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1910~70년대 한국 주택화장실 정착의 과정 : The Settlement of Korean Residential Bathroom in the 1910~1970s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송시영-
dc.contributor.author서현-
dc.date.accessioned2022-10-12T00:40:14Z-
dc.date.available2022-10-12T00:40:14Z-
dc.date.created2022-09-07-
dc.date.issued2021-11-
dc.identifier.citation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7 No.11, pp.187-198-
dc.identifier.issn2733-6239-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85861-
dc.description.abstract한국의 주택화장실은 1910~70년대를 통해 서양식 통합형, 비외기 내부실 그리고 습식공간으로 보편화되었다. 70년대 이후 부가적인 구성의 변화와 설비, 재료의 개선이 있었지만, 기본구성은 큰 변화를 겪지 않고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다. 1970년대까지 어떻게 변화해왔는지의 상세한 연구는 70년대 이후 현재까지 약 50여 년간 기본구성의 변화 없이 유지되고 있는 한국 주택화장실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필요하다. 이에 이 연구는 한국 주택화장실에 근대적인 변화가 시작된 일제강점기부터 현재와 같은 구성으로 자리 잡은 1970년대까지의 정착과정을 도면수집에 근거해서 공간적으로 분석하고, 변화의 요인과 특성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는 일제강점기(1910~1945)와 해방 후 주택혼재기(1945~70), 아파트정착기(1970년대)로 시기를 구분하여 주택평면도를 수집하고 변화를 분석했다. 단순히 서양문화의 도입으로 인식되어온 한국 주택 화장실의 변화과정은 그리 단순하지 않았다. 일본식에 한국식 그리고 서양식이 겹쳐지고, 주택의 변화과정에 부응하면서, 가능한 기술의 범위 안에서, 한국인의 생활문화를 담아온 과정이 있었다. 앞으로도 주택화장실은 기본구성, 부가구성, 설비, 재료 등이 개선되면서 변화를 겪을 것이다. 그 변화의 바탕에 한국 주택화장실의 역사와 특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이 연구의 의의가 있다.-
dc.language한국어-
dc.publisher대한건축학회-
dc.title1910~70년대 한국 주택화장실 정착의 과정-
dc.title.alternativeThe Settlement of Korean Residential Bathroom in the 1910~1970s-
dc.typeArticle-
dc.identifier.doi10.5659/JAIK.2021.37.11.187-
dc.citation.journaltitle대한건축학회논문집-
dc.identifier.scopusid2-s2.0-85128714906-
dc.citation.endpage198-
dc.citation.number11-
dc.citation.startpage187-
dc.citation.volume37-
dc.identifier.kciidART002777638-
dc.description.isOpenAccessN-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서현-
dc.type.docType원저(Article)-
dc.description.journalClass1-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