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패션컬렉션에서 음악의 역할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Role of Music in Fashion Collection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정희경

Advisor
전재훈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패션컬렉션음악패션컬렉션의 구성요소패션컬렉션 영상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생활과학대학 의류학과, 2022.2. 전재훈.
Abstract
Taking an analytical approach to the understanding of music in a fashion collection,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specific roles of music utilized in fashion collections. Particular attention is paid to the interaction between music and fashion collection components via three main research areas. The various types, components, and moods of fashion collection music were first analyzed to determin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collections and collection films. The second area of research concern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nents of fashion collection and the accompanying music. The final research type seeks to identify the specific role of fashion collection music and derive the musical factors involved.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ere utilized. The range of research encompassed 67 fashion collection films by 8 brands and their 216 accompanying songs. Brands were selected based upon their influence and with the stipulation that their collections in the previous five years all involved the participation of a specialized sound director. Collection music was segmented and analyzed by genre, musical components (tempo, rhythm, time, tonality, harmony, pitch, melody, phrase, instrument), and mood. The research focus wa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ction components (clothing, space, presentation, choreography, cinematography & editing) and musical choice in order to determine the nature of their connection across collections.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ashion collection music increasingly demonstrates higher ratios of popular genre music and custom scores, revealing a preference for pieces featuring language (via lyrics or narration). Since 2020 in particular, the use of classical music has declined in contrast with an increase in the use of popular music featuring linguistic expressions. This was due to many fashion houses choosing to respond to COVID-19 by shifting their focus from offline runway presentations to the creation of fashion film collections for online audiences. Popular and descriptive music has increasingly become more commonly utilized in fashion films than in offline runway fashion collection videos. The average BPM (beats per minute) of fashion collection music is between 108~140 as it is optimized to match the rapid speed at which models walk while conveying a cheerful rhythm (51.9%) set to an uptempo beat (4/4 time: 74.1%). Analysis of the musical genres, components and moods preferred by various brands reveals distinct differences in their selections. Given that these unique musical signatures remained across all seasons, their choices are clearly intended to establish a unique musical identity for their respective brands.
Analysis of the relations between music and fashion collection components(clothing, space, presentation, choreography, and cinematography & editing) reveals that musical choices are predominantly made in order to express the inspiration behind a collection, to establish a mood matching the clothing style, and to convey philosophical and social discourses inherent in the clothing itself. Regarding venue selection, brands frequently opted to showcase cultural connectivity by employing local musicians or selecting music with lyrical or narrative connections to the locality. Another commonality between brands was the choice to have music provide an overall structure for their collections by synchronizing the presentation flow with the temporal structure of their musical selections. Stage conversions focusing on clothing frequently occurred in tandem with musical transitions, while the presence or absence of rhythm was often used to highlight these changes. Shifts in melody and volume were also frequently linked to changes in clothing style, silhouette, color and detail in order to heighten and enhance the visual expressions of collections. Choreography was also often tailored to suit the musical mood by matching the expressions and walking styles of models to musical changes. Cinematography & editing was used to create further harmony between aural and visual elements by synchronizing cinematic techniques (camera focus, film cuts) with the runway walks of models in time to the music.
This study categorizes the role of music in fashion collections into the following segments: expression of inner meaning of collection clothing, structuring of presentation, and intensification of dynamic image expression. Expression of inner meaning of collection clothing refers to the link between the multisensory expression of a collections theme with its design philosophy, social discourse, or message; as visualized by clothing itself. Structuring of presentation solidifies the structural integrity of a collection by synchronizing the flow of a presentation with the temporal structure of the accompanying music. Music thus creates a sense of stability, establishing a cohesive thematic whole that conforms to the development of the fashion collection. Intensification of dynamic image expression serves to enhance the movement in the collection by linking the visual and musical accents. This includes posing, staging, lighting and screen cuts. Intensification of dynamic image expression is a particularly effective technique that is increasingly utilized in the fashion films that have become more prominent since the outbreak of COVID-19.
In a fashion collection, music serves to convey the designer's intended inner vision for the overall concept. Multisensory expressions create harmony between the visual expression of a fashion and the sentiments and meaning behind musical selections. The increasing congruence between the aural and visual elements effectively immerses the audience in a collection by establishing a foundation for emotional experience.
This study is academically significant as it expands the scope of fashion expression by demonstrating its scalability via an analytical approach to fashion collection music, rather than focusing solely on visual presentation; as much of the existing literature has. Additional practical significance lies in the inclusion of strategic implications for the selection and production of fashion collection music via analysis of how musical factors interact with their visual counterparts to create a multisensory brand experience for consumers.


Keywords: Fashion Collection, Music, Fashion Collection Components, Fashion Collection Film
본 연구는 패션컬렉션 음악의 분석적 접근과 이해를 바탕으로 패션컬렉션의 구성요소와 음악이 주고받은 관계의 양상에 주목하고 패션컬렉션에서 음악의 구체적 역할과 이에 관여하는 음악의 실질적 요소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패션컬렉션 음악의 종류, 구성요소, 분위기를 분석하고 컬렉션 유형 및 컬렉션 영상의 유형에 따른 특이점 및 차이점을 도출한다. 둘째, 패션컬렉션의 구성요소와 음악의 개별적 관계를 분석한다. 셋째, 패션컬렉션 음악의 역할을 구체화하고 이에 관여하는 음악의 요소를 도출한다.
본 연구는 양적연구와 질적연구를 병행한 사례연구이다. 연구의 범위는 최근 5년간 브랜드 영향력, 전문 사운드 디렉터의 참여 등을 고려하여 8개 패션 브랜드의 컬렉션 영상 67개와 이에 사용된 216곡을 대상으로 하였다. 컬렉션 음악의 분석은 음악의 장르를 포함한 종류, 음악의 구성요소(템포, 리듬, 박자, 조성, 화음, 음고, 선율, 악절, 악기), 음악의 분위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패션컬렉션의 구성요소(의상, 공간, 연출, 안무, 영상화)와 음악의 관계를 분석하고 이를 종합하여 패션컬렉션에서 음악의 구체적 역할과 음악 요소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패션컬렉션 음악은 대중음악 장르 및 패션컬렉션을 위한 창작곡의 비중이 높고 가사 또는 내레이션을 통한 적극적 언어의 사용이 나타났다. 특히 2020년을 기점으로 클래식 음악 사용은 감소된 반면 대중음악 장르와 언어적 표현이 증가였는데, 이는 Covid-19로 인해 오프라인 런웨이 보다 온라인 관객 대상의 패션 필름 유형의 패션컬렉션이 증가함에 따른 변화로 파악되어 패션 필름의 유형에서 상대적으로 더 대중적이고 설명적인 음악이 선호됨을 알 수 있었다. 패션컬렉션 음악은 평균 BPM(Beat Per Minute: 분당 박의 수) 108~140사이의 속도로 짝수 박(4/4박자:74.1%)의 경쾌한 리듬(51.9%)에 맞춰 빠르게 걷는 속도에 최적화되어있는 경향성을 보였다. 패션컬렉션 음악의 종류, 구성요소 및 분위기를 브랜드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브랜드마다 선호되는 장르와 리듬, 조성, 악절, 악기 등의 구성요소의 분포에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차이는 시즌이 바뀌더라도 유지되어 브랜드만의 독특한 음악 분위기의 조성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패션컬렉션의 구성요소인 의상, 공간, 연출, 안무, 영상화와 패션컬렉션 음악의 관계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음악은 의상의 영감 표현과 의상 스타일에 부합하는 음악의 분위기 및 의상에 함의된 디자인 철학 또는 사회적 담론과 같은 메시지를 표현하였다. 공간에서는 컬렉션 개최지의 로컬 뮤지션의 기용이나 지역성이 드러난 가사 또는 내레이션 음악의 사용을 통한 문화적 연결이 나타났다. 오프라인 런웨이 유형의 패션컬렉션의 경우 무대 장치나 조명 등이 음악과 밀접한 연계를 보인 반면, 패션필름의 유형에서는 이러한 관련성은 미미했다. 연출적 측면에서 음악은 패션컬렉션의 흐름과 음악의 시간 구조의 일치를 통해 컬렉션을 구조화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의상의 그룹을 중심으로 구성된 스테이지의 전환은 음악의 교체나 리듬의 유무로 발생되는 변곡점에서 이루어졌으며, 의상의 스타일, 실루엣, 컬러 및 디테일의 변화에 따른 프레젠테이션의 극적 구성은 음악의 멜로디, 볼륨, 악기의 사용 등으로 상승 및 고조되어 시각적 표현을 강화하였다. 등장인물들의 움직임을 뜻하는 안무는 모델의 표정 및 워킹 스타일과 어울리는 음악의 분위기로 나타났다. 영상의 악센트와 음악의 악센트 지점을 일치시키는 동기화(synchronization)를 통한 조화감을 높이는 효과는 움직임을 강조하며 이는 모델의 워킹 및 영상의 컷(cut) 지점에서도 나타났다.
셋째, 패션컬렉션에서 음악의 역할은 컬렉션 의상의 내적 의미 표현과, 컬렉션 의상의 프레젠테이션의 구조화 및 동적 패션의 이미지 표현 강화로 구체화되었다. 컬렉션 음악의 내적 의미 표현이란 컬렉션 의상으로 시각화된 디자이너의 철학과 사회적 담론 혹은 메시지로 드러나는 컬렉션 주제의 다감각적 표현을 의미한다. 컬렉션 의상 프레젠테이션의 구조화는 프레젠테이션의 흐름과 음악의 시간 구조 일치를 통해 패션컬렉션의 구성력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악은 패션컬렉션에 안정감을 부여하고 점진적 혹은 극단적 전개에 부합하는 음악과 상호작용을 통해 맥락 있는 하나의 완결된 쇼를 구성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동적 패션의 이미지 표현 강화는 패션컬렉션의 움직임의 요소들의 시각적 악센트와 음악적 악센트의 일치를 통해 움직임을 강화하는 역할을 뜻하며 여기에는 모델, 등장인물, 무대, 조명 및 영상 화면의 컷 전환 등이 해당된다. 특히 동적 패션의 이미지 표현 강화는 팬데믹 이후 급격히 증가한 패션 필름에서 강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패션컬렉션에서 음악의 역할은 패션컬렉션과 음악의 시간 흐름 구조의 일치를 바탕으로 동적 패션의 이미지 표현을 강화하며, 음악의 상징적 특성과 가사 및 분위기를 통해 패션컬렉션의 내적 의미를 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패션 표현의 주체는 패션의 시각적 표현과 이에 부합하는 음악의 정서와 의미의 조화를 통해 다감각적 패션 표현을 실현하고 시각과 청각의 조화감을 높여 관람자들을 몰입하게 함으로써 감성적 경험의 토대를 구축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는 그동안 시각적 표현의 범주에서 한정적으로 논의되어온 패션컬렉션 연구에서 나아가 패션컬렉션 음악의 분석적 접근을 통해 음악을 통한 패션 표현의 확장을 살펴봄으로써, 패션 표현 연구의 폭을 넓혔다는 데에 학술적 의의가 있다. 또한 패션컬렉션의 구성요소들과 연계되어 패션컬렉션의 조화감에 관여하는 음악의 구체적인 요소들을 밝혀냄으로써 향후 패션컬렉션 음악의 선정과 제작에 대한 전략적 시사점을 제시한다는 데에 실무적 의의가 있다.

주요어 : 패션컬렉션, 음악, 패션컬렉션의 구성요소, 패션컬렉션 영상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3611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029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