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 농촌 노인의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와 타인 표상의 신경상관자 : Neural correlates of other-representation depending on 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in older adults residing in rural Korea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고은지

Advisor
최진영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타인 표상표상 패턴 유사성자기참조타인참조사회연결망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회과학대학 심리학과, 2022.2. 최진영.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 농촌 노인에 집중하여, 사회경제적 지위가 타인 표상의 뇌활성화 반응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기존의 연구들은 사회경제적 지위가 세상을 바라보고 인식하며, 타인과 관계를 맺는 방식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보였다. 특히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은 사람들은 자기 지향적인 태도를 보이는 반면,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은 사람들은 타인 지향적인 태도를 더 강하게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은 미국과 유럽 등 독립적 자기개념이 발달한 문화권에서 주로 이루어졌으며, 상호의존적 문화를 공유하는 사회에서도 이러한 양상이 나타나는지에 대하여 기존 연구들은 비일관적으로 보고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변량과 다변량 분석법을 사용하여, 한국의 노인들이 타인을 표상하는 과정에서 어떤 뇌 영역이 활성화되고, 우리의 뇌가 자발적으로 타인의 사회적 위치 정보인 인기 정보를 어떻게 처리하는지, 그러한 처리 방식이 노인의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자기 참조와 타인 참조적 처리의 관점에서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의 한 농촌 마을에 거주하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fMRI 과제를 수행하였다. fMRI 기계 안에서 촬영하는 동안, 참가자들(n=19)에게 자신을 포함한 마을 사람들의 얼굴, 그리고 여러 사람의 사진을 겹쳐놓은 유령사진을 하나씩 보여주는 과제를 실시하였다. 촬영 전후의 설문에서 참가자들은 본인의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와 중요한 일이 있을 때 각 표적 인물과 논의하고 싶은 정도를 응답하였다. 이를 이용해 마을의 사회연결망을 구성하고 내향연결 중심성(in-degree centrality)을 계산하여 인기 변수로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참가자들은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을수록 사회인지와 관련된 영역의 활성화를 보였으며, 관심영역 분석에서는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가 가치 영역의 활성화를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또한 타인을 표상하는 과정에서 자발적으로 표적 인물의 인기 정보를 파악하는 것으로 보이는 영역들을 확인하였다. 특히 정신화 영역의 활성화 수준은 표적인물의 인기 정보에 의해 정적으로 예측되었다. 마지막으로, 참가자들은 자기와의 비교를 통하여 타인의 인기 수준을 처리하였고,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자기 참조적 뇌 활성화 패턴과 타인/맥락 참조적 뇌 활성화 패턴이 사회적 위치 정보와 관련되는 양상이 달라지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은 사람들은 자기와 비교한 타인의 상대적 인기에 따라 자기-표적인물 패턴 유사성과 맥락-표적인물 패턴 유사성이 모두 유의미하게 변화한 반면,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은 사람들은 타인의 상대적 인기에 따라 맥락-표적인물 패턴 유사성만 변화하는 경향성이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우리의 뇌가 자기와의 비교를 통해 타인의 사회적 위치 정보를 자발적으로 추적하며, 한국 노인의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타인을 표상하는 방식의 차이가 뇌 활성화 반응의 다양한 수준에서 반영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제안한다.
This study focused on Korean older adults, and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and other-representative brain activation. Previous studies suggest that socioeconomic status influences the way people perceive the world and interact with others. In particular, the one with higher socioeconomic status shows stronger self-orientation, whereas the one with lower socioeconomic status shows stronger other-orientation. However, these results are mostly from studies conducted in cultures where independent self-concept is pursued, such as the United States and Western Europe, and it is inconsistent whether this is the case in interdependent culture. Therefore, the present study utilized univariate and multivariate brain imaging analyses to assess which brain areas are activated during other-representation, whether the brains spontaneously process popularity information of targets, and how 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is related to the way the brains process popularity information in the perspective of self-referential and other-referential processing. During the fMRI scanning, older adults (n=19) from one agricultural village in Korea viewed face pictures of self and others from the same village. In addition, they reported their 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and how much they want to discuss with each target person when they are about to decide important issue after scanning. From these responses, the social network of the village was constructed and each target persons in-degree centrality was calculated to be used as popularity measure. 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predicted activation of the areas known to be related to social cognition as a result of whole brain analysis, and activation of value area as a result of ROI analysis. Some brain areas spontaneously tracked the popularity of the targets, and activation of mentalizing area was positively predicted by popularity of the targets. Most notably, older adults processed others popularity information by comparing with their own popularity, and the way relative popularity information of target is associated with self-target representational pattern similarity and context-target representational pattern similarity was different by 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of the participant. Specifically, for people with higher 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both self-target pattern similarity and context-target pattern similarity increased when the target persons popularity was greater than their own popularity, whereas for those with lower 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only context-target pattern similarity showed tendency to decrease when the targets popularity was lower than subjects popularity. These results point to the possibility that our brain may track others popularity spontaneously, and the way Korean older adults represent others in the brains may be different by their 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3631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016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