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판 HCAP(Harmonized Cognitive Assessment Protocol)의 타당화 연구 : Validation Study of the Korean-Harmonized Cognitive Assessment Protocol(K-HCAP)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다솜

Advisor
최진영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인지노화HCAP타당도뇌연령백질병변삶의 목적일상생활활동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회과학대학 심리학과, 2022.2. 최진영.
Abstract
현대 사회는 생활 수준의 향상과 의료서비스의 발달에 따라 기대수명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출산율이 급격하게 감소하여 고령인구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불과 30여년 후면 한국은 인구의 10명 중 4명이 65세 이상인 나라가 될 것으로 예측된다. 이에 따라 치매 유병률 또한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사회적 비용이 상당하다. 고령화 추세와 치매 유병률의 증가는 전세계적으로 당면한 문제이며, 관련 문제의 해결을 위해 국제적 협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비교가능한 인지평가 프로토콜(Harmonized Cognitive Assessment Protocol; HCAP)은 (1) 경도인지장애나 치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고, 경도인지장애와 치매의 유병률, 의료 및 사회경제적 비용을 추정하고, 이로 인하여 나타나는 결과를 더 잘 측정하기 위한 데이터를 수집하며, (2) 국가 간 인지수행을 비교하고, 경도인지장애와 치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치매의 유병률, 이로 인한 영향을 국가 간 비교하는 다학제적 연구를 촉진하기 위한 목적에서 개발된 검사 프로토콜이다. HCAP은 미국 국립노화연구소의 지원을 받아 건강과 은퇴에 관한 연구(HRS)에서 개발하였으며, 현재까지 남아프리카(HAALSI), 멕시코(MHAS), 영국(ELSA), 인도(LASI), 중국(CHARLS)에서 실시되어 국가 간 연구 협력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HCAP을 한국 노인에게 실시하기 위해, 언어 및 사회문화적 차이를 고려하여 하위 검사를 구성하고 여러 유형의 타당도를 검토함으로써 국내 노인 인구에 적합한 검사인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1에서는 한국판 HCAP(K-HCAP)을 구성하고, 인지검사의 구성타당도와 생태학적 타당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가설 1에서는 요인분석을 통해 K-HCAP에 포함된 인지검사의 요인구조를 확인하였다. HCAP은 다양한 국가에서 비교가능하도록 개발되었는데, K-HCAP의 요인구조는 HRS와 LASI에서 확인된 요인구조와 유사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가설 2에서는 인지검사의 생태학적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인지검사의 점수가 일상생활기능 수행과 유의미하게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편상관분석 결과 기억, 집행기능, 언어능력은 CSI-D와 IQCODE로 측정한 일상생활기능과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다.
연구 2에서는 노화와 관련된 뇌 변수를 통해 준거타당도를 검증하고, 나아가 선행연구에서의 연구 결과가 반복 검증되는지 (replication) 알아보았다. 가설 1에서는 노화와 관련된 뇌의 변화를 반영하는 뇌연령과 백질병변(WMH)이 나이, 성별, 교육연한을 통제한 후 인지기능과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뇌연령은 인지기능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뇌연령을 구성하는 하위 요소는 일부 집행기능과 기억기능 및 교육연한과 상관을 보였다. 또한 전체 뇌의 WMH는 인지기능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WMH가 나타나는 위치를 나누어서 보았을 때 선로 잇기 검사 B와 구성-지연회상 수행은 구상속(uncinate fasciculus)의 WMH와 관련이 있었다. 이와 같이 뇌연령과 WMH의 부분적인 측정치에서 인지기능과의 관련성이 나타나는 것은 노화가 인지기능에 영향을 주는 변화를 포함하는 포괄적인 과정임을 시사한다. 가설 2에서는 삶의 목적과 일상생활 활동이 인지기능과 관련이 있는지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편상관분석 결과 삶의 목적과 일상생활 활동은 높은 집행기능 및 언어능력과 관련이 있었다. 여러 일상생활 활동 중 인지적 활동에 참여하는 것이 보호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인조사를 통해 조사된 활동 정도로 분석을 하였을 때에도 동일한 결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앞으로 한국에서 HCAP을 사용하고, 국가 간 비교가능한 연구 데이터셋 구축에 참여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특히 HCAP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일반면접원이 실시하도록 개발되었는데, 이는 앞으로 대규모 커뮤니티 중심 연구에서 상당히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3655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154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