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학습관여와 온라인 자기조절학습 간의 관계 : A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Students' Perceived Parental Academic Involvement and Online Self-Regulated Learning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신종호-
dc.contributor.author조수민-
dc.date.accessioned2022-06-22T15:35:23Z-
dc.date.available2022-06-22T15:35:23Z-
dc.date.issued2022-
dc.identifier.other000000171600-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83571-
dc.identifier.uri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1600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교육학과, 2022.2. 신종호.-
dc.description.abstract온라인 교육이 확장되어 나가던 상황에서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수업방식이 급속히 도입되면서 온라인 자기조절학습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학습에 영향을 가장 많이 미치는 요인 중 하나인 부모의 학습관여와 온라인 자기조절학습 간의 관계에 대해 살펴본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부모의 학습관여인 학습정보제공 및 조언, 학습방식 존중, 학습성과 압력과 온라인 자기조절학습 간의 구조적 관계를 탐색하고, 이러한 관계 구조가 성별에 따라 어떤 차이를 나타내는지 다집단 분석을 통하여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 초등학생 5, 6학년 356명(남 186명, 여 170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부모의 학습관여와 온라인 자기조절학습 검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학습관여는 온라인 자기조절학습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긍정적 학습관여인 학습정보제공 및 조언과 학습방식 존중은 온라인 자기조절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의 부정적 학습관여인 학습성과 압력은 온라인 자기조절학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모의 학습관여에 대한 인식에 대한 성별 차이와 온라인 자기조절학습에 관한 성별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부모의 학습방식 존중을 높게 지각할 뿐만 아니라, 높은 온라인 자기조절학습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부모의 학습관여(학습정보제공 및 조언, 학습방식 존중, 학습성과 압력)가 온라인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은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초등학생 온라인 자기조절학습에 있어서 부모의 학습관여가 중요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부모는 자녀에게 학업에 대한 압력과 부정적인 강요를 하기보다는 자율성을 지지해주고 학습과 관련한 정보를 제공해주는 것이 온라인 자기조절학습의 효과를 제고할 수 있을 것이다.
-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ims to examine a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students' perceived parental academic involvement and online self-regulated learning because the importance of online self-regulated learning is emphasized because of COVID-19 and the expansion of online education. Therefore, parental academic involvement, one of the factors that most influences elementary school students' learning, needs to be examined along with online self-regulated lear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cademic involvement(1. providing learning information and advice, 2. respecting learning styles, 3. pressuring learning outcomes) and online self-regulated learning, and to confirm the relationship through multi-group analysis. Data were collected by conducting self-reporting parental involvement and online self-regulated learning tests on 356 elementary school students (186 males and 170 female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arental academic involvemen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online self-regulated learning. Second, the positive parental academic involvement, providing learning information and advice and respecting learning styles, had a positive effect on online self-regulated learning. Third, pressuring learning outcomes, which is a negative parental academic involvement, negatively affects online self-regulated learning. Fourth, there was a gender difference on parental academic involvement and online self-regulated learning. It was found that female students perceived higher positive parental academic involvement, especially respecting learning styles, than male students and showed higher online self-regulated learning.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gender difference in the effect of parental academic involvement on online self-regulated learning.
This study examines the influence of parental academic involvement variables on online self-regulated learning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suggesting the importance of positive parental academic involvement in online learning. In conclusion, online self-regulated learning could be increased if parents support students autonomy and provide learning-related information and advice rather than pressure and negative coercion on their children.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2. 연구 문제 및 모형
3. 주요 용어 정의
Ⅱ. 이론적 배경
1. 부모의 학습관여
가. 부모의 학습관여 개념
나. 부모의 학습관여 구성요인
2. 온라인 자기조절학습
가. 자기조절학습
나. 온라인 자기조절학습
3. 부모의 학습관여와 자기조절학습 간의 관계
가. 선행문헌 검토
나. 성별 차이
다. 다른 변인과의 관계
Ⅲ. 연구방법
1. 연구 대상자
2. 측정 도구
가. 부모의 학습관여
나. 온라인 자기조절학습
3. 연구 절차
4. 분석 방법
Ⅳ. 연구 결과
1. 기술통계
가. 주요변인의 기술통계치
나. 주요변인 간의 상관관계
2.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가. 측정모형 분석
나. 구조모형 분석
3. 남녀 집단 간 비교분석
가. 남녀 집단 간 다집단 분석
나. 남녀 집단 간 잠재변인 평균차이 검증
다. 남녀 집단 간 경로계수 차이 검증
Ⅴ. 논의 및 결론
1. 연구의 주요 결과 및 의의
2.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 제언
참고문헌
부록
Abstract
-
dc.format.extent114-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초등학생-
dc.subject부모의 학습관여-
dc.subject부모의 긍정적 학습관여-
dc.subject부모의 부정적 학습관여-
dc.subject온라인 자기조절학습-
dc.subject.ddc370-
dc.title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학습관여와 온라인 자기조절학습 간의 관계-
dc.title.alternativeA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Students' Perceived Parental Academic Involvement and Online Self-Regulated Learning-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Soo Min Jo-
dc.contributor.department사범대학 교육학과-
dc.description.degree석사-
dc.date.awarded2022-02-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71600-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7▲000000000054▲000000171600▲-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