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Resolving Conflicting Issues in the Creation of the Carbon Border Adjustment Mechanism (CBAM) : 탄소국경조정제도 수립과정에서 상충하는 이슈 해결 방안 연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수정

Advisor
한정훈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CarbonBorderAdjustmentMechanism(CBAM)EuropeanUnionPolicyComplexityOrdinaryLegislativeProcedureEuropeanGreenDealFitfor55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국제대학원 국제학과(한국학전공), 2022. 8. 한정훈.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how the European Union resolves conflicting issues in the creation of the Carbon Border Adjustment Mechanism (CBAM). In particular, it focuses on identifying whether conflicting issues discovered in the preparation period have been resolved in the CBAM regulation proposal. The analysis of conflicting issues related to context and structure policy complexity produces intriguing findings. First, the most conflicting issue is related to ensuring an international trade agreement and the proposal could not reach an agreement instantly. Second, the design of the CBAM was divided into two divisions in the initial period. The proposal provides guidelines for the creation of CBAM. Also, there is a strong agreement between European institutions on designing CBAM related to the EU ETS. Lastly, the proposal settles on a specific range of coverage compared to its wide range in the preparation period.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re are still conflicting issues that require its decision in the following legislative procedure. Also, countries potentially under the influence of CBAM should consider these conflicting issues for preparing their policies.
본 연구는 유럽연합이 탄소국경조정제도를 수립하는 과정에서 상충하는 문제 해결 방안을 분석한다. 유럽의회 결의안과 그 이전의 유럽 집행위원회의 법안 발의를 위한 과정의 문서들을 바탕으로 유럽 입법 기관 간의 상충하는 문제점들을 파악한다. 이후 유럽 집행위원회가 발표한 입법 초안에서 대립하는 이슈들에 대한 합의점 도출 방식을 정책 복잡성 이론을 바탕으로 파악한다. 결과적으로 다음과 같은 세 가지의 흥미로운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탄소국경조정 제도의 WTO 규범 충돌에 이슈에 관한 대립은 입법 초안에서 합의가 도출되지 않았다. 둘째, 수립과정에서 두 견해로 나뉘었던 탄소국경조정의 설계는 입법 초안을 통해 유럽 배출권 거래제도와 연계하는 방안의 절충안을 도출했다. 셋째, 탄소국경조정제도 적용 범위는 입법 초안에서 일시적인 합의를 이루었지만, 여전히 변동 가능성을 내재하고 있다. 한국과 같은 탄소국경조정제도의 영향을 받는 국가들은 대응 정책을 수립할 때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유럽연합 입법과정에서 상충하는 이슈와 해결 여부를 지속해서 관찰할 필요가 있다.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87914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300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