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 성인의 악력과 당뇨병 유병률 및 혈당 조절률 간의 연관성 : Associations between Grip Strength and the Prevalence of Type 2 Diabetes or Glycemic Control in Korean Adult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최하림

Advisor
김연수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근력악력당뇨병당화혈색소혈당 조절국민건강영양조사Muscluar strengthGrip strengthDiabetes MellitusHemoglobin A1cGlycemic control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체육교육과, 2022.2. 김연수.
Abstract
연구목적
당뇨병은 중요한 공중 보건 문제이며, 당뇨병 유병자의 혈당 관리는 관련 합병증 및 사망을 예방하는데 있어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성인을 대상으로 악력과 당뇨병 유병률 간의 연관성을 확인하고, 당뇨병 유병자를 대상으로 악력과 혈당 조절률 간의 연관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2014~2019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한국 성인의 악력과 당뇨병 유병률 및 혈당 조절률 간의 연관성을 분석하기 위한 연구 대상자는 각각 한국 성인 25,352명과 그 중 당뇨병 유병자 2,498명이 선정되었다. 악력은 디지털 악력계를 사용하여 측정되었으며, 연령대와 성별을 고려하여 3분위로 구분하였다. 모든 분석 시 악력이 가장 높은 그룹을 기준 그룹으로 설정하였으며, 오즈비(Odds Ratio, OR)와 95% 신뢰구간(95% Confidence Interval, CI)을 산출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한국 성인의 악력과 당뇨병 유병률 간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모든 공변인을 보정하였을 때, 악력이 가장 높은 그룹과 비교하여 중간 그룹의 오즈비는 1.30배 (95% CI, 1.21-1.50), 낮은 그룹은 1.68배 (95% CI, 1.46-1.94) 증가하였다. 또한, 연구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악력과 당뇨병 유병률 간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모든 분석에서 악력이 낮을수록 당뇨병 유병률과 유의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당뇨병으로 진단된 인원을 대상으로 악력과 혈당 조절률 간의 연관성을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모든 공변인을 보정하였을 때, 당뇨병 유병자 중 악력이 높은 그룹과 비교하여 낮은 그룹의 오즈비는 33% (OR, 0.67; 95% CI, 0.47-0.96) 감소하였으며, 중간 그룹에서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별을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남성은 악력이 높은 그룹과 비교하여 중간 그룹과 낮은 그룹의 오즈비가 각각 36% (OR, 0.64; 95% CI, 0.42-0.97), 40% (OR, 0.60; 95% CI, 0.38-0.95)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여성의 경우 악력이 낮아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지만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분석 결과 한국 성인의 악력이 낮을수록 당뇨병 유병률과 강한 연관성이 있으며, 당뇨병 유병자를 대상으로 악력과 혈당 조절률 간의 유의한 연관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성별을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당뇨병 유병자의 악력과 혈당 조절률 간의 유의한 연관성은 남성에게서만 나타났으며, 여성의 경우 유의한 연관성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악력의 측정을 통해 한국 성인의 당뇨병 유병에 대한 위험군과 남성 당뇨병 유병자의 혈당 조절에 대한 고위험군을 식별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활용한 국민건강영양조사는 횡단면 조사로 추후 종단면 자료를 활용하여 본 연구 결과에 대한 인과관계를 밝힐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Objective
Diabetes is a significant public health problem and glycemic control for diabetic patients is essential to prevent related complications and mortalit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confirm the associations between grip strength and prevalence of diabetes in Korean adults and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grip strength and glycemic control in Korean adults with diabetes.

Method
KNHANES from 2014 to 2019, 25,352 and 2,498 participants were finally selected for examining the associations of the grip strength with the prevalence of diabetes and glycemic control, respectively. Grip strength was measured by the handheld dynamometer and represented as age- and sex-specific tertiles. The upper grip strength group was defined as a reference group for each analysis, and the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was used to calculate the odds ratio and 95% confidence interval.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associations between grip strength and the prevalence of diabetes. After adjustments for covariates, the lowest and middle group of grip strength had significant ORs of 1.68 (95% CI, 1.46-1.94) and 1.30 (95% CI, 1.21-1.50) compared to the highest group of grip strength, respectively. Furthermore, there were consistent trends across the subgroup stratified by confounders.
Compared to the diabetic patients with the highest tertile for grip strength, the lowest group of grip strength had a significant odds ratio of 0.71 (95% CI, 0.51-0.99). However, the odds ratio in the middle group was decreased but statistically not significant. After subgroup analysis for sex, both middle and lower tertiles of grip strength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odds ratios of 0.67 (95% CI, 0.46-0.99) and 0.60 (95% CI, 0.39-0.92) in men, respectively. However, women with diabetes had no significant association.

Conclusions
Lower grip strength was appeared to have a higher risk of the prevalence of diabetes, and there was a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grip strength and glycemic control in diabetic patients. However, a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grip strength and glycemic control only in men and women was not significant. Therefore, this study will help estimate the risk of the prevalence of diabetes in Korean adults and confirm whether the blood glucose was controlled in men using grip strength. However, due to the KNHANES being a cross-sectional survey, further study is needed to elucidate the causal relationship using longitudinal data.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3639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908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