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세렌디피티(비의도적 발견) 경험을 위한 디지털 도서관의 탐색 인터페이스 디자인 연구 : A Study on Interface Design for Serendipitous Experience in a Digital Library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태현

Advisor
이장섭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세렌디피티탐색사용자경험유저인터페이스도서관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미술대학 디자인학부 디자인전공, 2022. 8. 이장섭.
Abstract
본 연구는 디지털 도서관 탐색 과정에서의 세렌디피티 경험을 위한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정보행동 연구 분야에서 세렌디피티(Serendipity)는 의도하지 않은 발견의 경험 또는 이러한 탐색 행동 유형을 의미한다. 도서관의 세렌디피티 경험은 새로운 책을 의도치 않게 발견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도서관의 세렌디피티는 물리적 도서관에서 풍부하게 관찰되는 반면 디지털 도서관에서는 약화되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물리적 도서관이 세렌디피티를 의도했기 때문이기 보다는 유기적인 공간성, 느슨한 정보 체계와 같은 물리적 속성의 복합적인 작용에 의한 것에 가깝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도서관의 세렌디피티 경험을 도서관의 고유하고 특별한 경험으로 바라보고, 이를 디지털 도서관에도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물리적 도서관이 세렌디피티를 의도하지 않았음에도 발생하는 것에 착안하여 물리적 도서관의 세렌디피티 발생을 기반으로 디지털 도서관의 세렌디피티 경험을 위한 인터페이스 디자인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는 문헌 연구 및 사례 조사이다. 먼저 연구의 주요 개념인 탐색과 도서관, 세렌디피티에 대한 문헌을 살펴보고, 세 요소를 연결하며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도서관에서 세렌디피티의 의미와 필요성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물리적 도서관과 디지털 도서관에서의 탐색과 세렌디피티 발생에 관한 사례 조사 및 선행 연구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디지털 도서관에서 세렌디피티 발생의 약화를 이해할 수 있었으며, 물리적 도서관의 요소를 기반으로 디지털 도서관의 세렌디피티 경험을 설계하는 가설을 도출할 수 있었다.
두 번째는 디지털 도서관의 세렌디피티 경험을 위한 탐색 방식을 구상하는 단계로, 물리적 도서관의 세렌디피티 발생을 디지털 환경에 적용하는 방식으로 아이디에이션 하였다. 도서관 이용자의 탐색 행동에 관한 선행 연구를 참고하여 이용자의 탐색 목표 정의 수준에 따라 4개의 탐색 유형을 도출하였고, 선행 연구에서 제시된 세렌디피티 어포던스를 재해석하여 3개의 탐색 모드를 도출하였다. 이 두 가지 요소를 접목하여 디지털 도서관 탐색의 세렌디피티 경험을 위한 12개의 탐색 방식을 도출하였다.
세 번째는 인터페이스 디자인 단계이다. 앞서 도출한 탐색 방식의 탐색 과정을 구체화하고 이를 시각화하는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이를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12개의 탐색 방식을 포괄할 수 있는 상위의 디자인 컨셉 기획과 UI 및 GUI를 디자인하는 것을 포함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12가지의 탐색 방식과 인터페이스 디자인은 도서관 이용자가 디지털 환경에서도 도서관의 고유한 경험인 세렌디피티 경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물리적 환경의 조건을 디지털 환경으로 옮겨가는 디자인 실험을 하는 성과가 있었고, 더 나아가 디지털 환경의 고유한 세렌디피티 경험에 대한 시각을 제시할 수 있었다.
This thesis aims to present an interface design for the Serendipity in the digital library.
Serendipity refers to the experience of unintentional discovery in information behavior research. The Serendipity of a library can be defined as discovering new books without intention. Serendipitous experiences of libraries can be seen abundant in physical libraries, while not in digital. It is because of more complex interactions of the physical elements, such as flexible spatiality and loose information systems, rather than the physical library intended Serendipity. So the interface design study was conducted for the serendipitous experience of the digital library based on the physical library.
This study can be divided mainly into three parts. First, I researched the prior studies of central concepts of this study, which are browsing, library, and Serendipity, understanding the meaning and necessity of Serendipity for the library experience. I also researched cases and prior studies on occurrences of Serendipity in physical and digital libraries to understand the weakening of Serendipity in digital libraries and derive a hypothesis.
The second step is to devise methods for the serendipity finding at digital libraries, and the identification was made by applying the serendipity occurrences of physical libraries to the digital environment. By analyzing previous studies on the types of finding behaviors of a library, four types were deriv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goal definition, and three search modes were derived by reinterpreting the affordances of Serendipity. By combining these two factors, 12 methods for Serendipity in the digital library were derived.
Lastly, I proposed an interface design that embodied the finding process of the methods derived above and visualized it. In order to convey this more effectively, it included designing visual concepts, UI, and GUI design strategies.
The 12 ideas and interface designs presented in this study are expected to allow library users to provide a Serendipity experience, a unique library experience, even in a digital environment. In addition, there have been achievements in experimenting with designing serendipity experiences in a digital environment by transferring the conditions of the physical environment to the digital environment. Furthermore, it can be a perspective on the unique serendipity experience of the digital environment.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7982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391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