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A Gender Analysis on the Effects of International Labor Migration to the Overseas Filipino Workers (OFWs) : 국제노동자 이주가 해외필리핀 노동자에게 미치는 영향에 관한 성별 분석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장 루이스

Advisor
Kim, Chong-Sup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OverseasFilipinoWorkersLaborMigrationCareEconomyGenderEqualityGlobalCareChainsPowerDynamics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국제대학원 국제학과(국제지역학전공), 2022. 8. Kim, Chong-Sup.
Abstract
The Philippines is one of the largest sending countries for workers worldwide. As migration becomes more and more feminized, especially in the care sector, the role of men and women in the care economy must be redefined. Several studies exist on labor migration, remittances, and poverty reduction; however, certain aspects have not yet been explored, especially concerning household chores' distribution and decision-making during and after deployment. In this paper, the researcher aims to enhance the current and previous studies by examining the impact of international labor migration through a gender analysis in the power dynamics of the Overseas Filipino Workers (OFWs) in their deployment and reintegration. The researcher will analyze the effects of labor migration on a micro and meso level. In this study, only the Overseas Filipino Workers (OFWs) will be considered as the participants. Thus, the data on OFWs' labor migration and their gendered experiences will be used alone. The study identifies the gender dynamics and empowering effects of international labor migration at the individual, family, and community levels.
필리핀은 전 세계적으로 노동자를 가장 많이 보내는 국가 중 하나이다. 특히 돌봄 부문에서 이주가 점점 더 여성화됨에 따라 돌봄 경제에서 남성과 여성의 역할은 재정의되어야 한다. 노동 이주,및 빈곤 감소에 대해선 이미 여러 연구가 있다. 그러나 아직 조사되지 않은 특정 측면이 있으며, 가사 분배, 이주 중 및 이주 후의 의사 결정이 이에 해당된다. 본 논문에서 연구자는 해외 필리핀 근로자(OFW)의 이주 및 귀국 후의 전력분석에 있어 젠더 분석을 통해 국제 노동 이주가 미치는 영향을 조사함으로써, 현재 및 이전 연구를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연구원은 노동 이주가 미시적 및 중간적 수준에서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것입니다. 이 연구에서는 해외 필리핀 근로자(OFW)만 참가자로 간주됩니다. 따라서 OFW 의 노동 이주 및 경험에 대한 데이터가 단독으로 사용됩니다. 이 연구에서는 개인, 가족 및 지역 사회 수준에서 국제 노동 이주의 성별 역학 및 권한 부여 효과를 파악합니다.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87847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209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