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초등음악수업에서 학생이 지각한 교사지지, 자기효능감, 음악학습동기의 관계 :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Support Perceived by Students, Self-efficacy and Motivation for Music Learning in the Elementary Music Classroom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송이

Advisor
이민정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음악학습동기교사지지자기효능감초등학생 음악수업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2022.2. 이민정.
Abstract
Looking at the factors that affect students' motivation to learn music, the environmental factor is 'teacher support' and the personal factor is 'self-efficacy'. At this time, it is necessary not only to understand the individual relationship between each factor, but also to check what role self-efficacy plays between the two factors of teacher support and music learning motivation. In addition, even if support was actually provided by the teacher, it is important to evaluate the support perceived by the student rather than the support actually given to the student, because true support cannot be obtained if the student does not perceive it as suppor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support perceived by students, self-efficacy, and motivation for music learning in the elementary music classroom,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For this purpose, 301 elementary students in grades 4-6 from Seoul and Inchon were surveyed using three types of test tools: 'teacher support perceived by students', 'self-efficacy', and 'motivation for music learn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nd Bootstrapping was perform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support and motivation for music learning.
The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and presented as follows:
First, teacher support perceived by students directly and positively affects students' motivation for music learning, and also has a positive effect on motivation for music learning through self-efficacy as a medium. In other words, students who perceive the teacher's support positively have a high level of motivation for music learning, and in this process, the more positive the individual has in his/her own musical ability, the higher the motivation for music learning.
Second, teacher support perceived by students directly and positively affects students' musical self-efficacy. In other words, students who perceive the teacher's support positively also have positive beliefs about their own musical ability.
Third, students' musical self-efficacy directly and positively affects their motivation for music learning. In other words, the more positive the student's belief in his or her own musical ability, the higher the motivation to learn music.
Fourth,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in some subdomains according to gender and age. Teacher support, self-efficacy, and music learning motivation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and teacher support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age. However, self-efficacy and music learning motivation according to grade were higher in fourth graders than in sixth graders.
In this study, after dividing the factors affecting students' motivation for music learning in elementary school music classes into environmental factors and indivisual factors; motivation for music learning was examined based on the teacher's support perceived by the students in particular, and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eacher support and musical self-efficacy perceived by students are important to improve students' motivation for music learning. Therefore, a close and clos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s necessary so that students can experience the teacher's positive and supportive relationship. It can be said that musical experience and opportunities are necessary.
학생들의 음악학습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면 환경적 요인으로 교사지지, 개인적 요인으로 자기효능감을 들 수 있다. 이때 각 요인들 사이의 개별적인 관계를 파악하는 것 뿐만 아니라 자기효능감이 교사지지와 음악학습동기의 두 요인 사이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도 확인할 필요가 있다. 또한 실제로 교사지지가 제공되었다 하더라도 학생이 이를 지지로 지각하지 않는다면 진정한 지지가 될 수 없기 때문에 학생에게 실제로 주어진 지지보다 학생이 지각한 지지를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등음악수업에서 학생이 지각한 교사지지와 자기효능감, 음악학습동기의 관계를 살펴보고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여부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서울과 인천에 재학 중인 초등학교 4~6학년 학생 301명의 연구참여자를 대상으로 학생이 지각한 교사지지, 자기효능감, 음악학습동기를 검사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 분석(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을 실시하여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였고, 교사지지와 음악학습동기 간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부트스트랩 검증(Bootstrapping)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이 지각하는 교사지지는 학생의 음악학습동기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하여서도 음악학습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즉 교사의 지지를 긍정적으로 지각하는 학생은 음악학습동기 수준이 높고, 이러한 과정에서 개인이 스스로의 음악적 능력에 대한 믿음을 긍정적으로 가질수록 학생의 음악학습동기가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둘째, 학생이 지각하는 교사지지는 학생의 음악적 자기효능감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즉 교사의 지지를 긍정적으로 지각하는 학생은 스스로의 음악적 능력에 대한 믿음 역시 긍정적으로 가진다.
셋째, 학생의 음악적 자기효능감은 음악학습동기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즉 학생이 스스로의 음악적 능력에 대한 믿음을 긍정적으로 가질수록 음악학습동기 역시 높다.
넷째, 교사지지, 자기효능감, 음악학습동기는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학년에 따라서는 교사지지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학년에 따른 자기효능감 및 음악학습동기는 6학년보다 4학년 학생들에게서 보다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초등음악수업 내에서의 음악학습동기에 주목하여, 환경적 요인인 교사지지와 개인적 요인인 자기효능감이 음악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의 관계를 분석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또한 음악학습동기를 특히 학생이 지각한 교사지지에 근거하여 살펴보았고 두 요인 사이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학생의 음악학습동기 향상을 위해, 학생이 지각하는 교사지지 및 음악적 자기효능감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학생들이 교사의 긍정적이고 지지적인 관계를 경험할 수 있도록 교사-학생 간의 긴밀하고 밀접한 상호관계가 필요하며, 학생이 음악활동 수행에 대한 자신의 능력과 가능성을 믿고 신뢰하며 그것을 스스로 확인해 나갈 수 있는 다양한 음악적 경험과 기회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3566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948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