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 동성애문학의 기초 : A Foundationalist Theory of Korean Same-Sex Literature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민호-
dc.contributor.author실비안-
dc.date.accessioned2022-06-22T15:43:00Z-
dc.date.available2022-06-22T15:43:00Z-
dc.date.issued2022-
dc.identifier.other000000171637-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83632-
dc.identifier.uri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1637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2022.2. 박민호.-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현존하는 역사 문헌•기록, 문학 작품 등에 대한 문헌 분석을 통하여 한국인의 동성애 의식의 근본 (기초), 풍류, 멋과 관련시켜 이론화 하는 것울 목표로 한다. 먼저, 고대 장에서는 신라 화랑의 교육•육성과 관련된 역사 기록을 통해 그 이후의 전통 성 의식을 조건화한 몇 가지 각인을 확인하여 이론화 한다. 초기 근대 장에서는 일제강점기부터 민주화 운동기까지의 동성애 문학과 담론을 검토한 뒤, 이를 그 뒤의 엔트모디 패러다임인 성애 유사 해방 이론과 그 효과인 선정체성 문학과 관련시킨다. 성해방 운동이 제공하는 긍정적인 가치를 선택적으로 추출해 내면서, 멋 문화의 기초를 살려 글로벌리즘의 무질서적인 영향을 조절하고 편집하는 것은 한국 동성애 문학의 특징이라고 볼 수 있다. 한기언은 이를 '역사 의식'을 포함한 멋진 인간상 표준을 잊지 않는 예로 평가한다.(이 문장 불필요함) 본 논문은 현대 한국 동성애 문학이 전통적인 의식의 영향을 반영할 뿐만 아니라, 지금 세계 성 담론의 추상주의적, 분열주의적인 측면에 대한 비판을 가능성 있는, 핵심 통찰력, 심지어 저항의 모범을 자기도 모르게 제공할 수 있다고 결론짓는다. 나아가 전통 멋 의식이 한국 현대 동성애 문학에서 일종의 '기초'로서 계속 작동하고 있으며, 이 모델이 세계주의의 부정적인 영향을 중재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dc.description.abstractThis thesis experimentally proposes a 'meot' theory of Korean same-sex culture and literature. It searches for a "foundation" of the culture (literature) with which to resist "placeless" globalism, and it is hoped such may inspire other countries to delve into their own cultural and civilizational foundation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제1장: 서론
1.1 연구 목적
1.2 문헌 분석
1.3 방법론
제2장: 전근대 시기의 동성애 의식
2.1동성애 의식에 대한 각인을 남긴 신라의 '이데아'
2.2 창조: 미륵화와 화랑(선화)의 양성
2.3 전통: 군사 전통
2.4 개혁: 정렬 이론
2.5 한국 성의식에 화랑체제가 남긴 각인
2.6 고려조의 남색의식
제3장 조선조의 남색 의식
3.1 사원에서의 출현
3.2 남사당패의 멋
3.3 창조: 멋 창조물로서의 홍동지
제4장: 식민지 시기의 동성애 의식
4.1 식민지 공간, 성정치의 만세전
4.2 이광수 문학에서의 동성애 테마인 멋
4.3 이광수를 애독한 백악 김환과 동정
4.4 1920년대의 시대상황
4.5 1930년대의 소비주의 문화
4.6 1930년대 문학의 성의식
제5장: 분단시대의 사회변화와 동성애 의식
5.1 화랑의 재인식 혹은 동성애의 재발견
5.2 산업화시대의 문학- 기형도 시의 멋에 관한 멋없는 분석

제6장: 모딕과 엔트모딕의 대조적 리뷰
6.1 서양 에로스관의 기초
6.2 자위 패닉이 낳은 성역사
6.3 서양 에로스 전통은 OSP 완화
6.4 고전 (Modic) 동성애 문학, 역사학, 성욕학
6.5 시먼즈 역사학의 국제적 영향
6.6 모딕 문화, 과학 담론을 부드럽게 했다
6.7 엔트모딕의 등장
6.8 모닥은 엔트모딕을 만나다
6.9 민주화 이후 동성애 문학
제7장: 결론
부록
참고문헌
-
dc.format.extent300-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동성애 문학-
dc.subject세계주의-
dc.subject멋 이론-
dc.subject.ddc810-
dc.title한국 동성애문학의 기초-
dc.title.alternativeA Foundationalist Theory of Korean Same-Sex Literature-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Gabriel A. Sylvian-
dc.contributor.department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dc.description.degree박사-
dc.date.awarded2022-02-
dc.contributor.majorNA-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71637-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7▲000000000054▲000000171637▲-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