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전맹의 앱 접근성 향상을 위한 UX 가이드라인 연구 : A Study on UX Guidelines for Improving Accessibilities of Total Blindness:Focus on the Solution to the Experience of Using Screen Reader
스크린 리더 탐색과정에서의 문제해결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최규원

Advisor
이장섭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전맹스크린리더접근성UX가이드라인배달앱참여적디자인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미술대학 디자인학부 디자인전공, 2022. 8. 이장섭.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UX guidelines for improving accessibility to mobile apps by total blindness people who have zero vision and cannot see at all. Already mobile accessibility guidelines have existed to ensure accessibility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However even if they are all followed, mobile apps may not be used depending on the situation and ability of total blindness people. In addition, many mobile apps are designed without consideration to existence of screen readers, assisting engineering devices that read mobile app screens as they are, and may cause severe difficulties to total blindness people. These difficulties might be worsened in the area of eCommerce, which consist of complicated screen structures with huge size of information.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problems experienced by the total blindness people who read mobile apps with a screen reader through usability tests and to derive solutions. To improve accessibility and user experience by all total blindness people, it is intended to design an improvement prototype that mounts to test through a verification process, and to produce UX guidelines in the form of a web page based on verified solutions. Baedal-ui Minjok app was selected as the subject of the test because it is one of the symbolic services in the eCommerce area and it received low scores in the mobile accessibility survey by Minister of Science and ICT. This study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hree parts. First,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review of previous studies, it was understood who total blindness people are and how they use smartphones, and the problems caused by use of screen readers were identified. Second, two tests were conducted with two groups of participants divided according to app usage proficiency. The first, usability test of Baedal-ui Minjok app identified the difficulties encountered during stays on mobile apps and the second, prototype test evaluated the prototype produced by the researcher for supplement. In each process, participants not only participated in the test as interviewees, but also actively shared improvement opinions as subjective entity of the study. Third, based on the solutions derived from the two tests, the UX guidelines for improving accessibility by total blindness people were prepared. The guidelines were produced in the form of websites and distributed for many people to experienc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ree guidelines related to lay-out were presented in the GUI category to enable users to efficiently navigate screens and achieve their objectives faster. The Interaction category presented three guidelines related to component and focus shift to reduce confusion they can encounter on mobile apps allowing novice users to quickly adapt to mobile apps and providing clear ways to already experienced users to reduce the confusion they can encounter using the app. In addition, the Audio Description category proposed speech description rules and screen speech description rules for filter chips and tap components, while the Text
category proposed text label creation rules for buttons and sections title creation rules to complement the previous two categories.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has limitations that it went through evaluation process as a theoretical prototype that did not implement the actual VoiceOver environment due to technical limitations. It is regrettable that the prototype produced in the study was different from actual environment in which various gestures could be used because only sweep gestures and double tabs were available. Despite these limitations, the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nvited in total blindness people to participate in it as the subjective entity through active collaboration process and derived 11 realistic guidelines through this process. Also, it is significant in that the results were produced on the website and distributed to the public so that other researchers or any related people could easily access it.
본 연구는 시력이 0으로 앞을 전혀 보지 못하는 전맹의 모바일 앱 접근성 향상을 위한 UX 가이드라인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장애인의 접근성을 보장하기 위해 모바일 접근성 지침이 존재하지만, 다 지켜지더라도 전맹의 상황과 능력에 따라 앱을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많은 앱이 앱 화면을 그대로 읽어주는 보조 기술인 스크린 리더를 고려하지 않고 제작되어 스크린 리더 사용자가 사용할 때 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이는 복잡한 화면과 많은 정보로 이루어진 eCommerce 영역의 앱서비스 사용 시 심화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용성 테스트를 통해 전맹이 스크린 리더로 앱을 사용하며 겪는 문제를 파악하고, 해결책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반영한 개선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여 검증 과정을 거치고, 검증된 해결책을 토대로 전맹의 접근성 및 사용경험 향상을 위한 UX 가이드라인을 제작하고자 한다. 테스트의 대상은 eCommerce 영역의 대표적인 서비스이자 모바일 접근성 실태조사에서 낮은 점수를 받았던 배달의 민족 앱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로 문헌 조사와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연구 대상인 전맹과 전맹의 스마트폰 사용 방법에 대해 이해하고, 스크린 리더 사용으로 인한 문제를 파악하였다. 두 번째로 앱 사용 숙련도에 따라 나뉜 두 그룹의 전맹 참가자와 함께 두 차례의 테스트를진행하였다. 첫 번째인 배달의 민족 앱 사용성 테스트에서는 사용 과정 중 겪는 어려움을 파악하고, 두 번째인 프로토타입 평가에서는 연구자가 제작한 프로토타입을 평가하여 보완할 점을 발견하였다. 각 과정에서 참가자들은 참가자로서 테스트에 참여했을 뿐 아니라, 연구의 주체로서 적극적으로 개선 의견을 공유해주었다. 세 번째로 두 차례의 테스트를 통해 나온 해결책을 바탕으로 전맹의 접근성 향상을 위한 최종적인 UX 가이드라인을 작성하였다. 가이드라인은 웹사이트 형태로 제작해 많은 이들이 볼 수 있도록 배포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GUI 카테고리에서 레이아웃과 관련된 3가지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여 스크린 리더 사용자가 화면을 효율적으로 탐색하고 더 빠르게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Interaction 카테고리에서는 컴포넌트와 초점 이동과 관련된 3가지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여 초보 사용자는 빠르게 앱에 적응할 수 있게 하고, 이미 숙련된 사용자는 더욱 명확한 사용경험을 통해 앱을 사용하며 느낄 수 있는 혼란을 줄였다. 또한 Audio Description 카테고리에서는 필터 칩, 탭, 컴포넌트의 음성 설명규칙과 화면 음성 설명 규칙을 제안하고, Text 카테고리에서는 버튼의 텍스트라벨 작성 규칙과 섹션 타이틀 작성 규칙을 제안하여 앞선 두 카테고리를 보완하였다.한편, 본 연구는 기술적인 한계로 실제 보이스오버 사용 환경을 똑같이 구현하지 못한 프로토타입으로 평가를 진행했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연구에서 제작한 프로토타입은 쓸어 넘기기 제스처와 이중 탭만 사용할 수 있었기 때문에 다양한 제스처를 쓸 수 있는 원래의 환경과는 차이가 있었다는 것이 아쉬운 점이다.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적극적인 협업을 통해 연구의 주체로 전맹을 참여시키고 이를 통해 현실적인 11개의 가이드라인을 도출한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또한, 결과물이 웹사이트로 제작되어 다른 연구자와 관련인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배포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7983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354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