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코로나19 상황에서 중학생의 스트레스와 보호요인이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stress and protective factors on psychological adjustment in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context of COVID-19.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송지언

Advisor
박혜준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코로나19중학생의 스트레스심리적 적응과제관리역량부모와의 대화시간SNS를 통한 또래연결감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생활과학대학 아동가족학과, 2022.2. 박혜준.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stress and protective factors on psychological adjustment in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context of COVID-19. Psychological adjustment was divided into negative aspects, including anxiety and withdrawn behavior, and positive aspect, life satisfaction. For protective factors, task management competency, conversation hours with parents, and peer connection through SNS were set. Specifically, This study aimed (1)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tress and protective factors on psychological adjustment. It also examined (2) the moderating effect of protective factors between stress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In order to verify this research questions, 122 students in the 3rd grade middle school(born in 2006) living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ere sampled. Questionnaires were used through the online survey link to measure stress, anxiety, withdrawn behavior, life satisfaction, task management competency, conversation hours with parents, and peer connection through SN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28.0. Statistical methods used for data analysis were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t-test, Anova, Scheffé,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tress and task management competency, a personal protective factor,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anxiety of adolescents.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stress, the higher the anxiety, and the higher the task management competency, the higher the anxiety. This result was contrary to the initial hypothesis. In this study, rather, students with higher level of task management competency who were good at managing time and goals had a higher level of anxiety. The moderating effect on anxiety between stress and protective factors was not shown.
Second, stress had a positive effect on adolescents withdrawn behavior, and peer connection through SNS, a peer-environmental protective factor, had a negative effect on withdrawn behavior.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stress, the higher the withdrawn behavior, and the higher the peer connection through SNS, the lower the withdrawn behavior. The moderating effect on withdrawn behavior between stress and protective factors was not shown.
Third, stress had a nega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and the main effect of the protective factors did not appear. However, the interaction term between stress and conversation hours with parents, which is a home environment protective factor, was significant. In other words, conversation hours with parents regulated the negative effect of stress on life satisfaction. Specifically, the group with a lot of conversation with parents showed a small amount of decrease in life satisfaction as the stress increased, whereas the group with a small conversation with parents showed a bigger amount of decrease in life satisfaction as the stress increased.
Through the study results above, it was found that in the context of COVID-19, the stress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had a great effect on psychological adjustment - anxiety, withdrawn behavior, and life satisfaction. Furthermore, by focusing the role of personal and environmental protective factors, the necessary measures for youth were examined and suggested.
이 연구는 코로나19 상황에서 중학생의 심리적 적응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스트레스 및 보호요인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심리적 적응은 부정적 측면인 불안 및 위축, 긍정적 측면인 삶의 만족도로 나누어 살펴보았으며, 보호요인으로는 과제관리역량, 부모(보호자)와의 대화시간, SNS를 통한 또래와의 연결감을 설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코로나19 상황에서 중학생의 스트레스와 보호요인이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으며, 스트레스와 심리적 적응의 관계에서 보호요인의 조절효과가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코로나19 상황에서 중학생의 스트레스와 보호요인(과제관리역량/부모와의 대화시간/SNS를 통한 또래연결감)은 심리적 적응(불안/위축/삶의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2] 중학생의 스트레스와 심리적 적응의 관계에서 보호요인은 조절효과를 가지는가?

이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서울 및 경기 지역에 거주중인 중학교 3학년(2006년생) 청소년 122명을 표집하였다. 온라인설문링크를 통해 중학생들이 지각하는 스트레스, 불안, 위축, 삶의 만족도, 과제관리역량, 부모(보호자)와의 대화시간, SNS를 통한 또래연결감 정도를 측정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8.0을 통해 분석하였다. 기술통계분석,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t검정, 분산분석(Anova), 사후분석 Scheffé,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스트레스와 보호요인이 심리적 적응의 부정적 측면 중 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스트레스와 개인적 보호요인인 과제관리역량이 중학생의 불안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스트레스가 클수록 불안 수준이 높고, 과제관리역량이 클수록 불안 수준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설정한 가설과 반대되는 결과였는데, 이 연구에서는 오히려 스스로의 삶을 통제하고 시간과 목표를 잘 관리하는 과제관리역량이 큰 학생일수록 불안 수준이 높았다. 불안에 대한 스트레스와 보호요인 간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중학생의 스트레스와 보호요인이 심리적 적응의 부정적 측면 중 위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스트레스가 중학생의 위축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또래환경적 보호요인인 SNS를 통한 또래연결감이 중학생의 위축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스트레스가 클수록 위축 수준이 높고, SNS를 통한 또래연결감이 강할수록 위축 수준이 낮은 것을 의미한다. 위축에 대한 스트레스와 보호요인 간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중학생의 스트레스와 보호요인이 심리적 적응의 긍정적 측면인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스트레스가 삶의 만족도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호요인의 주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가정환경적 보호요인인 부모와의 대화시간의 상호작용항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스트레스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부적 영향을 부모와의 대화시간이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부모와의 대화시간이 많은 집단은 스트레스가 커질수록 삶의 만족도가 낮아지는 정도가 작았으나, 부모와의 대화시간이 적은 집단은 스트레스가 커질수록 삶의 만족도가 낮아지는 정도가 더욱 컸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코로나19 상황에서 중학생의 스트레스는 심리적 적응의 하위요인인 불안, 위축, 삶의 만족도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동시에 개인적·환경적 보호요인의 역할을 강조함으로써 현 상황에서 중학교 청소년에게 필요한 방안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으며 이에 대해 제언하였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3588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104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