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폐경 후 호르몬 치료와 자동 정량화 방법으로 평가한 유방밀도 종단 분석 : Longitudinal analysis of automated volumetric mammographic density and postmenopausal hormone therapy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한지연

Advisor
김훈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폐경폐경 후 호르몬 치료정량적 유방밀도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의과대학 의학과, 2022.2. 김훈.
Abstract
서 론
폐경 후 호르몬 치료의 종류가 유방 밀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아직 논란이 있으며, 자동화된 정량화 유방 밀도(volumetric mammographic density, VMD)에 미치는 영향은 알려진 바가 적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폐경 여성에서 폐경 후 호르몬 치료 종류에 따라 정량적으로 측정한 유방 밀도의 시간적 변화가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지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2011년부터 2019년까지 서울대학병원 산부인과 외래를 방문한 여성 297명의 임상 자료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폐경 후 호르몬 치료를 받지 않은 환자 (n=103), 에스트로겐 단독으로 처방받은 환자(estrogen treatment, ET)(n=95), 에스트로겐 및 프로게스토겐 제제를 함께 복용한 환자(estrogen plus progestogen treatment, EPT)(n=99)로 구성되었다. 호르몬 치료를 받은 모든 환자는 이전 호르몬 치료 경험이 없었다. 모든 연구 대상자는 치료 전 유방촬영술을 시행하였고, 치료 후 최소 2년 이내에 1회 이상 유방촬영술을 시행하였다. 모든 유방촬영술은 자동화된 정량적 유방 밀도 측정(Volpara™)을 사용하였다. 환자들의 연령 및 체질량 지수를 보정하는 혼합 모델을 사용하여 호르몬 치료 종류에 따른 VMD의 시간적 변화를 분석했다.

연구 결과
VMD는 모든 연구 대상자에서 2회, 184명(62.0%)에서 3회 측정되었다. VMD 측정 사이의 시간 간격의 중간값은 약 1년이었고, 기저 VMD 측정 당시의 평균 연령은 53.0세였다. VMD를 비교할 때에는 로그로 변환하여 분석하였다. VMD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했으며, 연령 및 체질량 지수를 보정한 후에도 폐경 후 호르몬 치료 종류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1년 시점에서의 P = 0.02, 2년 시점에서의 P = 0.003). 사후분석에서 VMD는 1년 시점에 ET 군과 EPT 군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ET 군 11.0% vs. EPT 군 13.8%; P = 0.01), 2년 시점에서는 대조군과 EPT 군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대조군 10.9% vs. EPT 군 13.8%; P = 0.01, ET 군 10.8% vs. EPT 군 13.8%; P = 0.01).

결론
자동화된 VMD의 시간에 따른 변화는 호르몬 치료 종류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ET 군과 대조군의 VMD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EPT 군은 ET 군/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Objectives
It is still controversial how the types of menopausal hormone therapy (MHT) affect breast density, and little is known about their effect on serial measures of automated volumetric mammographic density (VM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longitudinal change of VMD measures show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ypes of MHT in postmenopausal women.

Methods
Medical records of 297 women who visited the outpatient clinic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etween 2011 and 2019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Study participants were composed of MHT never users (n=103), estrogen-progestogen users (EPT) (n=99), and estrogen alone (ET) users (n=95). All women had undergone VMD at least twice over two years. All hormone users started their first MHT after baseline VMD. The longitudinal VMD changes were analyzed with a mixed model, adjusting for age and body mass index (BMI) at baseline VMD.

Results
VMD was assessed twice in all women, and three times in 184 women (62.0%). The median time interval between serial VMD measurements was one year, and the mean age at baseline VMD was 53.0 years. The logarithmic transformation of VMD decreased as time went on, and longitudinal changes of VMD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ypes of MHT after adjustment for age and BMI (P for year 1 = 0.02, P for year 2 = 0.003). The VMD changes of ET user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EPT users (ET vs. EPT at year 1; 11.0% vs. 13.8%; P = 0.01, Year 2; 10.8% vs. 13.8%; P = 0.01), and comparable with MHT never users. EPT use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with MHT never users (EPT vs. Control at year 2; 13.8% vs. 10.9%; P = 0.01).

Conclusions
The longitudinal changes of VMD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ypes of MHT. The VMD changes of ET users and MHT never users were statistically similar, but the VMD changes of EPT user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both ET users and MHT never users.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3617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908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