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성백제 왕성 운영에 관한 고고학적 연구 : An Archaeology of the Hanseong Baekje Capital Citie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홍승연

Advisor
김장석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풍납동 토성몽촌토성한성백제왕성도성방사성탄소연대토기유구 분포중심지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인문대학 고고미술사학과(고고학전공), 2022.2. 김장석.
Abstract
본고에서는 한성기 백제의 왕성으로 알려진 풍납동 토성과 몽촌토성의 관련성에 주목하여, 백제 중앙에서 왕성을 운영하는 양상이 어떻게 나타났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1980년대 이래 풍납동 토성과 몽촌토성 내부 발굴자료가 축적되면서, 두 왕성 내부 물질자료에 차이가 감지되고 있다. 풍납동 토성과 몽촌토성의 물질자료의 차이는 두 왕성의 중심 사용 시기·사용 양상 차이를 반영할 수 있으며, 백제 중심지의 운영 양상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되었음을 암시한다.
그동안의 연구에서는 주로 백제 왕성의 축조 시점과 백제 국가의 시작 시점을 동일시하여, 풍납동 토성 혹은 몽촌토성의 축조 시점을 파악하였다. 또한, 일부 문헌 기사 내용을 토대로 풍납동 토성과 몽촌토성은 각각 행정-군사, 혹은 평지성-산성의 관계로 이분화된 기능을 수행하였다고 추정되었다. 하지만 두 왕성의 시간적 관계나 사용 양상에 관한 논의는 구체적인 물질자료를 통해서 검토된 것은 아니라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풍납동 토성과 몽촌토성 내부에서 확인된 물질자료를 비교·정리하여 초기 백제의 왕성 운영의 양상과 변화 과정을 파악해 볼 것이다. 국가의 중심지 운영에 관한 연구는 국가 성장기의 사회적, 정치 구조적인 변화와 관련될 수 있으므로 중요성을 가진다.
먼저 풍납동 토성과 몽촌토성의 중심 사용 시기에 선후가 나타나는지를 확인하였다. 풍납동 토성과 몽촌토성에서 얻어진 방사성탄소연대 측정치를 보정한 분포를 모두 합쳐 두 유적의 방사성탄소연대 SPD를 비교한 후, 두 유적에서 발견된 주요 토기 기종의 형태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몽촌토성이 풍납동 토성보다 늦은 시기에 중심적으로 사용되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몽촌토성 축조 후에도 풍납동 토성과 몽촌토성이 동시기에 사용한 기간이 존재하였음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몽촌토성 축조 후에 왕성이 어떻게 사용되었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먼저 층위·유구 축조 순서·방사성탄소연대를 종합한 결과 왕성의 시간대를 크게 세 분기로 나눌 수 있었다. 풍납동 토성에서 원삼국시대 주거지와 수혈이 확인되는 시기를 1기, 풍납동 토성에 도로·건물지와 같은 국가 기반시설과 의례시설이 본격적으로 사용되는 시기를 2기, 몽촌토성이 축조되면서 풍납동 토성과 몽촌토성이 함께 쓰이게 되는 시기를 3기라고 설정하였다.
왕성 시간대 구분을 토대로, 먼저 상대적으로 이른 시기에 점유되고 장기적인 사용 양상이 관찰되는 풍납동 토성에 주목하여, 풍납동 토성 경당지구·미래마을·현대연합지구에서의 유구 분포가 시간대별로 어떻게 변화하는지 살펴보았다. 1기에는 풍납동 토성 내에 주거지가 밀집되어 나타나고, 2기에도 풍납동 토성 내 주거지와 건물지를 비롯한 주거 유구가 점차 증가한다. 또한, 2기에 도로가 조성되는 등 국가 기반시설이 설치되므로, 국가의 체제가 잡히고 기반시설이 형성되는 시기였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3기부터 이전과는 다른 유구 종류, 배치가 확인되는데, 풍납동 토성 내에 주거지가 감소하고 의례시설·저장시설이 중심적으로 확인된다. 도로 시설로 쓰였다고 생각되는 구상유구도 확인되지만, 장기 사용을 위한 개보수 흔적을 파악하기는 힘들었다.
3기에 풍납동 토성 유구 분포에서 나타난 변화는 몽촌토성 축조와 함께 나타난 변화였을 가능성이 있었다. 따라서, 현재 자료상 접근이 용이한 토기와 유구 현황을 중심으로 3기의 풍납동 토성과 몽촌토성의 사용 양상을 비교, 검토해보았다.
먼저 풍납동 토성과 몽촌토성 출토 토기 기종의 대략적인 비중·수량 차이를 통해, 두 왕성의 사용 양상이 달랐을 경향을 파악하였다. 단적으로 몽촌토성과 풍납동 토성 각 시기에 발견되는 타날문토기 호·자비용기의 비중은 모두 유사하나, 삼족기·배류·기대류 등 일부 한성양식토기 기종의 절대적 수량은 풍납동 토성보다 몽촌토성에서 월등하게 많이 확인된다.
다음으로, 풍납동 토성과 몽촌토성 주요 유구 분포, 종류, 위치, 제원 등 시설의 현황을 비교해, 구체적인 사용 양상을 비교해보았다. 그 결과 몽촌토성에서는 주거·의례·저장·도로 시설 등 중심지 제반 시설이 모두 확인되며, 도로 등의 국가 기반시설을 지속적으로 개보수하는 정황이 확인된다. 반면, 몽촌토성 축조 후에 풍납동 토성 내부에서는 주거 기능이 감소하고 저장·의례 기능이 주로 유지되는 양상이 보인다.
풍납동 토성과 몽촌토성 내부 유구·유물을 종합하여 비교한 결과, 몽촌토성 건설 후 한성기 백제 중심지의 축이 몽촌토성으로 점차 이동하였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몽촌토성 축조 이전에는 풍납동 토성이 단일 중심지로 쓰였으나, 몽촌토성이 건설된 후에는 몽촌토성이 점차 한성기 백제의 중심지로 역할했다는 것이다. 한편, 풍납동 토성은 몽촌토성이 축조된 후에도 동시기에 운영되지만, 주로 저장·의례 중심의 기능이 보완적으로 수행되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This thesis explores management of the Mongchontoseong(hereafter Mongchon) and Pungnabtoseong(hereafter Pungnab), the two royal capital cities of Hanseong Baekje State (circa 300 AD~475 AD). Former research assumed a dichotomous model of the two royal cities: Pungnab as an administrative city and Mongchon as a military base. Other studies are largely concerned with estimating a start date when Hanseong Baekje State was started, based upon pottery chronology.
However, as archaeological investigations of the two sites accumulate as a result of new excavation, it is possible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ities. Therefore, this paper mostly focuses on two research questions to examine management of the capital cities of Hanseong Baekje: (1) when did Pungnab and Mongchon become capital cities? 2) what are some of the functional differences between Pungnab and Mongchon?
In order to present the chronological relationship between Mongchon and Pungnab, the summed probability distribution of radiocarbon dates and analysis of pottery type were applied. Combining the results of these analyses, it is inferred that Pungnap was occupied earlier than Mongchon.
Based on stratigraphic information and Bayesian modeling of radiocarbon dates from the cities, two sites is divided into three phases. In Phase 1, the occupation of Pungnab began and residential facilities (pithouses) first appear in Pungnab. Various ritual facilities and urban infrastructure, including roads, large buildings, and palace-like buildings, were installed in Phase 2. This is interpreted as the phase in which evidence of a system of governance appears to have been established in Hanseong Baekje. In Phase 3, contemporaneous to the construction of Mongchon, the use of Pungnab has been drastically changed; the number of residential facilities was declined, while pits were used as storage facilities or ritual facilities. Moreover, a road was rebuilt but appears to have been used only temporarily. The change in the role of Pungnab during Phase 3 is likely to be closely related to the construction of Mongchon. The construction of Monchon might have resulted from various socio-political factors, such as political conflicts with other polities, population increase, flood, or need for efficient space use in the city.
Comparisons of the amounts of ceramic vessels between two cities and of the uses of features suggest the two cities may have differed functionally. At Mongchon, residential, ritual, storage facilities were identified, and significant infrastructure was continuously renovated. In contrast, the number of residential facilities were significantly reduced at Pungnab after the construction of Mongchon, while the storage and ritual facilities remained.
This analyis reveals the temporal change in urban management of the Hanseong Baekje State. In addition, this paper throws into question previous models, which emphasize functional differentiation or dual use of the two royal capital cities of Hanseong Baekje. (e.g., administrative city versus military base). Instead, it is likely that before the construction of Mongchon, Pungnab was a singular urban center. As Mongchon became the primary urban center, Pungnab served complementary functions.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3657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939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