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과 호주의 교사자격체제와 교사 효능감 비교연구 : A comparative study of teacher certification system and teacher efficacy in Korea and Australia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정영현

Advisor
정동욱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교사 자격교사자격체제교사 효능감비교교육연구혼합연구TALIS 2018teacher certificationteacher certification systemteacher efficacycomparative education researchmixed methods research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교육학과(교육행정전공), 2022.2. 정동욱.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teacher certification system between Korea and Australia and empirically analyze the difference in teacher efficacy in connection with this to suggest ways to improve the current teacher certification system in Korea.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establishe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First, the current status of the teacher certification system in Korea and Australia was compared. Second, this study examined how it relates to the teacher certification system and teacher efficacy of both countries.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 this study established a hypothe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 certification system and teacher efficacy based on self-efficacy theory and life development theory, established teacher training, teacher recruitment, teacher certification stage, and quality management based on previous studies. It adopted a mixed research. After qualitative research, a quant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to through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data from TALIS 2018.
This study drew the following conclusions through the above study.
First, compared to Australia, teacher certification systems in Korea led to an excessive issuance of teacher certifications without qualitative control, a single-line teacher certification system linked to promotion, and lack of systematic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quality management. Australia, on the other hand, reorganized Australian Professional Standards for Teachers(APST) in 2012, selected teachers according to APST as temporary certification, supervised certification and renewal of new and in-service teachers, and reorganized teacher certification levels.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derive the difference that Australia is establishing a systematic teacher certification system so that teachers can continue to develop expertise within the overall system compared to Korea.
Second, teachers in Australia showed higher teacher efficacy by area than in Korea,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found even after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by defining the systematic teacher certification system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defining teacher efficacy in both countries as a dependent variable. When statistical relations between variables are derived by the Most Different System Design(MDSD), this difference in teacher efficacy may be related to a systematic teacher certification system is present.
These research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and based on this, this study proposed a plan to reorganize the current teacher certification system in Korea.
First, after reorganizing teacher certification standards at the national level,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quality of certification management by organically using them throughout the teacher training-recruitment-certification stage-qual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is study, Korea has limitations in establishing a systematic teacher certification system compared to Australia. Accordingly, the need to establish a teacher certification system that can continuously develop expertise based on teacher certification standards is derived.
Second, it is necessary to reorganize the existing single-line teacher certification system and separate promotion and higher certifications in line with the teacher's life development stage. According to this study, even though the master teacher was introduced in 2011, Korea still maintains a single-line teacher certification system linked to promotion. Therefore, it is required to separate it from promotion and subdivide it so that teachers can grow and continue to develop their expertise according to the stage of life career development.
Third,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a teacher qualification renewal system using teacher qualification standards. In the case of Australia, the legal obligation is to renew the qualifications of incumbent teachers, encouraging continuous professional development.
본 연구는 한국과 호주의 교사자격체제를 비교하고 이와 연관해 교사 효능감의 차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현재 한국의 교사자격 체제의 개편방안을 제시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한국과 호주의 교사자격체제의 현황이 어떠한지를 비교하였다. 둘째, 양국의 교사자격체제와 교사 효능감이 어떤 통계적 연관성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문제에 답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자기효능감이론과 생애발달이론에 기반하여 교사자격체제와 교사 효능감과의 관계에 대한 가설을 설정한 후, 선행연구에 기반해 교사자격체제의 분석준거로 교사 양성, 교사 임용, 교사자격단계, 질 관리를 설정 후 문헌고찰(Literature Review)을 통해 양국의 교사자격체제를 해석적으로 이해하는 질적연구를 수행하였다. 이후, TALIS 2018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통해 양적연구를 수행하는 순차적인 혼합연구(Mixed-Method)를 하였다.
본 연구는 이를 통해 다음의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한국과 호주의 교사자격체제를 비교한 결과, 한국은 수석교사가 2011년 법제화가 되었음에도 사실상 승진과 연계된 단선형 교사자격체제에 머물러 있어 교사 효능감 저하를 유발하고 있고, 전문성 개발을 하게 하는 연수가 교사의 법적 의무임에도 승진과 연계되어 지속적인 전문성 개발과 질 관리를 하는 체계성에 있어 다소 부족함이 도출되었다. 반면, 호주는 2012년에 국가수준에서 교사자격기준(APST)을 정비하고, 이와 연동해 생애발달단계에 맞게 4단계의 교사자격단계를 체계화하는 것이 나타났다. 또한, 교사자격기준을 교사양성기관의 평가에서부터 주정부의 교사자격인증기관에서 임시인증을 통한 1단계의 신규교사 선발 및 현직교사의 인증과 갱신 주관 등으로 체제 전반에 연동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한국에 비해 호주가 총체적인 체제(system) 내에서 교사가 전문성을 지속적으로 개발하도록 하는 체계적인 교사자격체제를 정립하고 있는 것으로 양국의 차이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둘째, 한국보다 호주의 중등교사가 영역별 교사 효능감이 높게 나타났으며, 체계적인 교사자격체제를 독립변수로 규정하고 양국의 교사 효능감을 종속변수로 규정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이후에도 통계적 유의성이 나타났다. 이는 사례비교방법 중 하나인 대부분 다른 것을 비교하는 최대상이체계설계(MDSD)에 의해 변수간 통계적 관계가 도출될 시, 이들 변수 외에 다른 영향을 주는 요인을 특별히 고려하지 않음에 따라, 이러한 교사 효능감의 차이가 체계적인 교사자격체제의 여부와 연관이 있을 것이라고 도출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본 연구의 가설과 부합하는 것으로, 이를 토대로 본 연구는 한국의 교사자격체제 개편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국가수준에서 교사자격기준을 정비한 후, 교사자격체제 전반에서 유기적으로 활용해 자격의 질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 의하면, 한국은 호주에 비해 체계적인 교사자격체제를 수립함에 있어 한계가 있었다. 이에 교사자격기준을 바탕으로 지속적으로 전문성을 개발할 수 있는 교사자격체제를 수립할 필요성이 도출된다.
둘째, 교사의 생애발달단계에 맞춰 기존의 단선적인 교사자격체제를 정비하고 승진과 상위 자격을 분리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 의하면 한국은 2011년 수석교사제가 도입되었음에도 여전히 승진과 연계되는 단선형 교사자격체제를 유지하는 것이 나타났다. 이에 승진과 분리해 생애경력발달단계에 따라 교사가 성장하고 전문성을 지속해 개발할 수 있도록 자격단계를 세분화하는 것이 요구된다.
셋째, 교사자격기준을 활용해 교사자격갱신제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호주의 경우 현직교사의 자격갱신을 법적 의무로 부여해, 지속적인 전문성 개발을 장려하고 있다. 이를 참고해 한국에서도 교사자격기준을 수립해 신규교사의 인증 및 현직교사의 상위자격 취득뿐만 아니라 갱신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여겨진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3629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028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