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South Koreas Middle Power Diplomacy by Roh Moo-Hyun and Moon Jae-in : 노무현과 문재인의 대한민국 중견국 외교: 진보주의자들의 자주성 추구
The Progressives Drive for Autonomy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오바솔라

Advisor
Sheen Seong-ho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MiddlePowerSouthKoreaRohMoo-HyunMoonJae-inBehavioralmodelTraditionalmiddlepowerEmergingmiddlepower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국제대학원 국제학과(국제지역학전공), 2022. 8. Sheen Seong-ho.
Abstract
There is little consensus in middle power literature because of the
difficulty in defining them to a degree that would satisfy all requirements. The behavioral model identifies middle powers by their diplomatic behavior. There is even further distinction to be made between traditional middle powers, such as Canada and Australia, and emerging middle powers, such as those found in Asia. These newer middle powers have taken up this status with the intent to gain a level of autonomy in international affairs that were once impossible. Their behavioral tendencies have evolved with the times allowing for variety unique from the older middle powers.
The case of South Koreas unique middle power diplomacy is colored by the need to deal with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the ROK-US alliance, and regional instability. Yet, to further complicate South Koreas middle power conceptualization, there is a difference in middle power behavior between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presidents. Conservative presidents tend to rely heavily on the ROK-US alliance, while progressives tend to seek autonomy in the handling of their major issues. Thu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ncover middle power diplomacy as defined by the two most recent progressive South Korean presidents, Roh Moo-hyun and Moon Jae-in. To create an image of a specific South Korean variety of middle power diplomacy, with a focus on the most unique part of middlepowerdom, a states acquisition of influence without great power status.
모든요건을충족할수있는정도로정의하기가어렵기때문에중간 권력 문헌에서는 합의가 거의 없다. 행동 모델은 중간 권력자들을 그들의 외교적 행동으로 식별한다. 캐나다와 호주와 같은 전통적인 중간 강국들과 아시아에서발견되는것과같은신흥중간강국들사이에는더많은차이가 있다. 이러한 새로운 중진국들은 한때 불가능했던 국제 문제에 있어서 어느 정도의 자치권을 얻으려는 의도로 이 지위를 차지하게 되었다. 그들의 행동 경향은 시대에 따라 예전과는 다른 다양성을 허용하면서 발전해 왔다.
한국 특유의 중진외교 사례는 북핵 문제, 한미동맹, 지역 불안 등에 대한 대처 필요성에 물들어 있습니다. 그러나 한국의 중간 권력 개념화를 더욱 복잡하게만드는것은보수대통령과진보대통령간의중간권력행태에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보수 성향의 대통령들은 한미동맹에 크게 의존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진보 성향의 대통령들은 자신들의 주요 현안 처리에 대한 자율성을 추구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가장 최근의 진보적인 한국의 두 대통령인 노무현과 문재인에 의해 정의된 중진국 외교를 발견하는 것이다. 중진국 중 가장 독특한 부분에 초점을 맞춰 남한이 가진 다양한 중진국 외교의 이미지를 만들기 위해, 강대국 지위 없이 국가가 영향력을 획득하는 것이다.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87858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212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