 급속하게 전환시키는 계기가 되었으며, 유동적인 업무 공간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며 코워킹 스페이스를 빠르게 확산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국내에서도, 위워크와 패스트 파이브의 출범과 함께 커뮤니티 형성 및 구축과 네트워킹을 통한 수요 창출로 인해 2015년부터 공유 오피스의 급격한 성장이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최근에는 국내 다양한 중소기업과 기존 대기업들이 참여하며 시장 규모가 커지면서 코워킹 스페이스의 지역성, 운영목적, 운영주체 등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 프로그램, 공간의 특성 그리고 공급방식으로 차별화 전략이 젊은 층의 공간 수요 변화의 흐름과 맞아 새로운 공유 오피스의 수요로 집중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선행 연구의 고찰과 국내외 현황 조사를 통해 일반 코워킹 스페이스와는 차별화하여 공급되고 있는, 해당 공간과 커뮤니티의 명확한 목적성을 도모한 코워킹 스페이스를 산업 특화형, 상업 특화형 대상 고객 특화형, 서비스 특화형으로 유형을 구분하였다. 산업 특화형은 패션, 제작, 식품, 금융, 건축, 디자인 등 산업 분야별로 특화된 특정 직업 군을 대상으로 전문화된 작업 공간, 네트워크 등을 제공하는 코워킹 스페이스다. 상업 특화형은 리테일과 접목하여, 판매 혹은 인근 시장의 상권등의 접근성을 강화하는 차별화 전략의 코워킹 스페이스다. 대상 고객 특화형은 여성 전용, 아동 친화형, 등의 특정 대상 고객을 대상으로 전문화한 코워킹 스페이스다. 서비스 특화형은 네트워킹에 집중된 이벤트 서비스, 하이엔드 공간 제공 서비스, 커스텀 오피스 서비스 등의 제공하는 서비스에 차별화한 코워킹 스페이스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앞서 서술한 차별화 유형의 코워킹 스페이스 가운데 젊은 층의 창업을 위한 산업 분야별로 특화된 특정 직업 군을 대상으로 전문화된 산업 특화형 코워킹 스페이스의 입지 특성 현황 분석과 더불어 내부 공간 구성과 공간 특성 분석을 동시 진행하여, 도시적 입지 차원과 건축적 공간 차원의 자료를 구축하기 위함이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 코워킹 스페이스의 트렌드를 반영하고 영향력이 있는 곳으로 현 시점 까지 유지되어, 자료 수집 가능한 곳으로, 공간적 범위인 서울시 안에 위치하고 있으며, 각 산업별 업종에서 화두가 된 코워킹 스페이스 수요가 높은 곳으로, 젊은 층의 창업을 위한 곳으로서, 새로운 비즈니스 형태를 관찰 할 수 있는 곳을 통계청 자료와 전문 리서칭 기업의 트렌드 리포트들을 기준으로 선정하였으며, 해당 선행 연구 자료에서 다수 노출된 빈도가 높은 사례들을 수치화 하여 대상을 산업 특화형 연구 대상으로서의 적합성을 재평가하며, 새로운 입지 요인 결정 요인 도출을 위해, 기존의 전통적 오피스 입지 이론에 입각하여 공급된 3도심 밀집 지역 인근 이탈 현상이 보이는 새로운 입지 요인 특성이 드러날 수 있는 비즈니스 형태를 관찰할 수 있는 곳으로 선정하였다.


위와 같은 선정 과정을 토대로, 무신사 스튜디오, 위쿡, 카우 앤 독, 스튜디오 블랙, 펩랩 5곳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여, 공간적 분석과, 입지적 분석을 진행하였다.

제 2장 이론적 고찰에서 선행연구와 문헌 고찰을 통해 코워킹 스페이스의 공간 구성과 공간 특성 그리고 입지 특성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제 3장 산업 특화형 코워킹 스페이스 분석에서 분석의 틀을 통해 산업 특화형 코워킹 스페이스 5곳을 분석하였다. 공간 구성과 공간 특성은 물리적 분석을 통해 도출하였으나, 입지 특성 은 물리적 분석과 함께 기존 이론에서 다루지 못한 새로운 입지 특성에 대한 도출을 추가적으로 진행위해, 질적 연구로써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젊은 층의 창업을 위한 산업 특화형 코워킹 스페이스의 내부 공간 구성과 공간 특성은
첫째, 업무공간, 서비스공간, 커뮤니티 공간으로업무 공간 = 커뮤니티 공간 > 서비스 공간 순으로 평면 구성에서 프로그램 배치의 구성의 비율을 보였다.
둘째, 다목적성이 높으며,일과 학습 그리고 휴식이 어우러지는 융합적 특성으로서의 코워킹 스페이스로 해석된다.
셋째, 접근성이 높으며, 네트워크 관계가 깊게 유지되며, 정보의 순환과 공간의 순환이 지속되는 창조 혁신의 장으로서의 코워킹 스페이스로 해석된다.

다음으로, 젊은 층의 창업을 위한 산업 특화형 코워킹 스페이스의 입지 특성은
첫째, 입지 결정 요인은 동종 업종 집적 여부 , 교통편리성, 인근 시장 인프라 , 인근 문화시설 인프라, 지역 특수성, 입주 건물의 특화성 으로 도출되었으며,
둘째, 새로운 입지 결정 요인 패러다임 변화로는, 업무 밀집 지역의 입지 여부의 중요도가 감소하고 있다는 것과, 최근 주변 문화시설, 공공시설, 오픈 스페이스가 입지 결정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도출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과포화 된 코워킹 스페이스 시장에서 도시의 업무공간이자 네트워크 구심점으로서 여러 형태로 프로그램과 공간의 특성이 차별화 되고 있는 현황에서, 차별화 기준으로 새로운 코워킹 스페이스의 분류 기준을 제시하며, 그 중 창업을 위한 산업 특화형 코워킹 스페이스의 건축적 공간 분석과 도시적 입지 분석을 동시에 분석한 융합적 특성의 연구로써 의의가 있으며, 추후 특화형 코워킹 스페이스 설계를 위한 기초자료와 코워킹 스페이스 시장에서 산업 특화형 코워킹 스페이스를 공급하는 입지 특성의 기초자료로서도 활용될 수 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3557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004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