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근대 전환기 개벽의 불온성과 개념화 — 동학⋅천도교를 중심으로 : The Subversiveness and Conceptualization of Gaebyeok in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Focusing on Donghak and Cheondogyo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허수

Issue Date
2021-11
Publisher
인문학연구원
Citation
인문논총, Vol.78 No.4, pp.237-272
Abstract
이 글에서는 19~20세기 초 동학·천도교에서 사용한 개벽의 용례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동아시아에서 개벽의 전통적 의미는세상이 열리다였다. 19세기 중엽 동학교조 최제우는 다시개벽을제시했는데, 여기에는 세상이 뒤집히다라는 의미가 들어감으로써전통적 의미를 혁신하였다. 그러나 이런 용례는 그것이 가진 불온성으로 인해 많이 사용되지 못했다.
다시개벽을 잇는 논의는 1910년대 천도교단을 중심으로 나타났다. 후천개벽은 다시개벽을 계승하되 선천-후천의 상수학적 사유를 포괄하여 그 의미가 확장되었다. 반면, 이 시기의 논의는 종교교단 차원에 국한되었다. 이와 달리 1920년대에 개벽은 사회적으로널리 알려졌고 다양하게 의미부여 되었으며, 점진적 발전론 속에서논의되었다. 이런 경향을 개념화라 부를 수 있으나, 그러한 개념화는 제한적 범위에 그쳤다.
개벽의 제한적 개념화는 근대적 의미화에 대한 거부로 볼 수 있다. 「검결」의 불온성을 강조하거나, 사회진화론 및 단선적 발전론을상대화하는 사례가 여기에 해당했다. 물론 개벽은 역사나 혁명 의 경쟁상대가 되진 못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천도교 인사들이 개벽의 사용을 고집한 것은 주목할 만하다. 이런 태도는 얼핏 보면 진보적 시간인식의 대세 속에서 간헐적 사례로 보일지 모른다. 그러나그것은, 신종교를 비롯한 많은 한국인에게 후천개벽이 확산되고 지속된 사실을 드러내는 단초에 해당한다.
ISSN
1598-3021
URI
https://hdl.handle.net/10371/186454
DOI
https://doi.org/10.17326/jhsnu.78.4.202111.237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