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대기업 실시간 온라인 직무 교육 참여자의 자기주도학습능력,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 학습 및 학습전이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Learner-Instructor Interaction, Learning, and Learning Transfer of Participants in Real-Time Online Job Training at Large Corporation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종인

Advisor
김진모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실시간온라인교육비대면교육학습전이학습자기주도학습능력학습자-교수자상호작용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산업교육과, 2022. 8. 김진모.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learner-instructor interaction, learning, and learning transfer of participants in real-time online job training at large companies. The study objectives are as follows. First,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learner-instructor interaction, learning, and learning transfer of participants in real-time online job training at large companies is explored.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learner-instructor interaction, and learning transfer of real-time online job training participants of large corporations is explored.

The target population of the study is workers currently employed by companies who have experienced in-house real-time online job training at least 1 to 6 months ago. Accordingly, large companies that are likely to operate real-time online training, were selected as research targets, and the scope of large companies was set as companies with assets of more than 500 billion South Korean won among holding companies and affiliates in 71 public disclosure companies announced by the Korea Fair Trade Commission in April 2021. In addition, considering the period from the end of training to the occurrence of learning transfer, the scope was limited to workers who experienced real-time online training within at least 1 to 6 months, and job training in which the occurrence of learning transfer is important. Since it is practically impossible to measure the population size of the study, significance sampling was used among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s.

A total of 384 questionnaire responses were collected using an online survey, and 318 questionnaire responses were used for analysis, excluding inappropriate responses, unfaithful responses, and outliers. SPSS Statistics 23.0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of participants in real-time online job training for large corporation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learning transfer. However, learners-instructor interaction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Seco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learner-instructor interac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learning. Third, learning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transfer. Fourth, learning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r-instructor interaction and learning transfer.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of participants in real-time online job training at large companies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learning transfer. Companies should provide support such as training so that learners can lear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and provide appropriate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each level of learners. In addition, various support is needed to improve the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that learners aimed at through participation in training. On the other hand, learner-instructor interaction has no direct influence on learning transfer. However, even if learner-instructor interaction is actively conducted, learning transfer is difficult to occur if the learner's learning level is low. Therefore, active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and instructors in real-time online training is very important. If various online functions and tools that can be used in real-time online training, are used in the right place according to the learner's characteristics and purpose and content of training, active participation of learners can be led and learning performance can be improved through active interaction. Second,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learner-instructor interaction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learning. In order to improve the level of learning achieved through training, various methods are required to improve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various measures need to be prepared so that learners can actively participate in and communicate with training in real-time online training where physical restrictions exist. Third, learning has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learner-instructor interaction, and learning transfer. In order to improve the level of learner's learning transfer, efforts are required to improve the level of acquisition of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aimed at training.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various types of interactions that can occur in real-time online training. Second, it is necessary to explore variables that affect learning and learning transfer in a real-time online training environment. Third,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study that compares the variables affecting learning transfer in the existing training environment, such as offline or e-learning type non-real-time online training, with the variables affecting learning transfer in the real-time online training environment. Fourth,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transfer and preceding variables in a real-time online training environment for various organizations and training. Fourth,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transfer and antecedent variables in a real-time online training environment targeting various organizations and training.
이 연구의 목적은 대기업 실시간 온라인 직무 교육 참여자의 자기주도학습능력,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 학습 및 학습전이의 관계를 구명하는 것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연구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기업 실시간 온라인 직무 교육 참여자의 자기주도학습능력,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 학습 및 학습전이 간의 영향 관계를 구명한다. 둘째, 대기업 실시간 온라인 직무 교육 참여자의 자기주도학습능력 및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과 학습전이의 관계에서 학습의 매개효과를 구명한다.

연구의 목표 모집단은 현재 기업에 재직 중인 근로자 중 최소 1~6개월 전에 사내 실시간 온라인 직무 교육을 경험한 근로자이다. 이에 자체적으로 실시간 온라인 교육을 운영하고 있을 가능성이 큰 대기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대기업의 범위는 공정거래위원회가 2021년 4월 발표한 71개의 공시대상기업집단 내 지주회사 및 계열사 중 중소기업기본법에 따라 자산총액 5,000억 원 이상의 기업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교육 종료 후 학습전이가 발생하기까지의 기간을 고려하여 최소 1~6개월 이내에 실시간 온라인 교육을 경험한 근로자, 학습전이의 발생이 중요한 직무 교육을 대상으로 범위를 한정하였다. 연구의 모집단 크기를 측정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에 비확률적 표집 방법 중 유의표집을 사용하였다.

자료수집은 온라인 설문조사를 활용하여 총 384부를 회수하였으며, 응답 대상에 부적합한 응답, 불성실 응답 및 이상치를 제외한 318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조사도구는 자기주도학습능력 21문항,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 5문항, 학습 3문항, 학습전이 5문항,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을 조사하는 10문항, 총 44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일반적 특성을 제외한 모든 변인은 5점 Likert 척도로 구성되며, 예비조사와 본조사 모두 분석에 적합한 신뢰도를 나타냈다. 자료 분석은 SPSS Statistics 23.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집단 간 차이분석, 다중회귀분석, PROCESS macro model 4를 활용한 매개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모든 분석에 있어서 통계적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으며,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부트스트래핑 표본 수는 10,000개로 설정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기업 실시간 온라인 직무 교육 참여자의 자기주도학습능력(β= .138, p<0.01), 학습(β= .472, p<0.001)은 학습전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주도학습능력(β= .391, p<0.001)과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β= .326, p<0.001)은 학습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주도학습능력과 학습전이의 관계에서 학습은 부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과 학습전이의 관계에서 학습은 부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기업 실시간 온라인 직무 교육 참여자의 자기주도학습능력과 학습은 학습전이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친다. 기업은 학습자가 자기주도학습능력을 학습할 수 있도록 교육훈련 등의 지원을 제공해야 하며, 학습자들의 각 수준에 맞추어 적절한 수업전략을 제공해야 한다. 또한 학습자들이 교육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목표로 하였던 지식, 기술, 태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이 필요하다. 한편,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은 학습전이와 직접적인 영향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질지라도 학습자의 학습 수준이 낮다면, 학습전이가 발생하기 어려우므로 실시간 온라인 교육에서 발생하는 학습자와 교수자의 활발한 상호작용 또한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실시간 온라인 교육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온라인 기능 및 도구를 학습자의 특성과 교육의 목적, 내용에 맞게 적재적소에 활용한다면 학습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고 활발한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성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능력과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은 학습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친다. 교육을 통해 성취한 학습 수준의 향상을 위해서는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요구되며, 물리적인 제약이 존재하는 실시간 온라인 교육에서 학습자가 교육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의사소통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능력 및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과 학습전이의 관계에서 학습은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의 학습전이 수준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교육 프로그램이 목표한 지식, 기술, 태도의 습득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시간 온라인 교육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상호작용의 유형을 추가적으로 고려해야한다. 둘째, 실시간 온라인 교육 환경에서 학습 및 학습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추가적으로 탐색할 필요가 있다. 셋째, 오프라인 또는 e-Learning 형태의 비실시간 온라인 교육 등 기존 교육 환경에서 학습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과 실시간 온라인 교육 환경에서 학습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비교하는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넷째, 다양한 조직 및 교육을 대상으로 실시간 온라인 교육 환경에서 학습전이와 선행변인 간의 관계를 구명할 필요가 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7935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312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