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탈코르셋 운동 참여자의 경험과 '페미니즘' 이해 : Tal-corset movement participants experiences and their understanding of feminism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혜정

Advisor
배은경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탈코르셋페미니즘메갈리아여성혐오여초미용준거 집단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회과학대학 협동과정 여성학전공, 2022.2. 배은경.
Abstract
2018년부터 소셜 미디어와 언론을 통해 널리 알려지기 시작한 탈코르셋 운동은 한국의 젊은 여성들이 화장과 긴 머리, 하이힐, 치마 등의 미용 관습을 거부하는 운동이다. 탈코르셋 운동은 여성들이 전례 없는 규모로 미용 실천을 거부한다는 사실과 소셜 미디어에 본인의 숏컷 머리와 화장 안 한 얼굴 사진, 화장품을 부순 사진 등을 올리는 탈코르셋 인증 문화의 특유성으로 인해 사회적 주목을 받았다. 탈코르셋 운동이 확산됨에 따라 소셜 미디어 현상을 넘어 탈코르셋 스타일의 의류 브랜드 등장, 20대 여성들의 미용 관련 지출 감소 등의 사회적 변화도 나타났다.
이 논문은 현 시기 한국의 젊은 여성들에게 자신의 외모를 바꾸는 것이 어떻게 페미니즘 운동으로 여겨지게 되었는지를 질문하며 이들이 삶 속에서 어떤 방식으로 미용을 경험하였고 페미니스트 정체화 과정에서 자신의 미용 경험에 대한 인식 변화가 어떻게 탈코르셋 운동 참여로 이어졌는지를 탐구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심층 면담과 현상학적 분석을 주요 연구 방법으로 채택하여 탈코르셋 운동 참여자 12명에 대해 면담을 시행하였다. 탈코르셋 운동의 배경이 된 온라인 페미니즘 운동에 대해서는 문헌 연구를 병행하였다.
탈코르셋 운동의 배경에는 2015년에 등장하여 대중화된 온라인 페미니즘 운동이 있었다. 2000년대 초반부터 형성된 온라인 여초 커뮤니티들은 미용을 주요 주제로 하였지만 여성 비하와 성희롱이 만연한 온라인에서 여성들만의 공간으로서 여성들이 서로 지지하고 유대감을 나누는 공간이 되었다. 2008년 광우병 사태를 계기로 정치적 활동에 참여하기 시작한 여초 커뮤니티들은 나꼼수 등 유명인과 연예인들의 성차별적 발화에 대해 토론하고 목소리를 내며 페미니스트 의식화 과정을 거쳤다. 여초 커뮤니티에서 형성된 유머와 놀이 문화를 통해 남성들의 모순적 행동을 비꼬고 희화화해 본 경험은 2015년에 등장한 메갈리아의 패러디 전략으로 연결되었다. 본격적인 페미니스트 사이트인 메갈리아에서 여성에 대한 외모 규범과 미용 실천을 어떻게 볼 것인지는 초기부터 중요한 주제였다. 여성들은 여자는 어떠해야 한다는 가부장제적 규범을 가리키는 말로 코르셋이라는 용어를 채택하여 사용하였으며 미용 실천에 대한 토론이 비중 있게 지속됨에 따라 외모 규범에 따른 미용 실천을 비판적으로 지칭하는 의미에 초점을 맞추어 코르셋을 사용하게 되었다.
여성 억압적 규범 중 미용에 대한 토론에 여성들의 관심이 집중된 것은 현재의 10대, 20대 여성들의 경험이 가진 모순에서 비롯된다. 이들은 교육과 고용 상의 성차별이 개선되었다고 여겨지는 시대에 청소년기를 보내며 여성이 노력만 하면 남자처럼 성취할 수 있다는 사회적 메시지를 받았다. 여성들은 공적 영역에서 이전에 비해 확대된 기회를 누리게 되었지만 미용에 대한 사회적 기대 수준과 압박은 오히려 더욱 높아졌다. 청소년기부터 여성들에게 외모를 꾸미는 것은 당연히 해야 할 일이며 자기 관리 및 계발의 방법으로 여겨졌다. 친구들과의 또래 문화 속에서 자연스럽게 미용 정보를 습득하게 된 여성들은 또래 집단에서 소외되지 않기 위해 미용을 실천하게 되는 경우가 많았다. 여자 친구들끼리 미용 정보를 주고받거나 서로의 미용 실천을 칭찬해주는 문화는 미용 실천을 즐거운 것으로 경험하게 해주고 미용 기술이 늘어감에 따라 여성들은 숙련감을 느끼기도 했다.
여성들은 여성 혐오를 키워드로 사회 현상과 자신의 경험을 재해석하게 된 2015년 이후 미용 관행을 성차별의 관점에서 보게 되었다. 온라인 성폭력 및 여성에 대한 성적 대상화를 비판하는 담론이 증가하면서 미용 관행도 남녀의 사회적 권력 차이에 대한 인식을 기반으로 바라보는 관점이 여성들 사이에서 호응을 얻었다. 특히 사진을 합성하여 남성에게 인위적으로 화장과 여성복을 입혀 봄으로써 남자에게 입히면 부자연스럽고 우스꽝스러워 보이는 미용이 여성의 2등 시민으로서의 지위를 드러내는 표식이라고 이해하게 되었다. 미용 관행은 여성을 남성과 달라 보이게 하고 여성에 대한 성적 대상화를 더 용이하게 해주면서 여성으로 하여금 불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쓰게 만드는 것이라는 담론이 메갈리아와 워마드 사이트를 중심으로 형성되었으며 여초 커뮤니티로 퍼져 나갔다. 더불어 여성들의 미용 실천이 주변의 다른 여성들과 어린 세대 여성들의 미용 실천에 영향을 미친다는 인식이 형성됨에 따라 여성들이 여성 인권 향상을 위해 미용 실천을 거부해야 한다는 당위성이 강화되었다.
탈코르셋 실천을 독려하기 위해 워마드나 일부 여초 커뮤니티에서는 여성들이 자신의 미용 실천을 드러내는 게시물을 올리는 것을 금지하고 탈코르셋 실천을 보여주는 게시물을 올리는 것을 권장하는 정책이 시행되었다. 2017년부터 시작된 탈코르셋 시도와 실험은 2018년에 열린 대규모의 여성 시위 불편한 용기를 만나 대중화될 수 있는 기회를 얻었다. 불법촬영에 대한 편파수사를 규탄하는 이 시위에서 삭발 퍼포먼스는 미용 거부 운동과 여성에 대한 성적 대상화 반대 운동 담론을 결합시켜 주었다. 온라인 페미니스트들이 거의 한 번쯤 참여해 본 이 시위에서 실제로 탈코르셋을 실천하는 여성을 눈으로 직접 본 경험은 여성들에게 나도 할 수 있겠다는 자신감을 불어 넣어 주면서 페미니즘 실천의 표상이 된 탈코르셋을 실천하여 탈코 페미의 한 명이 되고 싶게 하였다. 탈코르셋 실천은 그동안 온라인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던 페미니즘 운동을 여성들이 자신의 일상 속에서 실천하며 사회적으로 드러내게 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자신이 여성 인권 향상을 위해 무언가 하고 있다는 효능감을 심어 주었다.
탈코르셋을 실천하는 여성들이 늘어나면서 여성들은 함께 탈코르셋을 실천하며 동질감을 나눌 수 있는 지지 집단을 가지게 되었다. 이러한 지지 집단은 여성들이 미용을 권장하는 사회적 압박에도 불구하고 탈코르셋 실천을 지속할 수 있게 해주었다. 더불어 여성들이 친숙하게 이용하던 여초 커뮤니티 회원들이 탈코르셋에 동조하는 흐름이 형성되고 탈코르셋 온라인 인증과 대규모 여성 시위를 통해 탈코르셋을 실천하는 여성들을 눈으로 확인하면서 여성들은 탈코 페미라는 집단의 실체성을 확인하고 이러한 집단에 소속되고 싶다는 열망을 가지게 되었다. 짧은 머리와 바지 차림에 화장 안 한 얼굴의 소위 탈코 룩은 특정 외모 양식을 넘어서 여성 인권이라는 가치를 추구하는 페미니즘 실천을 표상하게 되었다. 탈코 페미라는 무형의 집단이 탈코르셋을 실천하는 여성들에게 자신의 미용 관련 실천을 결정하는 준거점으로 작용하게 되었고, 여성들의 미용 실천에 대한 준거 집단이 또래 집단에서 탈코 페미로 바뀐 것이다.
그런데 탈코르셋 운동이 여성 주체들의 미용 거부가 가지는 사회적 영향력에 초점을 맞추는 논리를 사용하여 탈코르셋 실천을 독려함에 따라 여전히 미용을 실천하고 있는 여성들에 대한 비판 논리가 형성되기도 했다. 이러한 논리는 여성 억압적 외모 규범이라는 문제의 책임을 여성들에게로 돌리는 모순을 가지고 있으며 탈코 페미라는 준거 집단이 탈코르셋을 실천하는 여성들과 그렇지 않은 여성들을 이분적으로 구분하는 벽과 경계로 작용하게 할 위험이 있다. 여성 주체의 인식과 행동이 변화하면 사회가 변할 수 있다는 사고를 넘어서 여성의 몸과 미용 실천에 작용하는 여러 힘들의 작용을 포착하는 인식틀의 변화가 요구된다.
This study questions how young Korean women have come to understand their rejection of beauty practices as feminist movement as shown in the tal-corset movement and examines the way they experienced beauty practices as well as how their perception on beauty changed over the course of becoming feminists. In-depth interviews with 12 movement participants were conducted for this research.
The findings show that movement participants became feminists under the inspiration of newly emergent online feminist movement that began in 2015. Womens online communities that formed in early 2000s became women-only spaces where women could bond with and support each other. Over time, these online spaces became political and feminist, and triggered the emergence of Megalia, a feminist website, in 2015. In Megalia, women in earnest started analysing beauty practices from feminist perspectives and adopted the term corset to describe patriarchal norms that oppress women. Through discussions, women have come to recognize beauty practices as the marker of womens second-class citizenship and something that facilitates objectification of women and makes women spend unnecessary time and money. As the discussions progressed, women also recognized their own influences on other women – especially young girls – of promoting beauty practices. This awareness reinforced the justification that women should reject beauty practices all together in order to advance womens rights.
Several factors contributed to the spread of the tal-corset movement. First, some feminist websites and womens online communities adopted policies that banned their members from displaying their beauty practices and encouraged them to upload posts that showed their tal-corset actions. Secondly, women-only rallies in 2018 provided women with opportunities to meet tal-corset movement participants face to face. These experiences not only helped women be more brave about their rejection of beauty practices but also contributed to the creation of sense of belonging among women who participated in the movement. As more women joined the cause, movement participants were able to have support groups around them that helped them continue their tal-corset practices in spite of the social pressure that imposed beauty practices. Now tal-corset feminists became a reference group that provided a reference point upon which women decided the practices related to their appearances.
Tal-corset movement has also shown its challenges over the years. Since the movement mobilized the logic that emphasized the social influences that womens rejection of beauty practice have on other women, it also facilitated formation of criticism against women who still perform beauty practices. This reasoning gives rise to the contradiction that shows women blaming other women for womens oppression and causes the reference group tal-corset feminists to become a border between tal-corset participants and non-participants. This limitation is asking for new perspectives that recognize various disciplinary powers on womens bodies and beauty practices.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3597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056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