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무용소양 함양하기: 댄스리터러시 기반 한국무용 교육프로그램 개발원리 탐색 : Cultivating Korean Dance Literacy: Investigation for Development Principle of Korean Dance Education Program Based upon Dance Literacy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연재

Advisor
최의창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한국무용소양한국무용 댄스리터러시한국무용소양 교육한국무용소양 구성요소한국무용소양 교수방법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체육교육과, 2022.2. 최의창.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무용을 잘 가르치기 위한 방법으로 한국무용 댄스리터러시 함양에 대한 논의에서 시작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무용소양 함양을 위한 한국무용의 구성요인(구성요소, 목표, 핵심 개념, 내용 및 방법)을 찾는 것을 목적한다. 따라서 본 연구 문제는 첫째, 한국무용소양의 구성요소는 무엇인가? 둘째, 한국무용소양 함양을 위한 교육내용 및 방법은 무엇인가? 셋째, 한국무용소양 함양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구성 원리는 무엇인가? 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은 해석학적 패러다임에 기반하여 2019년 2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약 2년 10개월간 연구가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문헌고찰, 심층 면담, 전문가 회의를 통해 결과를 도출하였다. 문헌 분석을 통해 한국무용 핵심 구성요소를 찾고, 다음으로 전문가 심층 면담(한국무용 교수자 6명, 무용교육자 11명, 무용전공자 11명)을 통해 검토하고, 구성요소의 함양을 위한 교육내용 및 방법, 프로그램 구성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심층 면담 자료 분석은 Strauss(1987)이 제시한 개방형 코딩(Open coding), 축 코딩(Axial coding)선택적 코딩(Selective coding)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연구의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해 다각적 자료수집을 통한 검증과 연구 참여자에 의한 검토, 동료들과의 협의 등을 통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위의 연구 과정을 통해 얻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 결과 첫째, 한국무용소양의 구성요소는 무엇인가? 한국무용소양을 함양하기 위한 구성요소는 크게 신체 소양, 인지 소양, 심미 소양으로 구분된다. 한국무용의 신체 소양은 호흡의 핵심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 심신감지와 동작수련의 목표를 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한국무용의 인지 소양은 안목의 핵심 개념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작품탐색과 전통분석의 목표를 통해 이룰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심미 소양은 공감의 핵심 개념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문화감성과 유미표현의 목표를 통해 얻을 수 있다.
연구 결과 둘째, 한국무용소양 함양을 위한 교육내용 및 방법은 무엇인가? 신체 소양, 인지 소양, 심미 소양은 각 4가지 교육내용과 6가지 교육 방법이 도출되었다. 1) 신체 소양의 교육내용은 핵심 개념인 한국무용의 호흡을 알기 위하여 호흡, 동작, 표현, 조화를 이해하는 것이다. 2) 인지 소양의 교육내용은 핵심 개념인 한국무용의 안목을 형성하기 위한 내용으로 음악, 철학, 역사, 전통을 이해하여 얻어질 수 있다. 3) 심미 소양의 교육내용은 핵심 개념인 한국무용에 대해 공감이 가능하게 하는 내용으로 태도, 감정, 감성, 미학으로 알 수 있다. 다음으로 교육 방법에 대해 살펴보자면, 소양마다 6개의 교육 방법이 도출되었다. 1) 신체 소양의 교육 방법은 감각깨움, 자기탐색, 호흡이음, 완급조절, 심신조화, 표현유도로 발견되었다. 2) 인지 소양의 교육 방법은 장단해석, 음색분석, 사고확장, 비교설명, 지역구분, 감상제공 으로 발견되었다. 3) 심미 소양의 교육 방법은 자기문답, 감응유도, 사례제시, 흐름설명, 감성공유, 체화반성을 발견되었다.
연구 결과 셋째, 한국무용소양 함양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구성 원리는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 제시한 구성요소들을 실천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교육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구성요소들의 구성 원리를 통해 교육프로그램의 원리를 먼저 이해하고자 한다. 구성요소들의 구성 원리는 총체성, 균형성, 단계성의 원리로 구성된다. 교육프로그램의 내용 체계는 움직임 이해, 한국무용 레파토리, 한국무용 창작하기의 세 가지 영역으로 구분된다. 총 15차시 프로그램으로 각 영역당 5차시의 수업으로 구성된다. 또한 움직임 이해, 한국무용 레파토리, 한국무용 창작하기의 영역은 쓰인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발전되는 내용 체계를 가진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무용소양 함양을 위해서 한국무용에 대한 구성요소를 명확히 인지해야 한다. 둘째, 한국무용소양의 구성요소에 맞는 내용과 방법이 적절히 설정되어야 한다. 셋째, 한국무용소양 함양 프로그램은 학습 대상(일반인과 전공자)에 따라 수준에 맞는 목표를 선택하여 제공해야 한다. 넷째, 한국무용 교수자는 한국무용소양 함양에 대한 목적과 그에 따른 목표, 내용,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 다섯째, 한국무용소양 함양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하여 제도적, 사회적 차원의 지원과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제언은 다음과 같다. 1)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첫째, 한국무용소양 함양을 위한 교수학습자료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한국무용소양 프로그램 실천과 효과분석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무용 장르별(한국무용, 발레, 현대무용) 소양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2) 교육 실천을 위한 제언은 첫째, 한국무용 지도자를 대상의 교사 교육에서 한국무용소양 관련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교육 대상에 맞는 한국무용소양의 프로그램 개발과 실천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한국무용소양 함양을 위해 교사 공동체가 형성되어 정보가 공유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has begun at discussion about cultivating Korean dance literacy to find the way to teach Korean dance effectively. In this regar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eek the components of Korean dance for cultivating its literacy. The relevant topics organizing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components of Korean dance literacy? Second, what are the contents and methods of education for cultivating Korean dance literacy? Lastly, what is the composition principle of education program for cultivating Korean dance literacy?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for about 2 years and 10 months from February 2019 to December of this year based on the paradigm of interpretive research. Data and sample for this study has been collected from searching differing documents, in-depth interview with participants in this study and meeting with experts. The key components of Korean dance had been found through analyzing the relevant publications in which informations gone through reviewing by interview with experts in-depth. As a result, the education programs and methods for cultivating key components and their outcomes have been drawn from the conducting of this study as written above. Analyzing materials from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by open coding presented by Strauss, axis coding and selective coding. Furthermore, there have proceeded with the serious processes like the repetitive verification from various angles, participants examinations at the objective points of view and precise arrangements with coworkers to avoid errors from this study.
Findings from this study to discuss about the topics mentioned earlier are as follows:
Finding 1. What are the components of Korean dance literacy?
The key components for cultivating Korean dance literacy fall into three broad categories, which including physical literacy, perceiving literacy and aesthetic literacy. The objective of physical literacy for Korean dance is sensing mind and body, and practicing movements, which are able to be presented to understand the key concept of breathing. Second, the perceiving literacy of Korean dance built on the key concept, Discernment, which is able to be obtained by achieving goals like investigating performances and analyzing traditions. Lastly, the aesthetic literacy having sympathy as the key concept, which is possible to obtained by achieving the objectives dealing with cultural emotion and aesthetic expression.

Finding 2. What are the contents and methods of education for cultivating Korean dance literacy?
Four kinds of contents and six kinds of methods for education to cultivate physical, perceiving and aesthetic literacy have been established by this study.
1) The contents of education for physical literacy are organized for enlightenment about breathing, movement, expression and harmony to figure out breathing of Korean dance which is the core concept.
2) The contents of education for perceiving literacy are intended to make up the good eye as the key concept of Korean dance, which are able to be gained by understanding music, philosophy, history and tradition.
3) The contents of education for aesthetic literacy enabling to sympathize with Korean dance as the key concept are able to be learned by understanding attitude, emotion, sensitivity and aesthetics.
Looking into the methods of education to proceed, six methods of education have been produced for every single literacy.
1) Awakening sense, self-examination, breathing connection, tempo control, balance of mind and body and inducing expression have been identified as the methods of education for physical literacy.
2) Rhythm analysis, tone analysis, thinking expansion, comparative explanation, sorting regions and furnishing impression have been found as the methods of education for perceiving literacy.
3) Self Q&A, inducing sympathy, sampling, explaining contexts, sharing emotions and self-examination are discovered as the methods of education for aesthetic literacy.
Finding 3. what is the composition principle of education program for cultivating Korean dance literacy? The education program to exploit the components presented in this study practically has been suggested here below.
The principle of education program is supposed to be comprehended above all through the composing principle of components which consists of collectivity, balance and phased processing. The structure of its course is divided into three chapters to be covered with understanding movements, Korean dance repertory, creating Korean dance. Each chapter is composed of five classes and there are fifteen classes at this program in total. The classes of course are progressed in order in which they were written above as opening with understanding movements and closing with creating Korean dance.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ble to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omponents of Korean dance should be appreciated clearly to internalize Korean dance literacy. Second, the right contents and teaching methods for Korean dance literacy should be set up according to the components. Third, the education program for Korean dance literacy should be provided trainees like majors and outsiders with selective purposes according to their grades. Fourth, teachers of Korean dance are supposed to understand the final goal in cultivating Korean dance literacy, its inferior targets, contents and methodology in detail. Lastly, the systematic and social supports and developments are required to accomplish the education for cultivating Korean dance literacy.
The proposals drawn from this study are pronounced below.
1) As for the proposals for the follow-up study, first, the development of coaching materials for Korean dance literacy is required to study further onward. Second, practicing Korean dance literacy and analyzing effect that comes with are required. Third, the analysis of literacy by dancing genre (Korean dance, Ballet and modern dance) should be done.
2) As for the proposals for the actualizing education, first, the education involved with Korean dance literacy should be included into the curriculum for Korean dancing teachers. Second,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programs for Korean dance literacy that are right to the targets to be educated. Third, teachers should establish their community and share informations between members to inspire students with Korean dance literacy.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3633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057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